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도서관이용자, 검색결과: 239
초록보기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commonly known profile of public library users was described, by reviewing the literature published in the United States before the 1990s, when information environment of the public has been drastically changed. The profile of users as the socio-economically advantaged, active participants, and communication elites, has little changed since Berelson's study in the 1940s. Continuing research on users, however, are still needed to better understand their needs and behavior, facing the change since the 1990s.攀** 청주대학교 인문대학 인문학부 문헌정보학전공 전임강사(jade@cju.ac.kr) 논문접수일자 : 2004년 7월 24일 게재확정일자 : 2004년 9월 15일攀攀

Abstract

52
남영준(중앙대학교) ; 양지안(중앙대학교) 2010, Vol.27, No.3, pp.307-323 https://doi.org/10.3743/KOSIM.2010.27.3.307
초록보기
초록

정보환경의 변화에 따라 도서관과 웹 검색엔진의 차별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용자들은 인터넷의 자원과 학술데이터베이스의 자원을 혼동하고 있다. 특히 구글스칼라와 같은 상업용 검색엔진의 검색속도와 조작 편의성이라는 상대적 장점 때문에 학술데이터베이스가 갖고 있는 학술적 가치와 신뢰성에도 불구하고 이용자는 구글스칼라를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구글스칼라가 갖는 장점을 반영한 메타서치시스템의 특성과 가치를 인터페이스 측면과 전자정보원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이러한 새로운 검색채널로서 메타서치시스템과 이와 연계된 링크리졸버를 이용하는 대학도서관의 이용통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구글스칼라와 차별화될 수 있는 도서관만의 특징인 이용자 이용행태 패턴과 주제별 전자정보 이용행태를 도출하여 전자정보 서비스의 방안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조사하였다.

Abstract

The amount of online scholarly information rapidly expands in numerous resources, while user behavior demands single search box interface like Google Scholar. Despite scholarly values of e-resources libraries provide, users consider Google Scholar as the most efficient research tool attracted by its speed, simplicity, ease of use, and convenience. Characteristics of Metasearch System compared with Google Scholar are analyzed from perspectives of the interface and e-resource. Based on usage statistics of Metasearch System along with a link resolver in one academic library, e-resource accessibility patterns and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of subject-specific areas are investigated for electronic information services.

53
이수영(미국 미시간대학교 정보대학원) 2007, Vol.24, No.2, pp.29-44 https://doi.org/10.3743/KOSIM.2007.24.2.02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왜 이용자들이 정보탐색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육심리학분야에서 개발된 정신적 노력에 관한 개념을 웹 검색엔진과 도서관시스템 정보탐색행위에 적용하여 보았다. 실험실 환경에서 학부학생 총 15명을 대상으로 탐색실험을 실시하여, 탐색전 설문조사, 탐색후 설문조사, 탐색후 인터뷰, 생각 소리내어 말하기 (think-aloud), 로그데이터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이용자들은 웹 검색엔진을 도서관시스템에 비하여 휠씬 쉽다고 인지하며 스스로 탐색에 대한 높은 자신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이용자성향은 이용자들이 웹 탐색에 도서관탐색때보다 더 적은 노력을 기울이는 것과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들의 정신적 노력에 관한 개념은 결과적으로 이용자들의 정보탐색 행위와 경험을 설명하는데 매우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ether the concept of amount of invested mental effort (AIME) developed in the field of educational psychology can help explain why people put so little effort into online searching. In this experimental study, two information retrieval systems a web search engine and a university library system were used to make a comparis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5 undergraduate students through background questionnaires, think-aloud protocols, search logs, post-search questionnaires, and post-task interviews. The findings indicate that perception of the webs easy-ness and high levels of self confidence in searching capability led the subjects to put less effort into web searching than they do into library system searching. In addition, the perceived difficulty of search task influenced the extent of mental effort invested. The AIME proved a usefu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search behavior and user experience for both web search engines and library systems.

54
조찬식(동덕여자대학교) ; 김원진(동덕여자대학교) 2012, Vol.29, No.1, pp.95-113 https://doi.org/10.3743/KOSIM.2012.29.1.095
초록보기
초록

오늘날 초고속통신망의 구축과 인터넷의 확산으로 인한 정보화의 급격한 진행은 국회도서관의 의회정보서비스에도 많은 변화를 초래하였다. 같은 맥락에서 의회정보서비스도 이용자들의 정보요구와 변화에 부응하여 이용자들이 만족하는 정보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회도서관 의회정보서비스 이용자 만족도를 제고시키기 위한 방안을 고찰하고 이용자가 만족하는 도서관 서비스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국회에 소속되어 있는 국회의원 및 보좌진을 대상으로 국회도서관 의회정보서비스에 대한 이용자들의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의회정보서비스 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분석․반영하여 이용, 홍보, 만족도 등 국회도서관 의회정보서비스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construction of an information super highway and diffusion of the internet brings about a lot of changes in the Legislative Information Services of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In the same vein, Legislative Information Services should provide information services which satisfy users according to their information needs and the changes. In light of that, this study aims at enhancing users' satisfaction and suggesting information services for the Legislative Information Services of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Accordingly, this study surveys assemblymen and their assistants of satisfaction in Legislative Information Services and suggests some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 based on the survey results.

초록보기
초록

최근 도서관에서 실시하는 이용자 만족도 조사, LibQUAL+ 평가 등을 통해 계량적 데이터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직접적 견해를 담은 이용자 코멘트 데이터가 점점 더 많이 수집되고 있다. 이러한 질적 데이터는 이용자의 입장을 이해하고, 도서관 서비스의 환경 개선이 필요한 영역을 확인하며, 이용자 니즈의 우선순위를 파악하는 등 도서관 서비스 개선을 위한 전략 수립에 유용한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용자 코멘트 데이터는 그 내용이 분석되고, 분석 결과를 서비스 및 정책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용자 코멘트 데이터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고자, LibQUAL+ 설문의 이용자 코멘트 분석을 중심으로 하여 실제 외국 도서관의 LibQUAL+ 설문 이용자 코멘트 분석 방법을 알아보고, 분석을 위해 사용된 질적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및 분류표 등 분석도구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대표적 질적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와 외국에서 LibQUAL+ 이용자 코멘트 분석을 위해 개발된 분류표를 최근 국내 대학도서관에서 시행된 LibQUAL+ 설문의 이용자 코멘트 일부에 적용하여 분석해봄으로써 그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Using user satisfaction surveys and LibQUAL+ instruments, libraries are increasingly gathering qualitative data such as verbatim user comments as well as quantitative data. Such qualitative data can be utilized as clues in establishing library service strategies: to better understand user issues, to identify areas for service improvement, and to prioritize user needs. For this, it is necessary to analyze user comments data and to apply results to the delivery of service and the library policies. This study is an attempt to investigate ways in which user comments data can be made useful in libraries. It identifies different methods of analyzing user comments data from LibQUAL+ surveys and compares qualitative data analysis software programs and taxonomies. It also presents the results of applying these tools to a subset of actual user comments data gathered from a recent LibQUAL+ survey at a major university library in Korea.

56
김성훈(성균관대학교) ; 조형래(성균관대학교 컴퓨터교육학과) ; 정지인(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19, Vol.36, No.3, pp.175-201 https://doi.org/10.3743/KOSIM.2019.36.3.175
초록보기
초록

4차 산업혁명시대에 있어 학습자는 의사소통, 논리적, 창의적 사고 등의 영역에서의 발전이 요구된다. 이에 대학도서관은 이용자들이 새로운 사회적 상황에 적합한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새로운 서비스들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하브루타는 이러한 필요를 채울 수 있는 교육 접근법으로서 대학도서관이 적용가능한 방안 중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하브루타의 개념 조사, 국내외 대학도서관의 하브루타 기반 서비스 사례 조사, 선행 국내 대학도서관 하브루타 기반 서비스에 대한 인터뷰를 통해 대학도서관에 적용할 수 있는 하브루타 서비스를 제안하여 하브루타에 대한 인식, 하브루타 서비스의 공간 및 콘텐츠, 하브루타 서비스의 제공 및 이용 의사에 대해 운영자와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분석 결과, 하브루타 서비스의 하브루타 주제 제공, 그룹 조직, 교재 대여, 공간 예약 간소화, 자료 공유, 동기부여 체계 영역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Abstract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tudents are required to develop in areas such as communication, logic, and creative thinking. Therefore, the university libraries need to develop new services so that students can grow up to be suitable for the new social situations. Havruta is an educational approach that can meet these needs and is one of the measures the university libraries want to apply. Thus, through 1) the investigation of the concept of Havruta, 2) the case study of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y libraries, and 3) interview of the Havtura-based service, this study 4) proposed the Havruta service applicable to the university libraries and 5) conducted a survey of operators and users on the awareness of the Havruta service, space, and contents of the Havruta service, and the willingness of the Havruta service. Results of the survey analysis revealed implications for the areas of the Havruta service - Havruta theme, group organization, textbook rental, simplication of space reservation, data sharing and motivation system.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Y세대의 특징을 밝히고 Y세대가 요구하는 차세대디지털도서관서비스를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이들의 요구가 베이비붐세대와 어느 정도 차이를 보이는지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Y세대가 가장 많이 이용하는 디지털기기는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데스크탑 PC, 노트북 PC, 디지털 카메라 순으로 나타났으며, 사용비율에 있어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그 순위는 베이비붐세대와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다. 둘째, 이용하는 디지털서비스에 있어서 Y세대와 베이비붐세대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Y세대는 인터넷 포털을 가장 많이 이용하고 베이비붐세대는 이메일서비스를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Y세대와 베이비붐세대가 차세대디지털도서관에 요구하는 서비스를 클라우드서비스, 무한창조공간, 빅데이터, 증강현실, 구글글래스, 상황인식기술, 시맨틱서비스, SNS서비스, 디지털교과서서비스, RFID 및 QRCode 서비스, 도서관공간구성, 최첨단디스플레이기술, 기타 획기적인 서비스로 구분하여 조사한 결과, Y세대가 가장 높은 요구도를 보인 서비스는 빅데이터서비스였고, 베이비붐세대는 디지털교과서서비스였다.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Y generation, to derive the services of the next generation digital library, and to compare differences between the demands of the baby boom generation and the Y generation to some extent. As a result, first, it is shown that the digital device the Y generation uses the most, was a cell phone or smartphone, followed by desktop PC, notebook PC, and digital camera. Al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the Y generation’s use ratio of digital devices was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baby boomer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Y generation and baby boom generation in terms of using digital services. While the Y generation used internet portals the most, the baby boom generation used e-mail service the most. Third, we surveyed the services which the Y generation and baby boom generation require for the next generation digital libraries, by grouping as follows: the cloud service, infinite creative space (maker space), big data, augmented reality, Google Glass, context-aware technologies, semantic services, SNS service, digital textbook service, RFID and QRCode service, library space configuration, a state-of-the-art display technology, and other innovative services. While the most demanded service by the Y generation was big data service, the baby boom generation most demanded digital textbook service.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정규 과목으로서 정보이용교육을 수강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컴퓨터활용능력과 도서관 관련 지식이 이용빈도와 정보활용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고, 이용빈도와 정보활용능력은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보다 나은 정보이용교육의 수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서울경기지역 소재 7개 대학의 8개 수업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가설검증을 통해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정보이용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대학당국의 인식과 더불어 향후의 정보이용교육은 도서관자료를 이용한 학술정보활용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임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how undergraduate students' computer literacy and library knowledge can affect their frequency of library material use and information literacy, and analyze the correlations between frequency of library material use and information literacy. Data were collected by distributing questionnaires to students of 7 universities in 8 credit-given user education courses, and correlations with variables were analyzed through hypothesis testing. It was suggested that with strong support of university administration, user education should be taught by using more of scholarly library material.

59
박지홍(연세대학교) ; 박진희(연세대학교) ; 남은경(연세대학교) ; 이서하(연세대학교) 2013, Vol.30, No.4, pp.93-110 https://doi.org/10.3743/KOSIM.2013.30.4.093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During the last decade, increasing use of technology that facilitates information access has changed academic library services. The emergence of information commons is one of the key changes. Most previous studies on information commons have focused on its conception and role. Whereas, considering information commons as a spatial servic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commons on user traffic patterns within the library and perception of the library. As the information commons grew into main library service space and facility, it is necessary to explore what influences information commons have on the behavior and recognition of users. Two methods were used. First, observation method was used to record traffic pattern and user behavior. Second, twenty undergraduates and twelve graduates were interviewed regarding the use and recognition of the information commons and the librar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traffic patterns were different between undergraduat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the location and structure of facilities influences their movement and behaviors; and the recognition of information commons tends to affect the perception of the entire library. The findings may help librarians improve and plan for library spaces to meet user demands.

60
지선혜(국립중앙도서관 사서) ; 이지연(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20, Vol.37, No.2, pp.95-117 https://doi.org/10.3743/KOSIM.2020.37.2.095
초록보기
초록

공공도서관에서 이용자의 지적․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제공하는 문화 프로그램의 하나로 전시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에서 운영하는 순회전시 운영 방식과 홍보 방법의 차이를 알아보고 순회전시의 이용 정도에 따른 이용자의 인식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책 속 인물에게 보내는 한글 손 편지’ 수상작 순회전시를 연구 프로그램으로 선정하여 5개 공공도서관의 이용자 총 38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순회전시의 운영 방식에 따라 전시 이용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시 홍보물’과 ‘도서관 홈페이지’는 순회전시 홍보를 위한 유용한 수단으로 나타났다. 또한 순회전시를 적극적으로 이용한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 순회전시 효과, 순회전시 평가가 소극적인 이용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통해 순회전시의 이용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Public libraries provide a variety of services for users to meet their intellectual and cultural needs. Thus, the proportion of exhibitions as one of the cultural programs offered by the libraries has been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operation method and promotion method of traveling exhibition hosted by public libraries and to verify the differences of users’ percep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use of the traveling exhibition. For this purpose, a research program, the traveling exhibition of the award-winning works: the Hangeul Hand Letters to the People in Books of the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was selected. A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385 users from five public libraries.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se of traveling exhibition among library users, depending on the operation method of traveling exhibition of the public libraries. And, the ‘promotional material’ and ‘library homepage’ were proven to be a useful way to promote the traveling exhibition. Also, the overall use of library, the effect of traveling exhibition, and the evaluation of traveling exhibition of the users who actively used the traveling exhibition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users who passively used it. Based on the findings, methods to increase the use of the traveling exhibition were suggested.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