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users, 검색결과: 428
초록보기
초록

컴퓨터와 정보통신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터넷의 활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가상공간에서 중요 매체가 되는 웹사이트의 기능과 역할은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웹사이트에 대한 올바른 수준 평가는 웹사이트의 구축과 운영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많은 선행 연구에서 웹사이트 평가요소가 사용자의 만족도와 재방문에 대한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웹사이트 평가요소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대학도서관의 웹사이트 평가요소를 디자인, 콘텐츠, 사용자 인터페이스, 신뢰감, 운영관리라는 5 가지 항목으로 선정하였고, 사용자 만족과 재방문 의도를 내생 변수로 한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가설을 설정한 다음, 실증 연구를 통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 사용자 만족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가장 영향을 받으며, 재방문 의도는 콘텐츠와 사용자에 대한 신뢰감에 영향을 받는다. 하지만 대학도서관의 웹사이트는 사용자 만족과 재방문 의도 간에는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단정할 수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s time goes by, the function and role of website become more important. Therefore, it is very critical to evaluate and improve continuously the website to the purpose. Many previous studies show that some website evaluation factors will influence the user satisfaction and revisit to the website. The website evaluation criteria from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university library website evaluation were classified into five assessment criteria which are design, contents, user interface, reliability, and site management. In the results, some significant suggestions were found out. User satisfaction is seriously affected by user interface, and user's intention to revisit is influenced by contents and reliability, but there may not be a close connection between them. Besides, the evaluation method in this study may be applicable to the new website-improving approach of website administrators and researchers.

72
신수연(University of Pittsburgh) ; 김성민(University of Pittsburgh) 2010, Vol.27, No.2, pp.201-216 https://doi.org/10.3743/KOSIM.2010.27.2.201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idea of Library 2.0 originated from the concept of Web 2.0 social interactions within the Web. From this aspect, Library 2.0 is a library blended with Web 2.0. The most remarkable features of Library 2.0 are interactions and user involvement. Users' roles in new library environments are greater since they can contribute to establishing a library collection by annotating, blogging, reviewing, etc. While users’ roles become important, the responsibilities of the librarians increase due to the unfiltered information created by users. Librarians now should extend their roles as information creators, organizers, providers, managers, as well as moderators. In this paper, we reviewed the current literature on the new paradigm of digital libraries, Library 2.0, and the development of Library 2.0. In addition, we discuss the extended role of the Librarian 2.0 in Library 2.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초등학교 도서관 온라인목록의 인터페이스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진단하고, 기존시스템의 개선과 새로운 시스템의 설계시에 고려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초등학교 도서관 온라인목록은 대략 6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고, 6가지 유형에 대하여 각각 검색방식, 검색결과의 제시, 용어사용상의 문제, 제공하는 기능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브라우징을 통한 주제접근방식에서 지나치게 광범한 주제 분류, 검색어입력방식에서 지나치게 많은 선택가능한 검색항목의 수, 초기치 설정 문제, 자료유형의 지나친 세분화, 간략서지와 상세서지에 포함시킬 데이터요소와 배열순서, 용어사용의 불일치, 축약형 사용, 도움말 메시지의 부재 등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catalogs’ interface of elementary school libraries, and to propose how to design user-friendly interfaces. The online catalogs of elementary school libraries are categorized into 6 types. Such topics as the features of search methods, the record display formats, the terminology usage, and the special features of the 6 types are discussed. Some shortcomings are examined and how to improve them is suggested.

74
최희윤(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황혜경(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미사용)) ; 백종명(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12, Vol.29, No.1, pp.279-302 https://doi.org/10.3743/KOSIM.2012.29.1.27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오픈액세스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만족도를 분석하여 향후 오픈액세스 활동의 활성화 및 발전방안 수립을 위한 전략과제를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오픈액세스코리아 서비스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서비스별 품질을 나타내는 이용자의 만족도 지표는 해당 서비스에 대해 이용자들이 지각하는 품질을 측정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며, 품질지수, 만족지수, 성과지수로 구성되었다. 분석결과 사회적 품질, 사회적 만족 등의 항목은 상대적으로 높게 산출되어 국내 연구자들의 오픈액세스서비스에 대한 사회적 기여도 및 공익성 측면에서의 긍정적인 평가와 기대를 확인하였다. 반면, 서비스 과정품질 항목은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여주었으며 국내 오픈액세스 콘텐츠의 부족에 대한 의견이 다수 도출되어 국가 차원의 전략수립 시 콘텐츠 개발 및 확보 전략에 대한 고려가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오픈액세스에 대한 정책적 지원, 오픈액세스 저널 출판 및 리포지터리 운영, 거버넌스체제 구축 및 오픈액세스 홍보활동을 통한 연구자들의 참여 유도, 글로벌 공조체제 구축 등이 전략과제로 제시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ervice quality factors that affect user satisfaction of Open Access Korea(OAK) services and to draw strategic assignments for activating open access activities in Korea through a user satisfaction survey. User satisfaction indexes were developed to measure all aspects of the OAK services. The quality index, satisfaction index, and performance index were identified in this survey. According to the survey findings, the levels of social quality and social satisfaction are relatively high, this shows the positive evaluation and expectation of researchers for OAK services. However, relatively low level is identified in the area of service process quality, and many opinions about OA contents shortage in Korea represent the importance of the national level contents development strategy. Sustainable policy support, publishing of open access journals, management of institutional repository, OA governance system, expansion of researchers' participation, construction of global collaboration system are suggested as major implications to promote open access activities in Korea.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이용자 중심 웹 정보탐색 분야의 실체이론을 분석함으로써 웹 정보탐색행위 영역의 통합이론 구축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실체이론은 웹 이용자의 정보탐색행위를 설명하는 변인들 간의 유의한 관계를 밝히거나 이용자 행위를 일반화한 연구결과로 정의되었다. 1995년부터 2005년 사이에 네 종의 학술지에 출판된 이용자 중심의 웹 정보탐색 연구는 총 42편이었고, 이 중에서 10편이 실체이론 개발에 기여하였다. 분석결과, 13개의 종속변인과 10개의 독립변인이 다루어졌고 이 중 22개의 관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체이론의 대부분은 이용자의 개별적 차이에 초점을 두고 각기 다른 속성을 갖는 이용자의 웹 정보탐색행위를 설명하고자 하였으며, 이용자 행위의 일부 측면(검색행위, 탐색시간 등)만을 다루는 것이 특징이었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통합이론 구축을 위한 시사점이 제안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substantive theories in user studies on Web-based information seeking in order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building a unified theory in this field. Substantive theory is defined as research which generalized user behaviors during information seeking on the Web or suggested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in Web-based information seeking context. The sample of research articles were published in four core journals from 1995 to 2005. Among 42 articles of user-based information seeking on the Web, ten articles wer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substantive theories. Findings show that substantive theories used thirteen dependent and ten independent variables and 22 relationships were considered as significant. They have a tendency to focus on individual differences of users and on some specific narrow aspects(i.e. searching or searching time) of user behaviors. Findings suggested a range of implications for a unified theory construction.

76
김보금(연세대학교) ; 이지연(연세대학교) 2012, Vol.29, No.1, pp.211-229 https://doi.org/10.3743/KOSIM.2012.29.1.211
초록보기
초록

전자책은 전용 단말기 기술의 향상으로 꾸준히 주목을 받고 있으나, 전자책의 효율성과 인지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이용률이 낮다. 이 연구에서는 전자책 이용 환경을 개선하고 이용자들의 필요와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먼저 전자책의 이용과 이용성 연구 설계에서 제안하고 있는 원칙과 기존 휴리스틱 연구 유형에 대한 문헌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전자책 이용 경험자들을 대상으로 목적성 표집을 하였고 모집된 22명의 실험 참여자들은 휴리스틱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을 통하여 지적된 이용성 문제와 요구된 이용 편리성을 모두 종합하여 최종 10개의 휴리스틱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usability of eBook reader programs on personal computers through heuristic evaluation in order to learn users’ perceptions and derive key elements for interface design. For this purpose, the traditional usability evaluation and heuristic evaluation method were studied. A total of 22 evaluators of the heuristic evaluation were taken by purposive sampling to test the interface of eBook reader on PCs. This study suggested ten heuristics that focus on improving and specializing the usability aspects of reading digital materials.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어린이도서관 웹사이트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만족도를 분석하고 나아가 이용자 만족도, 충성도, 불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만족도 분석 방법은 김희섭과 박용재의 모형을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이용자 만족도는 크게 콘텐츠품질, 서비스품질, 그리고 시스템품질의 세 가지 차원으로 나누었다. 자료 수집은 D 어린이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 중 유효자료 130부를 SPSS 18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어린이도서관 이용자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충성도는 높았지만 이와는 반대로 불평도는 낮게 나타났다. 이용자 만족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요인들로는 (1) 콘텐츠 차원에서는 유용성, 정확성, 이해용이성, 신뢰성, 최신성, (2) 서비스 차원에서는 유형성, 신뢰성, 응답성, 공감성, 그리고 (3) 시스템 차원에서는 응답시간, 상호작용, 접근용이성, 사용용이성 등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ser satisfaction, royalty and compliant of a children’s library Website. To achieve the aim of this study a modified Kim and Park’s model of the user satisfaction index which consists of information quality, service quality, and system quality dimension is adopted. A total of 130 valid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 were analysed using SPSS 18. It is found that the higher the user satisfaction gives the higher the royalty and the lower the compliant. For the contents quality dimension, the items of Usability, Accuracy, Easy of understand, Reliability and Up-to-date; for the service quality dimension, the items of Interface design, Reliability, Responsiveness, and Empathy; for the system quality dimension, the items of Response time, Interactive, Easy to access, and Easy to use show a significant relationships to the users’ satisfaction.

78
곽승진(충남대학교) ; 노영희(건국대학교) ; 강봉숙(청주대학교) ; 고재민(수원과학대학교 융합디자인학부 실내건축디자인학과) ; 김정택(배재대학교 학술정보팀) ; 곽우정(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지식콘텐츠연구소) 2022, Vol.39, No.2, pp.87-110 https://doi.org/10.3743/KOSIM.2022.39.2.08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옥천군 생활문화체육센터 도서관 건립 이후 운영 방안을 수립할 필요성을 기반으로 하며, 옥천군 내의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옥천군 도서관의 기능․역할 및 장서 운영방향, 이용자 서비스 활성화 및 이용현황 조사, 향후 이용 의사 등에 대한 선호도 조사, 희망 서비스에 대한 인식 등을 조사하였다. 인식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옥천군민이 도서관에 요구하는 방향성을 파악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결과, 첫째, 장서 계획 수립 시 이용자의 요구도를 반영하여 자료 유형은 인쇄자료 및 멀티미디어 자료를 기반으로 하고, 문학, 예술, 역사, 기술과학 등의 주제분야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수집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다양한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전반적인 정보서비스 계획 수립이 필요하며, 이와 함께 이용자 선호도에 따른 다양한 정보서비스 개발과 협력형 서비스 제공이 필요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옥천군민들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을 고려하여 향후 다양한 주제 및 각 연령층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확대해야 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넷째, 신규건립 및 공간 개선이 필요하며, 전반적으로 열린 공간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문화공간의 경우 청소년 문화시설, 주민편의시설, 무한상상실, (체험)전시관 등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need to establish an operational plan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the Okcheon-gun Daily Life Culture and Sports Center Library, and for the users of public libraries in Okcheon-gun, the functions and roles of the Okcheon-gun Library, collection related to operational direction, user service related activation, library usage related status survey, preference for the future use and perception of desired services were survey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erception survey, the direction required by the Okcheon-gun residents for the Library was identified,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when establishing a collection plan, the data types ought to be based on the printed materials and the multi-media materials to reflect the needs of the users, and it may also be necessary to collect them in consideration of the subject areas including literature, art, history, and technical sciences. Second,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services, it would be necessary to establish an overall information service plan, and it was identifi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information services according to the user preferences and provide cooperative services. Third, it was determined that the programs appropriate for the various subjects and age groups should be continuously expanded moving forward in consideration of the larges demand for programs by the residents of Okcheon-gun. Fourth, new constructions and spatial improvements are needed, and the overall preference for open spaces was significant. In the case of cultural space, the preference for youth cultural facilities, convenience facilities for residents, infinite loss of imagination, and the (experiential) exhibition halls turned out to be large.

79
강주연(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 김태영(전북대학교) ; 최정원(전북대학교) ; 오효정(전북대학교) 2016, Vol.33, No.3, pp.263-285 https://doi.org/10.3743/KOSIM.2016.33.3.263
초록보기
초록

요즘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가장 각광받고 있는 도구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이하 SNS)로, 이용자들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서비스로 자리 잡았다. 본 연구에서는 가장 대표적인 SNS 서비스 중 자동수집이 가능한 서비스인 트위터(Twittter)를 선정, 국내외 국립기록관의 트위터 운용 현황을 비교 분석하고 그 특징을 파악함으로써 이용자들의 관심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미국의 NARA를 비롯해 영국의 TNA, 호주의 NAA와 국내의 국가기록원의 트윗(tweet)을 수집하고 이에 대한 정보 유형 분석과 시계열 분석을 실시하였다. 정보 유형 분석은 국립기록관이 제공하는 정보가 이용자의 정보 요구에 부응하는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으며 시계열 분석은 시간의 추이에 따른 이용자의 반응 추이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각국의 국립기록관 트위터 운용의 비교분석을 통해 4가지의 특성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국가기록원의 트위터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였다.

Abstract

Nowadays, Social Network Service (SNS), which has been in the spotlight as a way of communication, has become a most effective tool to improve easy of information use and accessibility for users. In this paper, we chose Twitter as the most representative SNS services because of automatic crawling and investigated tweet data gathered from domestic and foreign National Archives - NARA of U.S.A., TNA of U.K.. NAA of Australia, and National Archives of Korea. We also conducted information genres analysis and trend analysis by timeline. Information genres analysis shows how archives satisfied users’ information needs as well as trends analysis of tweets helps to understand how users’ interestedness was changed. Based on comparison results, we distilled four characteristics of National Archives and suggested vitalization ways for National Archives of Korea.

80
이두영(중앙대학교) ; 윤대진(부천만화정보센터) 2003, Vol.20, No.3, pp.177-197 https://doi.org/10.3743/KOSIM.2003.20.3.177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subject and standards of evaluation on integrated IR interface. For this study, we studied the preceding research about major IR interface models. We took the survey for interface elements which were verified by experts. These interface elements are divided twe viewpoints. One is the cognitive viewpoints which are the page design, content design, site design, output form, usability and aesthelic facet. The other is the objective viewpoints which are page design, dontent design, site design, output for and usability. We found that these evaluation elements have a crediblilty. [ 더 많은 내용 보기 ]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