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검색어: , 검색결과: 193
초록보기
초록

기본의미등록기(BSR)는 전자상거래 및 EDI 관련 시스템 사이의 상호연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등록기이다. XML 기반 BSR 등록개체들의 구조정보나 다양한 관계의 자동추출은 현재 불가능하다. 이 연구에서는 BSR에 등록되는 정보를 자원기술-프레임웍(RDF)과 웹온톨로지언어(OWL)에 기반하는 기계가독형으로 정의한 대표적인 예를 제시하고 결론적으로 5개의 기본 권고안을 도출하였다. 즉 BSR 컴포넌트 소속의 클래스 정의에서 동의어의 표현에는 OWL의 'sameAs', 유사어 표현에는 OWL의 'equivalenlClass', BSR 개념들 간의 상.하 관계 표현은 RDF 스키마의 'subClassOF', BSR의 의미단위(BSU)에 관한 정의는 RDF 스키마의 'label', 인스턴스 용례에 관한 설명은 RDF 스키마의 'comment', 각 BSU의 클래스 소속에 관한 정의는 RDF 스키마의 'domain', BSU가 취할 수 있는 데이터유형에 대한 정의는 RDF 스키마의 'range'등을 적용하며, 나아가 BSR 데이터요소의 정의에 XML 스키마의 데이터 유형을 접목시키고 BSU들 간의 상.하 관계 표현에 RDF 스키마의 'subPropertyOF'를 적용할 것을 추천하였다.

Abstract

The Basic Semantic Register(BSR) is and official ISO register designed for interoperability among eBusiness and EDI systems. The entities registered in the current BSR are not defined in a machine-understandable way, which renders automatic extraction of structural and relationship information from the register impossi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a framework for designing an ontology that can provide semantic interoperability among BSR-based systems by defining data structures and relationships with RDF and OWL, similar meaning by the 'equivalentClass' construct in OWL, the hierachical relationships among classes by the 'subClassOf' construct in RDF schema, definition of any entities in BSR by the 'label' construct in RDF schema, specification of usage guidelines by the 'comment' construct in RDF schema, assignment of classes to BSU's by the 'domain' construct in RDF schema, specification of data types of BSU's by the 'range' construct in RDF schema. Hierarchical relationships among properties in BSR can be expressed using the 'subPropertyOf' in RDF schema. Progress in semantic interoperability can be expected among BSR-based systems through applications of semantic web technology suggested in this study.

82
유현경(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 육혜인(전북대학교) ; 한희정(전북대학교) ; 김용(전북대학교) 2015, Vol.32, No.1, pp.109-134 https://doi.org/10.3743/KOSIM.2015.32.1.109
초록보기
초록

한류3.0 시대를 맞이하여 기존 미디어 중심의 한류문화에서 벗어나 다양한 한류문화콘텐츠 개발을 통해 한국문화의 세계화와 지속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전략적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LOD기반의 음식문화콘텐츠 서비스 제공을 통해 음식문화 관련 정보뿐만 아니라 다른 문화콘텐츠들과도 망라적으로 연결시켜 다양한 한류문화콘텐츠들이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및 사례분석을 통해 음식문화의 개념을 정립하고 분류하였으며, LOD기반의 음식문화콘텐츠 서비스의 적용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음식문화 LOD 구축 프로세스 및 서비스 모형을 제안함으로써 LOD기반의 한류문화서비스 확장에 관한 기초 연구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Abstract

In the Korean wave 3.0 age, it is needed to prepare how to globalize and hold Korean culture through development of various Korean wave culture contents from existing contents focused on media.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developing the various Korean wave culture contents as linking information about other culture contents as well as food culture by extending Korean culture contents service based on LO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stablished and assorted the concept of food culture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and analyzed the applicability of the services of food culture contents based on LOD. Futhermore, this study provides the basis on extension of Korean wave culture service and suggests the process of implementation of food culture LOD and service model.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1) 소설 속 지명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고, 2) 확장 가능한 지명 DB를 위해 자동으로 지명을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며, 3) 데이터베이스 내의 소설지명과 용례를 검색하고 시각화하는 파일럿시스템을 구현하는 데 있다. 특히, 학습자료(training)에 해당하는 말뭉치(corpus)를 확보하기 어려운, 소설지명과 같이 현재 잘 쓰이지 않는 개체명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이다. 효과적인 지명 정보 추출용 학습자료 말뭉치 확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이미 수작업으로 구축된 웹 지식(어휘사전)을 활용하여 학습에 필요한 충분한 양의 학습말뭉치를 확보하는 방안을 적용하였다. 이렇게 확보된 학습용 코퍼스와 학습된 자동추출 모듈을 가지고, 새로운 지명 용례를 찾아 추가하는 지명 데이터베이스 확장 도구를 만들었으며, 소설지명을 지도 위에 시각화하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또한, 시범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실험적으로 그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끝으로, 현재 시스템의 보완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esign a semi-automatic web-based pilot system 1) to build a Korean novel geo-name, 2) to update the database using automatic geo-name extraction for a scalable database, and 3) to retrieve/visualize the usage of an old geo-name on the map. In particular, the problem of extracting novel geo-names, which are currently obsolete, is difficult to solve because obtaining a corpus used for training dataset is burden. To build a corpus for training data, an admin tool, HTML crawler and parser in Python, crawled geo-names and usages from a vocabulary dictionary for Korean New Novel enough to train a named entity tagger for extracting even novel geo-names not shown up in a training corpus. By means of a training corpus and an automatic extraction tool, the geo-name database was made scalable. In addition, the system can visualize the geo-name on the map. The work of study also designed, implemented the prototype and empirically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pilot system. Lastly, items to be improved have also been addressed.

초록보기
초록

과학기술분야 전문학술지의 학술논문 투고와 심사처리 전과정에 대한 영문전용의 웹기반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하여 국내외의 대표적인 사례로 Elsevier Editorial System과 KISTI-ACOMS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해양과학기술분야 전문학술지 Ocean Science Journal에 적용할 수 있는 웹기반 논문투고심사시스템이 구현되었다. 웹기반 시스템은 기존의 오프라인 논문심사과정에서 발생하는 원고관리, 심사기간의 지연과 원고분실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e-journal 전자출판의 기반이 자연스럽게 조성되어 효율적이고 신속한 학술정보 유통환경이 구축된다. 이러한 시스템의 개발과 활용은 과학기술분야 전문학술지의 수준제고 및 국제화 과정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Abstract

In order to design a web-based English Article Submission & Management System for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papers, Elsevier Editorial System and KISTI-ACOMS, international and domestic models--respectively--are studied and analysed. Through this analysis, a web-based paper submission and review system which can be applied to Ocean Science Journal, a research journal in the field of Oceanography, is developed. The web-based system is not only able to solve problems such as complex manuscript management, delays in the reviewing process, and loss of manuscripts that occur often in off-line paper review processes, but also is able to construct the basis for e-journal electronic publication. As a result, an effective and rapid scholarly communication environment can be made.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this system can improve the reputation and the globaliz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journals.

85
이승욱(고려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 송영인(고려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 임해창(고려대학교) 2008, Vol.25, No.4, pp.115-129 https://doi.org/10.3743/KOSIM.2008.25.4.115
초록보기
초록

최근 웹 환경이 대중화되고 개방됨에 따라 웹은 단순한 정보 획득의 공간이 아닌, 의견 표출과 교환의 장이 되어 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웹 상에서 표출된 특정 주제에 대한 사람들의 의견을 자동으로 검색하기 위한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의견 문서 검색 문제는 사용자 질의와 문서간의 적합성만을 고려하는 일반적인 정보검색 방법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우며, 문서 내 의견 포함 여부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더욱 진보된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검색 시스템의 구조 하에서, 의견 문서 검색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의견 검색을 수행하기 위해 문서 내 의견 분석 방법에 대해 기존의 사전 기반 방식과 기계학습 기반 방식을 결합한 새로운 혼합 방식을 제안하고, 실험을 통하여 검색 성능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음을 보였다.

Abstract

Recently, as its growth and popularization, the Web is changed into the place where people express, share and debate their opinions rather than the space of information seeking. Accordingly, the needs for searching opinions expressed in the Web are also increasing. However, it is difficult to meet these needs by using a classical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that only concerns the relevance between the user's query and documents. Instead, a more advanced system that captures subjective information through documents is required. The proposed system effectively retrieves opinionated documents by utilizing an existing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This paper proposes a kind of hybrid method which can utilize both a dictionary-based opinion analysis technique and a machine learning based opinion analysis techniqu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performance.

초록보기
초록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주요 기술인 상황인지는 환경을 구성하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 기기로부터 전달되는 상황 정보를 이해하고 처리하며, 다양한 도메인에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는 상황인지 모델을 필요로 한다. 시맨틱 웹 기술 기반의 온톨로지는 구조화된 공통의 포맷을 이용하고 의미적인 정보의 표현이 가능하므로, 시스템이 상황 정보를 공유하고 이해, 추론함으로써 효과적인 상황인지가 가능하다. 따라서 온톨로지를 이용한 상황인지 모델이 여러 연구에서 제시되어 왔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기존 연구들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상황인지 모델의 범용성과 확장성을 위해 온톨로지의 구조를 계층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황인지 시스템을 구현하여 실제 u-Convention 도메인에 적용하였다. 또한 OWL-DL의 기술논리와 SWRL 규칙 추론을 결합함으로써 복합적인 상황을 효과적으로 추론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Abstract

Context-awareness as a key technology of ubiquitous computing needs a context model that understands and processes situational information coming from diverse sensors and devices, and can be applied diversely in various domains. Semantic web based ontologies use structured standard format and express meaning of information, so it is possible to recognize effectively context-awareness situations, allowing the system to share information and understand situation by inference. In this paper, we propose a layered ontology model to support generality and scaleability of the context-awareness system, and applied the model to u-Convention domain. In addition, we propose a effective reasoning method to handle compound situation by combining OWL-DL and SWRL rules.

초록보기
초록

역사에 관심 있는 대한민국 국민 누구나 우리 역사에 쉽게 접근하여 재미있게 배울 수 있으며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역사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 서비스 구축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시맨틱 웹 구축을 통해 정보의 공유 및 재활용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링크드 데이터를 통해 구체화되고 있다. 기존의 전문연구자 중심의 원문 DB구축에서 탈피하여 일반인도 쉽게 이해하고 이용할 수 있는 대중적 콘텐츠 구축은 여러 기관, 포털, 그리고 일부 개인을 중심으로 구축되고 있으나 정보 공유 및 활용성 측면에 대한 고려 없이 개별적으로 중복 구축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문사료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정보공유 및 연결을 통한 정보유통 체계를 확보하여 웹상의 다양한 데이터와의 연결로 풍부한 정보제공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방안으로 LOD 기반 한국사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구축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nyone curious to easily access and learn Korean history has become interested in Korean history data bases, which will provide accurate and reliable historical information. Furthermore, user demands for information sharing and reusability, available through setting up a semantic web, have been increased, which have taken the shape of linked data. Efforts have been made to construct public data bases containing readily usable contents a user can understand and utilize with ease. They have been produced by several organizations, portal sites, and individuals, trying to deviate from existing mainstreams - expert-based text data bases. A problem with those data bases is that they have not considered such vital factors as the sharing and utilizing of information as a whole. This study suggests a LOD-based Korean history contents implementation system, providing rich information environment by way of multi-dimensional web-data connections. In doing so, this system has tried a historic information circulation service system which is based on information sharing and connecting.

초록보기
초록

디지털 도서관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 자원의 형태와 종류가 다양화됨에 따라 자료의 유형별로 적정 수준의 메타데이터를 정의하고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일반 텍스트 자료와 달리 수치로 표현된 데이터에 대한 해석을 필요로 하는 통계 자료의 특성상, 통계 도메인에서 메타데이터는 통계 자료의 검색뿐 아니라 검색된 자료의 정확한 이해와 활용을 위한 필수적인 도구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통계 메타데이터 연구는 통계 작성 기관이나 분석 기관의 전문적인 요구에 중점을 두고 있어, 인터넷을 통해 통계 자료에 접근하는 일반 이용자들의 관점에서의 논의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일반 이용자를 위한 통계 메타데이터에 대한 논의의 단초로서, 본 연구는 미국의 연방 통계 기관인 the Bureau of Labor Statistics (BLS, HYPERLINK "http://www.bls.gov/" http://www.bls.gov/) 및 the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EIA, HYPERLINK "http://www.eia.doe.gov/" http://www.eia.doe.gov/)의 웹사이트에 대한 내용 분석을 통해, 현재 인터넷을 통해 통계 자료에 접근하는 이용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는 메타데이터의 현황을 평가하였다. 본 사례 연구의 결과는 이들 웹사이트를 통해 제공되는 방대한 양의 자료에도 불구하고 메타데이터의 제공 수준은 국제 기구에 의해 정의된 최소 수준에 미치지 못함을 나타내고 있어,이용자 중심의 메타데이터 설계의 필요성을 재확인 하고 있다.

Abstract

As increasingly diverse kinds of information materials are available on the Internet, it becomes a challenge to define an adequate level of metadata provision for each different type of material in the context of digital libraries. This study explores issues of metadata provision for a particular type of material, statistical tables. Statistical data always involves numbers and numeric values which should be interpreted with an understanding of underlying concepts and constructs. Because of the unique data characteristics, metadata in the statistical domain is essential not only for finding and discovering relevant data, but also for understanding and using the data found. However, in statistical metadata research, more emphasis has been put on the question of what metadata is necessary for processing the data and less on what metadata should be presented to users.In this study, a case study was conducted to gauge the status of metadata provision for statistical tables on the Internet. The websites of two federal statistical agencies in the United States were selected and a content analysis method was used for that purpose. The result showing insufficient and inconsistent provision of metadata demonstrate the need for more discussions on statistical metadata from the ordinary web users’ perspective.

89
권범중(충남대학교) ; 곽승진(충남대학교) 2007, Vol.24, No.3, pp.219-244 https://doi.org/10.3743/KOSIM.2007.24.3.21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참고정보원 관리도구를 데스크탑 기반, 웹 기반, 웹 2.0 기반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각 유형에 대한 대표적인 도구를 선정하여 각 도구의 제공기능에 대한 비교ㆍ분석과 이용자 중심에서 사용성을 비교ㆍ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도구의 제공기능에 대한 조사를 위해 먼저 각 도구의 제공기능에 대한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유형별 도구에 대한 사용성 평가는 실험 후 각 참고정보원 관리도구의 만족도, 이해 편리성, 적합성, 효율성에 대한 비교 연구로 진행하였으며, 정량적 연구방법과 정성적 연구방법을 병행하였다. 정량적 연구의 데이터 수집을 위한 조사도구로 설문조사를 사용하였으며, 정성적 연구는 각각의 실험자에 대한 면담을 통하여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유형별 참고정보원 관리도구에 대한 사용성 비교 평가를 통해 얻어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용자 만족도의 평균값은 도구 B(웹 기반)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도구 A(데스크탑 기반), 도구 C(웹 2.0기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해 편리성은 도구 B, 도구 C, 도구 A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적합성은 도구 A, 도구 B, 도구 C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효율성은 도구 B, 도구 A, 도구 C 순으로 나타났다.

Abstract

Reference resources management tools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Desktop-based, Web-based, and Web 2.0-based. This study is intend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functions provided by the three types of tools and also to compare and evaluate their usability. Each Tools were chosen to represent each type. For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functions provided by the three types of tools, we divided the process of using reference resources management tools into four steps and then compared and analyzed sub items in each step. Satisfaction, understandability, conformance and efficiency that items for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the usability were compared us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We surveyed the participants to collect data for quantitative research; and interviewed them and analyzed the results for qualitative research. Here are the results from evaluating the usability of Tool A(Desktop-based), B(Web-based), C(Web 2.0 based). First, Tool B had the highest mean user satisfaction, followed by Tool A and Tool C. Secondly, Tool B had the lead in understandability, followed by Tool A and Tool C. Thirdly, Tool A had the highest mean conformance, followed by Tool B and Tool C. Fourth, Tool B had the highest mean efficiency, followed by Tool A and Tool C.

초록보기
초록

논문기사의 비평적 초록을 웹 환경 아래서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하여 비평 단서어구, 비평 정보 범례, 비평 수록 문장 발췌규칙, 비평문장 생성규칙을 작성하였다. 비평 정보를 발췌하고 문장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비평문 작성 도움 온톨로지를 만들어 비평의 단초가 되는 단서어구와 문장 간의 징후들을 관리 운영하였다. 징후들은 원문의 연구목적, 방법, 결과, 결론 문장을 중심으로 그 주변 문장들에서 상호 작용하여 표출되는 문맥적 정보를 이용하였다. 실제 비평문장의 성능을 조사한 결과, 발췌 및 생성 규칙의 개선과 온톨로지의 관계들이 보강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Abstract

Cue words and phrases of critical sentences, Paradigms knowing the critical information between sentences, Rules extracting the sentences contained critical information and producing the critical sentences were made to construct the critical abstract of scholar journals in the web environment. The ontology aided to accomplish above works were designed, to manage and operate the cue words and phrases in documents and the symptoms related to Purpose, Method, Result, and Conclusion sentences. The results of performance test remarked to improve the advancement of extraction and production rules and the reinforcement of ontology's relationship.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