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013-0799
  • E-ISSN2586-2073
  • KCI

도서관의 폐교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Closed School in Library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P)1013-0799; (E)2586-2073
2018, v.35 no.4, pp.77-106
https://doi.org/10.3743/KOSIM.2018.35.4.077
노영희 (건국대학교)
노지윤 (건국대학교 지식콘텐츠연구소)

초록

본 연구는 도서관의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폐교 활용방안에 앞서, 폐교 현황과 활용 사례를 기반으로 최근 도서관의 폐교 활용 트렌드를 파악하고 도서관의 폐교 활용 가능성 및 방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사례조사를 통하여 폐교를 활용한 도서관 건립은 복합문화공간 제공, 친환경적 공간 제공, 지역 커뮤니티 장소 제공 등 기존의 공공도서관과는 또 다른 특색을 가진 도서관으로 재탄생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도서관의 폐교 활용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지역경제 기여와 지역의 재활성화 기회 제공, 지역주민을 위한 생활 밀착형․친화형 공간, 노인복지․요양서비스․귀농 생활 등과 연계한 공간의 재활용, 폐교를 활용한 부가 가치 창출과 지역 비즈니스 창출, 환경친화적 공간으로 구성, 복합문화공간의 형태로 구성된 통합적인 공간으로 활용, 지역의 커뮤니티 센터 역할 수행, 지역의 요구를 충족․보완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재활용.

keywords
도서관, 폐교, 폐교 활용, 도서관의 폐교 활용방안, 도서관과 폐교, library, closed school, utilization of closed school, utilization plan, library and closed school

Abstract

Prior to the concrete and practical use of closed school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rends in the use of closed schools, and the possibility and direction of the library’s use of closed schools based on the status of closed schools and use cases. As a result of the case analysis, the building of libraries using closed schools can be reborn as librarie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general public libraries, such as providing complex cultural spaces, eco-friendly spaces, and local community places.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future direction of library closure is suggested as follows: Provide local economic contribution and local revitalization opportunities, life-friendly and friendly space for local residents, recycling space linked with elderly welfare, care service, urban to rural Immigrants, creation of added value and creation of local business using closed schools, environment-friendly space, recycling as a complex community center, recycled into a space that meets and complements local needs.

keywords
도서관, 폐교, 폐교 활용, 도서관의 폐교 활용방안, 도서관과 폐교, library, closed school, utilization of closed school, utilization plan, library and closed school

참고문헌

1.

권영민. (2000). 지방폐교시설의 노인요양시설 활용가능성 연구: 진주시 근교 폐교시설을 중심으로. 20(3), 197-210.

2.

권영현. (2012). 충남 농산어촌 폐교의 실태와 활용성 제고 방안. 충남발전연구원.

3.

김기남. (2011). 폐교의 처분과 활용.

4.

김성화. (2010). 전라북도 초등학교 폐교시설의 지역특성별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5.

김윤희. (2010). 농촌 다문화가정 복합 문화 센터 실내 공간 계획 : 폐교재산 활용을 중심으로.

6.

김재영. (2012). 사례조사를 통한 폐교 활용 노인요양시설의 공간 분석 (93-98). 2012년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7.

김홍기. (2017). 한국과 일본의 농촌지역 폐교활용 정책 비교.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19(3), 1-8.

8.

김홍열. (2016). 폐교를 활용한 기숙형 중학교 공간분석 연구 (1248-1251). 대한건축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9.

노경식. (2007). 도심(都心) 폐교시설(廢校施設) 활용방안 (活用方案)에 관한 연구-(구) 수도여고의 활용방안(活用方案)을 중심(中心)으로. 지역사회발전학회논문집, 32(2), 145-164.

10.

도현학. (2011). 농촌마을의 활성화를 위한 폐교시설의 활용에 관한 연구 -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13(3), 91-98.

11.

마상진. (2010). 농촌의 폐교활용 실태와 정책 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2.

박의창. (2018). 한국과 일본의 폐교활용 비교연구.

13.

배선학. (2013). 폐교의 공간적 분포와 활용 현황.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3(1), 53-60. http://dx.doi.org/10.35149/jakpg.2013.23.1.005.

14.

변경화. (2015). 폐교를 활용한 체험활동 숙박시설의 공간계획 분석.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6(2), 111-119. http://dx.doi.org/10.6107/JKHA.2015.26.2.111.

15.

신상섭. (2000). 농어촌 지역 폐교지 활용실태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지, 3(1), 31-38.

16.

오원진. (2013). 폐교재산의 효율적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충청북도교육청 소관 폐교재산을 중심으로.

17.

이선철. (2006). 폐교의 개념과 활용 현황에 대한 이해 (-). 지역주민의 문호예술교육공간으로서 폐교활용방안 포럼, 2006 문화예술교육 포럼.

18.

이성섭. (2014). 폐교재산의 효율적 관리 및 활용방안 연구 : 경상남도 농·어촌지역을 중심으로.

19.

이영실. (2011). 폐교를 활용한 문화시설의 네트워크를 통한 지역 문화예술 활성화 방안연구 : 평창군 폐교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20.

이웅구. (2010). 폐교를 활용한 노인복지시설 리모델링 사례와 평면유형 개발 -경남 의령군 대의면 천곡초교를 대상으로-.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 논문집, 10(3), 39-46.

21.

이주일. (2017). 폐교시설의 자연순환형 복합 체험학습장 활용을 통한 지역경제·문화 활성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문화산업연구, 17(2), 1-9.

22.

이화룡. (2018). 국내 폐교 현황 및 활용사례, 그리고 새로운 목표. 교육시설, 25(5), 7-12.

23.

임환수. (2005). 폐교시설을 활용한 대안학교 설계.

24.

장우석. (2013). 농촌폐교 활용 정책수립을 위한 그린투어리즘 접근성 평가- 충청남도를 대상으로-. 농촌계획, 19(4), 293-306. http://dx.doi.org/10.7851/ksrp.2013.19.4.293.

25.

전영도. (2008). 폐교시설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26.

정진주. (2000). 충북 미활용 폐교의 실태와 활용방안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2(5), 23-34.

27.

조성찬. (2006). 폐교재산 활용방안에 관한 법적 고찰.

28.

조정민. (2014). 지역 공공성과 로컬리티— 폐교 문제를 통해 본 공공성 개념의 확장 가능성과 그 방향. 로컬리티 인문학, (11), 123-152.

29.

허성훈. (2012). 폐교시설을 활용한 재가노인복지시설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99-104).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논문집.

30.

노영희. (2018). Evaluation Indicators for Green Libraries and Library Eco-friendliness.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8(1), 51-77. http://dx.doi.org/10.5865/IJKCT.2018.8.1.051.

31.

Landscape Times. (2017). 삼척시, 폐교 활용해 ‘삼척미로정원’ 개장. http://www.la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26344.

32.

경남교육청폐교활용안내센터. 폐교재산활용 안내. https://www.gne.go.kr/index.gne?menuCd=DOM_000000125007000000.

33.

경북신문. (2018). 대구교육청, `2․28기념학생도서관’ 첫 삽. http://www.kbsm.net/default/index_view_page.php?idx=205389.

34.

국민일보. (2017). 파주시, 폐교 활용한 ‘별난독서캠핑장’ 21일 개장.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1621179.

35.

뉴스원. (2017). 의령군, 폐교돼 방치된 시설 ‘가족휴양시설’로 바꾼다. http://newsone.co.kr/?p=5766.

36.

매일경제. (2014). 텅 빈 폐교 활용해 연간 ‘5억원’ 매출.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4&no=1122585.

37.

아르떼365. (2006). 현실에 기반한 일본의 폐교 활용 문화예술교육 현장을 가다. http://www.arte365.kr/?p=4111.

38.

용인시민신문. (2007). 도시재생 개발보다 문화가 중심돼야. http://www.yongin21.co.kr/news/articleView.html?idxno=19128.

39.

용인시민신문. (2007). 유휴공간 지역공동체 문화공간으로 재탄생. http://www.yongin21.co.kr/news/articleView.html?idxno=19204.

40.

중앙일보. (2018). 생활SOC 이름 붙였지만, 문 정부도 결국 SOC로 경기 부양. https://news.joins.com/article/22919261.

41.

지방교육재정알리미. 폐교정보. http://www.eduinfo.go.kr/portal/main.do.

42.

채경혜. (2011). 워크샵-폐교공간을 문화적으로 활용한 일본도시들의 사례. http://cafe.daum.net/_c21_/bbs_search_read?grpid=1NAZf&fldid=jof2&datanum=30.

43.

충청매일. (2018). 2021학년도에 전국 38개 대학교 폐교 전망. http://www.ccdn.co.kr/news/articleView.html?idxno=534730.

44.

충청메시지. (2018). 부여군, 폐교가 노인대학으로 부활. http://www.ccmessage.kr/news/articleView.html?idxno=3352.

45.

한국금융. (2014). 폐교를 드론 개발 사업장으로.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4&no=1122585.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