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중요도, 검색결과: 188
81
이선우(연세대) ; 김기영(연세대학교) 2009, Vol.26, No.1, pp.259-278 https://doi.org/10.3743/KOSIM.2009.26.1.259
초록보기
초록

전국사서협회는 1990년 전국의 사서직을 대상으로 전문직 단체를 표방하며 설립되어 도서관소관부처 이관, 도서관법 개정 등 도서관계 중요 사안에 영향을 주었으나 1997년 이후 뚜렷한 활동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지금까지 협회의 역할 및 활동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에 본고는 이러한 전국사서협회의 생성, 활동 및 소강에 대하여 전문직 관점을 통해 그 원인과 의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전문직 단체의 관점에서 전국사서협회는 사서직 서비스 시장의 통제, 자율성의 획득을 통해 사서직의 전문직성을 높이는 방법으로 사서직의 전문직화를 꾀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지만, 조직에 기반하고 있는 사서직의 특성은 협회 활동 소강에 일정 부분 영향을 주고 있음을 볼 수 있다.

Abstract

The Korean Librarian Association was established in 1990 for the professionalization of the librarian in Korea. So far there has been no research with the association as a main subject in spite of its importance in the history of Korean Libraries. In this study, we attempt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the importance of the association from the view point of professionalism. As a professional association, the Korean Librarian Association tried to get professional autonomy from the governing bodies and the market to reach higher level in professionalization. But the activities of the association has been radically declined since 1997, which would be affected by the character of librarianship that is mainly based not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but on organitzational characteristics.

82
이현정(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김기영(연세대학교) 2017, Vol.34, No.1, pp.111-134 https://doi.org/10.3743/KOSIM.2017.34.1.1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사서의 계속교육 효과성을 교육에서 습득한 지식과 기술을 적용하려는 의도인 학습전이에 두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여 이들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계속교육 참여 경험이 있는 대학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사서 계속교육이 도서관 실무에 효과적으로 적용되기 위해 계속교육의 프로그램 특성뿐만 아니라 학습자 특성, 조직 환경적 특성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계속교육의 사전 및 사후 활동을 개별 대학도서관이 조직차원에서 관리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학습전이 영향요인을 기반으로 한 대학도서관 조직 차원의 사서 계속교육 운영 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factors to the effectiveness of librarians’ continuing education, which is regarded as learning transfer,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iveness and the factors identified. Learning transfer is defined as an intention to apply the lessons learned in the education to the learner’s practice.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ontinuing education experiences of university librarians. Findings indicate that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librarians, educational program,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 have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o manage librarians’ continuing education effectively.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university library as an organization should control pre- and post-activities of continuing librarians’ education at the library in order to maximize the learning transfer as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Suggestions are developed with factors to the learning transf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정보활용능력의 여러 영역 중에서 대학생이 과제를 해결하는 상황에서 정보의 적합성을 판단하고 평가해나가는 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중요 문제를 규명함으로써 정보활용교육에 반영할 개선사항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대학생 9명을 대상으로 과제해결과정에서 적합성 판단이 어떻게 이루어지는 지에 대해 심층면담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연구참여자의 의견과 부합되는 내용 정보 판단의 어려움, 신문기사의 신뢰성에 대한 판단의 어려움, 과제의 특성상 적합성 판단 시간 확보의 어려움, 적합한 정보원 판단과 과제평가결과 연관의 어려움이 주요 문제로서 분석되었다. 따라서 권장사항으로서 객관적인 적합성 판단기준의 교육, 신뢰성 있는 정보원 안내, 교수자의 참고 정보원 활용 가이드라인 제시, Big 6 4.1단계 교육의 강조 등이 제시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relevance judgement of college students’ problem solving process and suggest improvements for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Th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9 subjects to identify relevance judgement processes and problems. As a result, the main problems during relevance judgement processes were judgement about content of document aligned with subject’s opinion, judgement about reliability of newspaper articles, shortage of relevance judgement time due to deadline of an assignment and judgement of relationship of documents and evaluation result. The recommendations for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are as follows: objective relevance judgement education, guidance of reliable information source, showing guideline of using reference information by professor and emphasis of engaging in information (4.1 stage of Big 6).

84
김희섭(경북대학교) ; 정영미(동의대학교) 2005, Vol.22, No.2, pp.165-184 https://doi.org/10.3743/KOSIM.2005.22.2.165
초록보기
초록

지식정보 사회가 점차 발전되어 감에 따라 온라인으로 제공되고 있는 정보에 대한 가치와 그 중요성이 날로 증가되고 있다. 하지만 정당화된 방법론이나 모델의 부재로 인하여 정보의 가치에 관련된 연구는 다소 미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정보의 경제적 가치 평가 모델을 제안하고, 제안된 모델을 이용하여 실제로 정보통신부의 지원사업으로 개발 운영중인 정보통신 통합정보시스템(즉, ITFIND)에서 온라인으로 제공되고 있는 정보의 경제적 가치를 산출하였다. 경제적인 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첫째, 정보의 카테고리별 이용가치와 교환가치를 측정하였고, 둘째, 이용자의 연간 수요량을 통해 정보 카테고리별 연간 일인당 CSUV와 CSEV를 산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ITFIND 전체 이용자의 연간 일인당 모평균 CSUV와 CSEV 추정을 통해 ITFIND에서 제공하고 있는 정보의 연간 경제적 가치인 CSUV와 CSEV를 산출하였다.

Abstract

Value and importance of online information are increased day by day as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is emerging. However there is little study on information assessments due to the lack of the valid methodologies and models in this field. In this study we proposed a model of the economic value assessments for online information and utilized it to the contents of ITFIND which is an integrated IT information system supported by the MIC(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We measured information value of ITFIND as follows: (1)both ‘use value' and ‘exchange value,' (2) annual CSUVand CSEV per person by the category of each information, and (3) annual economic value of CSUV and CSEV of ITFIND information based on it's users' annual CSUV and CSEV per person.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전공 대학생의 진로성숙도가 전문성 추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두 변수 사이에서 교수-학생관계 만족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대 대학생 12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다중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변수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문헌정보학 전공 학생에게 있어 진로성숙도는 그 자체만으로 전문성추구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진로성숙도와 전문성 추구 사이에서 교수-학생관계 만족도는 진로성숙도를 강화시켜 학생들의 전문성 추구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따라서 문헌정보학 전공 학생들의 진로준비에 있어 전문성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교수의 진로지도와 원활한 의사소통 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career maturity of college students on the pursuit of professionalism in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or this purpose, 128 students in their twenties were surveyed and the influence of variables was verifi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the career maturity of the students majoring in literature and information science had little effect on the pursuit of professionalism. However, satisfaction with the professor-student relationshi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cognition of students’ pursuit of professionalism by enhancing career maturity. Therefore, in order to pursue professionalism in the preparation of the career path of the librarianship major, it is important that the professor’s career guidance and smooth communication are important.

86
최상희(대구가톨릭대학교) ; 이재윤(경기대학교) 2012, Vol.29, No.1, pp.331-349 https://doi.org/10.3743/KOSIM.2012.29.1.331
초록보기
초록

구조적 초록은 학술 논문의 주제를 표현하는 역할을 하여 학술 논문을 처리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어왔다. 이 연구에서는 구조적 초록을 구성하는 세부 필드의 속성을 4개로 분석하고 초록의 구조를 활용하여 문서 클러스터링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고찰고자 하였다. 구조적 초록의 필드 속성을 문서 클러스터링에 적용한 결과 클러스터링 기법간의 편차가 있었으나 연구 목적이 제공하는 정보량에 비해 주제성이 커서 클러스터링 성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석 결과 특정 필드에 특화되어 출현하는 필드 종속적인 단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필드 종속적인 단어를 배제하고 집단내 평균연결 기법을 적용하였을 때는 클러스터링의 성능이 개선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Structured abstracts have been regarded as an essential information factor to represent topics of journal articl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unconventional view to utilize structured abstracts with the analysis on sub fields of a structured abstract in depth. In this study, a structured abstract was segmented into four fields, namely, purpose, design, findings, and values/implications. Each field was compared in the performance analysis of document clustering. In result, the purpose statement of an abstract affected on the performance of journal article clustering more than any other fields. Furthermore, certain types of keywords were identified to be excluded in the document clustering to improve clustering performance, especially by Within group average clustering method. These keywords had stronger relationship to a specific abstract field such as research design than the topic of an article.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뇌파측정기술(EEG)의 ERP와 판별분석을 이용하여 이용자 기반의 비디오 키프레임들을 자동으로 추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2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해서 이미지 처리 과정을 다섯 개의 정보처리단계들(자극주목, 자극지각, 기억인출, 자극/기억 대조, 적합 판정)로 구분하여 각 단계별로 적합한 뇌파측정기술의 ERP 유형을 제안하여 검증해 보았다. 검증 결과, 각 단계별로 서로 다른 ERP 유형(N100, P200, N400, P3b, P600)을 나타냈다. 또한 세 그룹(적합, 부분적합 및 비적합 프레임)간을 구별할 수 있는 중요한 변수들로는 P3b에서 P7의 양전위 최고값과 FP2의 음전위 최저값의 잠재기로 나타났고, 이러한 변수들을 이용해 판별분석을 수행한 후 적합 및 비적합 프레임들을 분류할 수 있었다.

Abstract

This study proposed a key-frame automatic extraction method for video storyboard surrogates based on users’ cognitive responses, EEG signals and discriminant analysis. Using twenty participants, we examined which ERP pattern is suitable for each step, assuming that there are five image recognition and process steps (stimuli attention, stimuli perception, memory retrieval, stimuli/memory comparison, relevance judgement). As a result, we found that each step has a suitable ERP pattern, such as N100, P200, N400, P3b, and P600. Moreover, we also found that the peak amplitude of left parietal lobe (P7) and the latency of FP2 are important variables in distinguishing among relevant, partial, and non-relevant frames. Using these variables, we conducted a discriminant analysis to classify between relevant and non-relevant frames.

88
정은경(이화여자대학교) ; 정연경(이화여자대학교) ; 이정연(경기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Vol.26, No.1, pp.147-161 https://doi.org/10.3743/KOSIM.2009.26.1.147
초록보기
초록

학문의 전문화와 학제성은 학문의 발전과 함께 이루어지며, 학제성을 규명하는 것은 학문의 좌표 설정에 있어서 중요하다. 본 연구는 연구자의 소속 학과와 연구 영역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서 학제성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학술진흥재단에 등록된 63,578명의 연구자 소속 학과와 대분류 및 중분류 연구영역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서, 대분류 연구영역 간에는 사회과학과 복합학, 의약학과 복합학, 자연과학과 의약학, 자연과학과 농수해양 간의 학제성을 찾아볼 수 있었다. 보다 구체적인 상관관계는 중분류 연구영역 단계와 소속 학과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나타났다. 즉, 복합학과 사회과학은 다양한 연구영역이 서로 학제적 성격을 나타내며, 복합학과 의약학은 복합학 하위의 뇌과학 연구영역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자연과학과 의약학은 자연과학 내의 기타자연과학, 화학, 생물학에 기인한 것이며, 자연과학과 농수해양은 농수해양 내의 농학, 수산학, 식품과학 연구영역에 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interdisciplinarity among eight research areas based upon the correlations between researchers' department affiliations and research areas. More specifically, eight research areas and their sub-areas, 153 sub-areas with researchers' department affiliations were analyzed in terms of Pearson correlation analyses. The findings demonstrated that there was interdisciplinarity between Social Science and Multiple Science Areas, Social Science and Medical & Pharmaceutical Area, Natural Science and Medical & Pharmaceutical Area, and Medical & Pharmaceutical Area and Agricultural Science.

89
이승민(Indiana University) ; 김혜경(인천대학교) 2004, Vol.21, No.2, pp.127-152 https://doi.org/10.3743/KOSIM.2004.21.2.127
초록보기
초록

웹사이트는 기존의 정보의 저장소로서의 역할에서 벗어나 이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과 상호작용을 위한 동적인 정보접근 수단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기능이 효과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웹사이트에 수록되는 정보는 체계적이며 이용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조직되어야 한다. 이러한 측면은 대학 웹사이트에서는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된다. 하지만, 현재의 대학 웹사이트에서 채용하고 있는 정보구조에는 이용자의 정보요구가 반영되지 않고 있으며, 일률적인 체계로 정보를 조직함으로써 웹사이트 전체의 효용성을 저하시키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이용자의 정보요구를 최대한 반영하고 웹사이트 전체의 정보접근성을 확보할 수 있는 대학 웹사이트의 정보구조를 제안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Abstract

In the current information environment, the concept of a website has been transformed from the repository of information to means of accessing information which can communicate and interact with users. To function well as an accessing tool to information, the information embedded in a website should be organized in a way that users can easily understand the whole informational structure. This aspect of a website might be more important to a university's website. However, the informational structures which current university's websites adopt do not reflect their users' information needs. They construct their structure uniformly, and it causes the decrease of the websites' usability.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proposes a new and systematical way of constructing a university's website which can reflect users' information needs and ensure the usability of the websites.

초록보기
초록

미래 도서관의 패러다임이 정보소장에서 정보접근으로 변화됨에 따라 도서관상호협력과 문헌제공서비스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개별 도서관들은 자료의 구입예산을 절감하고 도서관정보서비스의 질적인 향상을 물론 이용자의 정보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제고한다는 점에서 문헌제공서비스의 활용은 상당한 장점이 있다. 본 연구는 문헌제공서비스의 효과적인 수행과 이용을 위한 국내 이용자들의 문헌제공서비스 트랜잭션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문헌제공서비스의 이용추이와 동향을 예측하고, 여기에 나타난 그들의 요구변화를 검토하여 국내 도서관 및 정보센터의 문헌제공서비스의 질적인 향상과 이용자 만족도 제고에 사용할 수 있는 근거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KISTI-DDS의 실제 이용데이터를 활용하여 문헌제공서비스의 연도별, 지역별, 이용계층별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자료유형별 복사추이도 관찰하였다. 또한 이용자들이 원문복사를 제공하는 복사제공기관과 원문입수방법을 검토하고 연도별, 이용계층별로 의미있는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sage patterns of document delivery services of domestic users based on usage transaction data about photocopying services of KISTI-DDS that the most important document delivery organization in Korea.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was investigated the number of processed document, type of favorite documents, ordering coverage for photocopying, delivery methods of photocopying documents for users in DDS(document delivery service) through transaction data of DDS during the past 4 years from 2000 to 2003.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