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이용 분석., 검색결과: 310
61
한지연(포항공과대학교 학술정보처) ; 문성빈(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20, Vol.37, No.3, pp.275-299 https://doi.org/10.3743/KOSIM.2020.37.3.27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의 교수와 학생 이용자가 전통적인 형태의 물리적 도서관과 온라인 정보이용 중심의 디지털 도서관이 혼합된 하이브리드 형태의 도서관 환경에서 대학도서관을 이용하고자 하는 행동 의도 즉, 도서관 이용 의도를 결정하는 요인들과 그 요인들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학의 주요 구성원 그룹이 가지고 있는 대학도서관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개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도서관 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관계 분석을 위해 사회심리학에서 빈번히 활용되는 행동-태도 이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계획행동이론(TPB)과 기술수용모형(TAM)을 기반으로 한 통합모형을 제안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용환경 변화에 따른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에 대한 인식과 이용 의도를 물리적 도서관과 디지털도서관으로 나누어 각각 확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도서관의 미래 전략 및 운영 방안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도서관으로 하여금 변화하는 환경에서 생존하고 균형적인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인지, 주목, 그리고 협력을 바탕으로 한 효과적이며 효율적인 운영전략을 수립하여야 한다는 점을 주지하고 있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affecting behavioral intention of professors and students at universities to use academic libraries in a hybrid library environment where a traditional physical library is combined with a digital library that is centered on online information us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factors were also analyzed in this study by utilizing a combined behavioural model which was based on TPB and TAM. This study identified users’ intention to use academic librarie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use environment, and the findings of this study bring a valuable meaning to library administrators for setting up the strategic plan for the future of academic libra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academic libraries should strategically setup an effective and efficient operating plan based on awareness, attention and cooperation, in order to survive as well as to accomplish balanced growth in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상호대차활성화에 따른 이.공계열 외국학술지의 이용빈도를 조사해보고, 외국학술지 분담구독의 모델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이용연구는 2000년도 E대학도서관의 459종의 구독학술지와 144종의 분담구독 학술지를 포함한 총 603종을 평가대상으로 하여 관내 이용통계와 상호대차통계를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결과 439종의 학술지가 1회 이상 이용되었으며, 164종의 불용학술지가 조사되었다. 또한 E대학 이용자의 이용빈도와 JCR의 주제분야별 총인용빈도 상위학술지간에는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이용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는 효과적인 학술지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use study is to evaluate foreign science and technology serials with reference to the result of interlibrary loan activity and to present the model of cooperative acquisition. This study was based upon an analysis of actual use data by library users and interlibrary loan from March 1, 2000 to February 28, 2001. 603 titles of foreign serials which were composed of 459 subscription titles of E University Library and 144 cooperative acquisition titles in the fields of science and technology were analyzed. The study reveals that only 439 serials(72.8%) were used even more once and 164 serials were not used at all during 1 year interval. A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rankings of serials as measured by use and JCR citation ranking. Based upon various aspects of use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effective techniques for managing academic serials.

63
유종덕(경기대학교) ; 최은주(경기대학교) 2011, Vol.28, No.1, pp.123-144 https://doi.org/10.3743/KOSIM.2011.28.1.12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학문의 지적 구조를 분석하는 새로운 분석기법인 저자프로파일링분석과 전통적인 분석기법인 저자동시인용분석을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국내 연구환경에 맞는 지적 구조 분석 방법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인용색인을 이용하지 않고 학문의 지적 구조를 분석할 수 있는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저자프로파일링분석을 통하여 새로운 지적 구조 방법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대상 학술지는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를 대상으로 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compared Author Profiling Analysis(APA) to Author Co-Citation Analysis (ACA). The former is a new analytic technique on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a science whereas the latter is a traditional analytic techniqu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ppropriate methods to analyze intellectual structure of a science in the Korean research environment.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adopted APA using Text Mining for analysis on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a science rather than relying on citation index in order to determine a potential utility of the new analytic technique that can identify the intellectual structure.

64
남영준(중앙대학교) ; 양지안(중앙대학교) 2010, Vol.27, No.3, pp.307-323 https://doi.org/10.3743/KOSIM.2010.27.3.307
초록보기
초록

정보환경의 변화에 따라 도서관과 웹 검색엔진의 차별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용자들은 인터넷의 자원과 학술데이터베이스의 자원을 혼동하고 있다. 특히 구글스칼라와 같은 상업용 검색엔진의 검색속도와 조작 편의성이라는 상대적 장점 때문에 학술데이터베이스가 갖고 있는 학술적 가치와 신뢰성에도 불구하고 이용자는 구글스칼라를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구글스칼라가 갖는 장점을 반영한 메타서치시스템의 특성과 가치를 인터페이스 측면과 전자정보원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이러한 새로운 검색채널로서 메타서치시스템과 이와 연계된 링크리졸버를 이용하는 대학도서관의 이용통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구글스칼라와 차별화될 수 있는 도서관만의 특징인 이용자 이용행태 패턴과 주제별 전자정보 이용행태를 도출하여 전자정보 서비스의 방안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조사하였다.

Abstract

The amount of online scholarly information rapidly expands in numerous resources, while user behavior demands single search box interface like Google Scholar. Despite scholarly values of e-resources libraries provide, users consider Google Scholar as the most efficient research tool attracted by its speed, simplicity, ease of use, and convenience. Characteristics of Metasearch System compared with Google Scholar are analyzed from perspectives of the interface and e-resource. Based on usage statistics of Metasearch System along with a link resolver in one academic library, e-resource accessibility patterns and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of subject-specific areas are investigated for electronic information service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적극적 정보제공 서비스로서의 테마전시 이용행태를 조사하고, 그 효과로서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행태 변화와 인식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테마전시를 제공하는 3개 도서관의 7명의 사서와 8명의 이용자 심층인터뷰를 통해 연구 질문 및 설문지를 개발하고, 232명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 및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테마전시 서비스가 이용자들의 다양한 자료이용을 도울 뿐 아니라, 사서에 대한 인식 및 도서관 평가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각 도서관의 환경과 이용자층에 맞춰 테마전시를 적극적으로 수행할 것을 제안하였다.

Abstract

We investigated the user behavior of the theme display provided by the public libraries as an active information service. Specifically, we wanted to study the library patrons’ library use behavior and perception. There were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librarians and eight patrons to develop a set of research questions and the questionnaire. We conducted the survey with 232 patrons then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analysis result revealed that the theme display helped the patrons’ wider use of the library resources and also positively affected patrons’ perception on the librarians as well as the evaluation of the library services. Based on the findings, we recommended the active incorporation of the theme display within the limitation of the libraries’ facility and patrons’ interest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도서관 이용자에 대한 정보서비스 실패의 심각성이 서비스 회복 공정성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서비스 회복 노력들이 이용자의 만족과 재이용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대학 도서관의 정보서비스 실패를 경험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452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파악하였다. 첫째, 서비스 실패의 심각성이 강할수록 서비스 회복을 위한 공정성에 부(-)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서비스 회복을 위한 서비스 회복 공정성 인식이 높을수록 이용자의 회복 만족도는 높아진다. 셋째, 서비스 회복의 절차적 공정성, 상호작용 공정성 인식이 높을수록 이용자의 재이용과 추천 의도는 높아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정보서비스 실패에 대한 서비스 회복 노력으로 이용자의 회복 만족도가 높아질수록 대학도서관의 이용자가 다시 찾거나 다른 이용자에게 이용을 권유한다고 할 수 있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ole of information service failure severity within existing framework of service recovery justice research and analyse the effects of the attribution of service recoveries on recovered user satisfaction and revisit. For empirical analysis, A total of 452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analyse the data gathered from university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information service failures of university library. Som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service failure severity has negative effect on service recovery justice. Second,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recovery justice has positive effect on recovered user satisfaction. Third, service recovery justice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justice. Finally, recovered user satisfaction has positive effect on user revisit and mouth of word.

초록보기
초록

스피치 요약을 생성하는데 있어서 두 가지 중요한 측면은 스피치에서 핵심 내용을 추출하는 것과 추출한 내용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강의 자료의 스피치 요약의 자동 생성을 위해서 스피치 자막이 없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 스피치의 음향학적 자질 즉, 스피치의 속도, 피치(소리의 높낮이) 및 강도(소리의 세기)의 세 가지 요인을 이용하여 스피치 요약을 생성할 수 있는지 분석하고, 이 중 가장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요인이 무엇인지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강도(최대값 dB과 최소값 dB간의 차이)가 가장 효율적인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강도를 이용한 방식의 효율성과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이 방식과 본문 키워드 방식간의 차이를 요약문의 품질 측면에서 분석하고, 이 두 방식에 의해서 각 세그먼트(문장)에 할당된 가중치간의 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그런 다음 추출된 스피치의 핵심 세그먼트를 오디오 또는 텍스트 형태로 표현했을 때 어떤 특성이 있는지 이용자 관점에서 분석해 봄으로써 음향학적 특성을 이용한 스피치 요약을 효율적으로 추출하여 표현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wo fundamental aspects of speech summary generation are the extraction of key speech content and the style of presentation of the extracted speech synopses. We first investigated whether acoustic features (speaking rate, pitch pattern, and intensity) are equally important and, if not, which one can be effectively modeled to compute the significance of segments for lecture summarization.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intensity (that is, difference between max DB and min DB) is the most efficient factor for speech summarization. We evaluated the intensity-based method of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max-DB and min-DB by comparing it to the keyword-based method in terms of which method produces better speech summaries and of how similar weight values assigned to segments by two methods are. Then, we investigated the way to present speech summaries to the viewers. As such, for speech summarization, we suggested how to extract key segments from a speech video efficiently using acoustic features and then present the extracted segments to the viewers.

68
황성욱(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 정예용(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 김수정(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오효정(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20, Vol.37, No.2, pp.23-45 https://doi.org/10.3743/KOSIM.2020.37.2.023
초록보기
초록

최근 ‘코로나19’라는 초유의 재난 사태를 맞이하여 대한민국 정부의 투명한 정보 공개를 통한 적극적 대응에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이렇듯 공공데이터 개방은 특정 정보에 대한 국민의 인지도와 접근성을 높임으로써 다양한 사회적, 경제적 가치를 상승시키는 데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정부차원에서 주도적으로 수집하고 공개하고 있는 공공데이터포털의 이용 활성화를 위해 각국에서 운영하고 있는 SNS 현황과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공공데이터포털 SNS 운용현황을 살펴보고, 그 중 선진 사례 3국(인도, 미국, 한국)의 서비스를 선정하여 계량 분석, 피드백 분석, 시계열 분석, 정보유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통해 정보유형 및 이용요구를 파악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공공데이터 이용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Abstract

The world is paying attention to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aggressive COVID-19 response, key of which is transparency and openness in sharing information. Opening up government information is essential to enhancing its social and economic value through increased awareness and accessi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SNS operated by national open data portals in which government-collected and -disclosed data is available and to suggest improvements for the use of open data portals. To do this, the study compared 3 national open data portals, each from India, U.S.A, and Korea, by performing quantitative analysis, user feedback analysis, time-series analysis, and information type analysis. Based on the identified information types and user needs, the study suggests concrete ways to facilitate the use of open data portals.

69
이창수(경북대학교) ; 김신영(숭의여자대학) 2003, Vol.20, No.1, pp.231-250 https://doi.org/10.3743/KOSIM.2003.20.1.231
초록보기
초록

정보기술의 급격한 발전은 이용 가능한 정보량의 급증 뿐 만 아니라 정보의 형태에 있어서도 다양화를 가져왔다. 정보이용능력은 정보를 검색하고, 분석하고 이용하는데 필요한 기술이다. 이는 대학교육의 핵심 목표이자 도서관 교육의 새로운 경향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급증하는 정보이용능력에 관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교육 프로그램이나 교수-사서간의 협력에 관한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도서관 교육이 교과과정의 일부가 되기 위해서는 대학구성원간의 긴밀한 협력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는 외국 대학도서관에서 채택하고 있는 정보이용능력 교육 프로그램을 개관하고, 대학구성원간 협력에 있어 성공사례를 분석해보았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대학에서 정보이용능력 교육의 시행에 필요한 절차의 개요를 제시해보았다

Abstract

The rapid advances in information technologies have resulted in not only the proliferation of the amount of information available but also the variety of information formats. Information literacy is the set of skills needed to find, retrieve, analyze, and use information. Therefore, information literacy which should be the core goal of the university education has been a new trend of the library instruction. Nevertheless, despite the increasing Interest in the information literacy. there has been little discussion about educational Programs. and there has been little coordination between faculty and librarians on the programs. Under such circumstances, campus-wide teamwork is needed so that the library instruction can become part of the entire learning Processes of university education. This Paper presents an overview of the models adopted by foreign university libraries and also analyses the successful cases of the campus-wide partnership of each model of information literacy programs. Based on these. the outline of the needed procedure for the enforcement of the information literacy in the university of our country is suggested.

70
유병희(덕성여자대학교) ; 박소연(덕성여자대학교) 2017, Vol.34, No.3, pp.67-87 https://doi.org/10.3743/KOSIM.2017.34.3.06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 도서관 이용 만족도가 대학생의 대학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두 곳의 사립 대학교 대학생들 360명을 대상으로 두 차례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일차 조사 결과, 시설 만족도와 교육 서비스 만족도의 영향을 통제한 상황에서, 대학 도서관 이용 만족도가 대학 생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차 조사에서는 도서관 서비스 품질 변수를 세 가지 차원(직원, 자원 및 서비스, 시설 및 환경)으로 추가하였으며, 분석 결과, 도서관 서비스 품질이 도서관 이용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도서관 이용 만족도는 대학 생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재확인되었다. 또한 두 집단 분석 결과, 도서관 이용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낮은 집단보다 도서관 이용 만족도가 대학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library satisfaction on college life satisfaction. In order to test this relationship, two surveys were conducted involving 360 college students at two universities in Seoul. The results of the first survey show that after controlling for the educational service satisfaction and facilities satisfaction, there is a significant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library satisfaction on college life satisfaction. The second study added variables for the three components of library service quality (librarian service quality, library resources and service quality, and library facilities and environmental quality). The results of the second survey show that there is a significant influence of library service quality on college library satisfaction, and again a significant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library satisfaction on college life satisfaction. Moreover, the results of two group analysis show that the influence of college library satisfaction on college life satisfaction is stronger in high usage group than low usage group.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