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문헌정보학 전공 대학생의 진로성숙도가 전문성 추구에 미치는 영향: 교수-학생관계 만족도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Career Maturity of College Student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on the Pursuit of Professionalism: Moderating Effects of Professor-Student Relationship Satisfaction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P)1013-0799; (E)2586-2073
2018, v.35 no.2, pp.167-186
https://doi.org/10.3743/KOSIM.2018.35.2.167
이수영 (대림대학교 아동문헌정보과)
남재우 (건국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전공 대학생의 진로성숙도가 전문성 추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두 변수 사이에서 교수-학생관계 만족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대 대학생 12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다중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변수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문헌정보학 전공 학생에게 있어 진로성숙도는 그 자체만으로 전문성추구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진로성숙도와 전문성 추구 사이에서 교수-학생관계 만족도는 진로성숙도를 강화시켜 학생들의 전문성 추구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따라서 문헌정보학 전공 학생들의 진로준비에 있어 전문성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교수의 진로지도와 원활한 의사소통 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career maturity, pursuing professionalism, professor satisfaction, undergraduate career, 문헌정보학 진로, 진로성숙도, 전문성추구, 교수-학생관계 만족도, 대학생 진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career maturity of college students on the pursuit of professionalism in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or this purpose, 128 students in their twenties were surveyed and the influence of variables was verifi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the career maturity of the students majoring in literature and information science had little effect on the pursuit of professionalism. However, satisfaction with the professor-student relationshi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cognition of students’ pursuit of professionalism by enhancing career maturity. Therefore, in order to pursue professionalism in the preparation of the career path of the librarianship major, it is important that the professor’s career guidance and smooth communication are important.

keywords
career maturity, pursuing professionalism, professor satisfaction, undergraduate career, 문헌정보학 진로, 진로성숙도, 전문성추구, 교수-학생관계 만족도, 대학생 진로

참고문헌

1.

강길현. (2017).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전문직 정체성 영향요인 분석 - 광주, 전남·북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 25(4), 65-87.

2.

고영지. (2011). 간호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7(1), 62-71.

3.

구혜자. (2015). 간호학생의 간호사이미지, 생명윤리의식 및 간호전문직관의 상관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11), 7356-7366. http://dx.doi.org/10.5762/KAIS.2015.16.11.7356.

4.

국가법령정보센터. 도서관법. http://www.law.go.kr.

5.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stdweb2.korean.go.kr.

6.

국립중앙도서관. 사서교육. http://edu.nl.go.kr.

7.

김경희. (2014). 대학생이 지각한 교수의 지지, 학습동기 및 학업적응의 관계모형 검증. 아시아교육연구, 15(1), 45-69. http://dx.doi.org/10.15753/aje.2014.15.1.003003.

8.

김계현. (2000). 대학생의 학과(學科)(학부(學部))만족(滿足)의 要因에 관한 연구. 상담학연구, 1(1), 7-20.

9.

김명숙. (2011). 간호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전공만족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7(2), 159-167.

10.

김성덕. (2014). 체육계열대학생의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대학구성원 상호작용이 전공만족 및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 12(4), 341-352.

11.

김수정. (2013). 대학생의 직업가치 유형화 연구. 進路敎育硏究, 26(1), 93-117.

12.

나태균. (2012). 외식조리 전공자가 인지한 교수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분석 - 충청도에 위치한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18(2), 106-117. http://dx.doi.org/10.20878/cshr.2012.18.2.008008008.

13.

노경섭. (2014).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 : SPSS & AMOS 21:한빛미디어.

14.

노영희. (2013). 문헌정보학과 재학생의 취업전망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4), 143-167. http://dx.doi.org/10.4275/KSLIS.2013.47.4.143.

15.

문화체육관광부. (2016). 2016 사서취업실태조사 결과. http://www.mcst.go.kr/web/s_notice/press/pressView.jsp?pSeq=15666.

16.

박남기. (2006). 교수의 역할과 자질. 大學敎育, 140(4), 44-49.

17.

송윤정. (2016). 대학생의 내재적 전공선택동기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 34(4), 61-77. http://dx.doi.org/10.22327/kei.2016.34.4.061.

18.

신재철. (2002). 대학교수의 역할과 자질. 大學敎育, 117(8), 54-52.

19.

엄영애. (2004). 사서직의 전문직 요건과 수행업무에 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3), 159-175.

20.

연합뉴스. (2017). 대학생 10명 중 6명 “학업 아니라 취업이 지상과제.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12/13/0200000000AKR20171213075200004.HTML.

21.

오윤수. (2014). 사회복지사직에 대한 사회복지학과 학생의 인식유형.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4(9), 285-297. http://dx.doi.org/10.5392/JKCA.2014.14.09.285.

22.

이제환. (2003). 전문직 이론을 통해 사서직의 전문성.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7(2), 57-87.

23.

이종구. (2007). 진로상담교수제가 재학생들의 학습?취업 역량과 경력개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K대학교 진로상담교수제 중심으로 -. 대한경영학회지, 20(3), 1383-1411.

24.

이종문. (2009). 문헌정보학 전공자의 선호 직업 및 준비성 실태 분석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2), 473-490. http://dx.doi.org/10.16981/kliss.40.2.200906.473.

25.

이종원. (2015).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사회적지지, 진로동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IJACE), 18(1), 33-54.

26.

이홍직. (2007).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성에 대한 인식 연구. 사회과학연구, 23(3), 151-172.

27.

이희영. (2003). 진로성숙과 상담:학지사.

28.

장석민. (1990). 진로성숙도 검사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한국교육개발원.

29.

장석민. (1991). 진로성숙도 검사 표준화 연구:한국교육개발원.

30.

정미나. (2016). 청소년 진로성숙의 영향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청소년연구, 27(3), 133-162. http://dx.doi.org/10.14816/sky.2016.27.3.133.

31.

정재호. (2015). 대학취업지원 역량 강화 연구:한국직업능력개발원.

32.

조재인. (2016). 문헌정보학과 학생의 직장으로서의 도서관․정보센터 이미지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0(3), 113-132. http://dx.doi.org/10.4275/KSLIS.2016.50.3.113.

33.

주미경. (2012). 3년제 간호학 전공 남학생과 여학생이 지각한 간호이미지와 간호전문직관.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8(3), 510-521. http://dx.doi.org/10.5977/jkasne.2012.18.3.510.

34.

최석봉. (2012). 대학생의 학업만족과 학습 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셀프리더십과 교수에 대한 인지적, 정서적 신뢰를 중심으로. 고객만족경영연구, 14(3), 65-84.

35.

한주빈. (2014). 사회복지학과 학생들의 진로확신정도에 지도교수가 미치는 영향: 실습성과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25(2), 183-205.

36.

한주원. (2013). 비서학전공 전문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사회적 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비서·사무경영연구, 22(2), 117-140.

37.

현혜순. (2018).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의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조절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4(1), 29-38. http://dx.doi.org/10.5977/jkasne.2018.24.1.29.

38.

Baron, R. M.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39.

Crites, J. O. (1973). Career maturity inventory: Theory and research handbook:Mc Graw Hill.

40.

Crites, J. O. (1978). Theory and research handbook for the career maturity inventory:CTB/McGraw-Hill.

41.

Crites, J. O. (1996). Revision of the career maturity inventory.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4, 131-138. http://dx.doi.org/10.1177/106907279600400202.

42.

Pascarella, E. T. (1991). How college affects students: Findings and insights from twenty years of research:Jossey-Bass.

43.

Savickas, M, L. (2011). Revision of the career maturity inventory: The adaptability form.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9(4), 355-374. http://dx.doi.org/10.1177/1069072711409342.

44.

Super, D. E. (1955). The psychology of careers:Harper.

45.

Watson, J. C. (2014). Counseling assessment and evaluation: Fundamentals of applied practice:Sage Publications.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