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검색어: information technology, 검색결과: 11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심리학 이론을 토대로 지역정보 시스템 이용모형을 개발함으로써, 지역주민을 위한 정보통신서비스의 이용을 효과적으로 설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필자는 Ajzen의 계획적 행위 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을 기본모형으로 선택하였는데, 이 이론은 (1) 지역정보 서비스 이용 결과에 대한 기대, (2) 주변 사람들의 권유, (3)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내외적 요인에 대한 자신의 통제 능력의 지각 등을 기본 골격으로 한다. 계획적 행위 이론은 일반적인 사회행동의 설명에 적용되어온 사회심리 이론이므로 필자는 지역정보 시스템 이용의 행동적 특성을 연구 모형에 반영하기 위하여 두 이론 즉, 인터넷 등 매체 이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널리 적용되어온 이용과 충족이론(Uses and gratifications)과 경영정보시스템 이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적용되어 온 기술수용모형(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을 추가적으로 검토했다. 417명의 지역정보망 시스템 이용자로 부터 수집된 실증자료를 토대로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 SEM)을 이용하여 제안된 지역정보 시스템 이용모형을 검증한 후 향상된 수정 모형을 제안했다. 그 결과, 지역정보 시스템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로 지역정보를 이용하고자 하는 의도, 태도, 주관적 규범, 정보습득에 대한 기대,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기대, 지역 연계에 대한 기대, 및 개인관련 규범 신념 등을 밝혀 냈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후속 연구과제가 결론에서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proposed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could explain the service use of a community informatics. The proposed community informatics use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three theoretical models: (1) Ajzen's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from social psychology; (2) Uses and gratifications approaches from media use research; and (3)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from information technology use research. The proposed model consists of three basic components: expectations of the outcomes from use, approvals from important others, and perceivied controllability over using the service. The initially proposed model was assess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n re-sepcified in order to propose a better fitting model. The initially proposed and revised community informatics use models were discussed with their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82
양명석(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강남규(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김윤정(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최광남(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김영국(충남대학교) 2012, Vol.29, No.4, pp.123-142 https://doi.org/10.3743/KOSIM.2012.29.4.123
초록보기
초록

최근 효과적인 정보검색을 제공하기 위해 시맨틱 웹을 비롯한 다양한 검색기법들을 사용하고 있다. 이중에서 효과적인 방법은 온톨로지를 이용한 검색기술을 적용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에서 구축한 국가R&D정보를 분석하여 온톨로지를 구축하고, 이용자가 관심있어 하는 주제분야(과제, 인물, 성과, 기관)를 중심으로 온톨로지의 객체관계를 표현하고 정보를 탐색하기 위한 국가R&D지식맵(knowledge map)을 구축하였다. 국가R&D지식맵은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를 중심노드로 설정하여, 주제분야를 노드로 표현하고, 객체와 주제분야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관심 있어 하는 질의를 주제분야의 하위노드로 표현하였다. 사용자가 하위노드의 질의를 선택하면 시스템에서는 선택한 질의를 온톨로지로부터 추론할 수 있는 SPAQL 질의어를 생성하고 추론엔진으로부터 검색결과를 받아 사용자에게 제시하였다.

Abstract

To develop an intelligent search engine to help users retrieve information effectively, various methods, such as Semantic Web, have been used, An effective retrieval method of such methods uses ontology technology. In this paper, we built National R&D ontology after analyzing National R&D Information in NTIS and then implemented National R&D Knowledge Map to represent and retrieve inform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 and subject (project, human information, organization, research result) in R&D Ontology. In the National R&D Knowledge Map, center-node is the object selected by users, node is subject, subject's sub-node is user's favorite query in National R&D ontology after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 and subject. When a user selects sub-node, the system displays the results from inference engine after making query by SPARQL in National R&D ontology.

83
윤중현(전주공업대학 정보비서과) 2002, Vol.19, No.2, pp.31-48 https://doi.org/10.3743/KOSIM.2002.19.2.031
초록보기
초록

폭발적인 디지털콘텐츠의 성장과 함께, 지식과 정보를 중계하고 유통시키는 조직으로서 도서관과 정보센터는 지식소유자와 이용자사이에서의 새로운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정보화사회에서 무형의 정보와 지식에 경제적인 가치가 더하게 되므로서 전자지불시스템은 이러한 중계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네트웍상에서 디지털콘텐츠를 전자적으로 사고 팔기 위해서는 데이터와 사용자의 정보에 대한 보안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지식중계시스템(전자도서관)은 이용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인터넷을 통하여 자신이 필요로 하는 디지털콘텐츠를 입수 및 구매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정보의 공유와 개방을 목표로 개발된 인터넷이 갖고 있는 기본적인 취약성 때문에 거래내용, 신용카드정보, 은행계좌정보. 혹은 관련 비밀번호, 사용자 정보 등의 중요정보들이 쉽게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넷과 같은 개방망에서의 전자거래의 보안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인증시스템과 관련된 암호관련 기술을 살펴보고 보다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서 고려되고 있는 스마트카드가 가지고 있는 장점을 온라인상의 전자거래에 적용하는데 있어서의 사용자와 스마트카드에 대한 인증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며 특히 개방형 네트워크상에서 의 스마트카드를 기반으로 하는 전자중계시스템에서의 사용자 및 스마트카드에 대한 동시적 다중인증 및 암호통신에 대한 프로토콜을 설계하고 이를 구현하였다.

Abstract

With explosively increasing digital contents, library and Information center should have a new role between knowledge providers and knowledge users as information brokering organization. Electronic transaction system should be required for performing this brokering service since economic value is added to information and knowledge in information society. The developments and changes around library are keeping up with increasing building digital library and digitalizing printed sources. With the rapidly changing circumstances, the Internet is currently witnessing an explosive growth. By serving as a virtual information resource. the Internet can dramatically change the way business is conducted and Information is provided. However because of features o( the Internet like openness and information sharing, it has fundamental vulnerabilities in security issues. For Instance, disclosure of private information and line eavesdropping such as password, banking account, transaction data on network and so on are primary obstruction factors to activation of digital contents delivery on network. For high network security and authentication, this paper looks at smart card technologies and proposes multi-authentication protocol based on smart card on open network, implements and analyzes it.

초록보기
초록

디지털도서관은 통합관리를 위해 정보기술의 표준화 모델인 아키텍처와 거버넌스를 도입하고 있으며, 도서관의 체계적인 정보기술 거버넌스는 도서관의 정보기술과 업무 부문의 효과적인 융합으로 통합적인 조직의 전략 및 목표를 개발하고, 추진하여 관리하는 조직 기능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 조직 내의 정보기술 및 업무 관련 사회연결망 구조를 통해 도서관의 통합적 관리․운영을 위한 전략적 연계의 사회적 자본에 대한 분석 모델을 제시하는 데 있다. 전략적 연계를 위한 사회적 자본의 분석 모형은 첫째, 인적자원의 특성을 통한 전체 사회연결망 분석으로 둘째, 1) 커뮤니케이션 2) 경쟁력 및 가치 3) 거버넌스 4) 파트너쉽 5) 범위와 아키텍처 6) 역량의 전략적 연계 요소 분석으로 셋째, 전략적 통합성 및 기능적 통합성의 전략 적 연계 분석으로 설계하였다. 이러한 세 가지 사회적 자본은 사회연결망 분석 이론의 연결성, 중심성, 관계성으로 평가된다.

Abstract

This research applied the concepts of IT architecture and IT governance for managing with an integrated computing environment and organized structure, which base a digital library’s management and operation. It also aims to analyze the structural system between information technology of human resources and strategy alignment elements of business, which both constitute the core content. Social network analysis software was used to investigate the complicated relationship between IT and business-related strategy alignment elements. The following is the results of carrying out this research on the social network structure and features of strategy alignment elements for a digital library. First, analysis indexes for strategy alignment elements and social network of a digital library were developed. Second, an analysis model was designed based on the analysis index for social network as to strategy alignment elements. Analysis model was appraised by collecting social network datasets for such strategy alignment elements as Communications, Competency and Value, Governance, Partnership, Scope and Architecture, and Skills against the Business strategy, Information strategy, Business and Technology of a digital library. As for the content of analysis, social network structure and specific features were analyzed in relation to a digital library’s (1) General social network, (2) Structure of strategy alignment elements, (3) Strategy fit and Functional integration.

85
이보은(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지연(연세대학교) 2019, Vol.36, No.1, pp.95-116 https://doi.org/10.3743/KOSIM.2019.36.1.09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학술정보검색에 있어 국내 대학생과 대학원생들이 외국어 탐색문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그리고 이용자의 특성에 따라 외국어 탐색문의 활용도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모형은 Ellis의 정보탐색과정 모형을 바탕으로 설계되었으며, 실험, 인터뷰, 통계분석 등 양적․질적인 연구방법을 모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학술정보검색의 각 단계에서 국문 검색 전략과는 다른 다양한 외국어 검색 전략들이 발견되었고, 이러한 검색 전략들은 특히 이용자의 전공분야와 학력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인문․사회과학분야 피실험자들이 과학기술분야 피실험자들에 비해 외국어 탐색문을 선정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으며, 이에 따라 외국어를 활용한 검색을 선호하지 않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외국어 학술정보검색에서 인용정보나 발행지 정보 등 본문 이외의 정보들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는 모습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이용자의 특성에 따라 학술정보검색 과정에 외국어를 활용하는 비중이나 느끼는 어려움의 정도에 차이가 존재한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향후 대학도서관은 이러한 이용자의 특성에 맞추어 이용자교육이나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Korean university students’ (both undergraduates and graduates) use of foreign language for scholarly information retrieval especially in different search strategies employed based on users’ characteristics. A new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Ellis’s behavioral model of information seeking strategies. The research applied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to analyze the data. The students used a variety of foreign language information seeking strategies at different stages of academic information retrieval based on his/her field of study or level of education. The liberal arts and social science students had more difficulty in selecting proper search terms in the foreign language than the science and technology students. This difficulty resulted in less preference for using foreign language queries by the liberal arts and social science students. The students relied more on the bibliographic and citation information in scholarly information retrieval using foreign language queries than the Korean queries. The research outcomes should provide some guidelines on how the Korean university libraries offer information literacy programs and other services based on the patrons’ characteristics.

초록보기
초록

학교도서관의 협력망은 시·도교육청을 중심으로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지털자료실지원센터는 학교도서관의 업무를 지원하기 위해 시·도교육청에 설치되는 종합정보시스템이다. 부산광역시교육청은 교육인적자원부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디지털자료실 설치 및 디지털자료실지원센터 구축 사업의 지원을 받아, 학교도서관을 지원하기 위한 디지털자료실지원센터를 16개 시·도교육청 중에서 최초로 설치하였다. 본고는 먼저 디지털자료실지원센터를 구축하는데 적용된 정보시스템의 기반 기술과 외국의 정보시스템 사례를 살펴보고, 부산광역시교육청의 정보시스템을 소개하고 있다.

Abstract

It''''s desirable to implement the network of school libraries based on the department of city or regional education. The digital library supporting center is an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implemented by the department of city or regional education for supporting school libraries. Busan Metropolitan Department of Education for the first time implemented a digital library supporting center, supported by digital libraries & the digital library supporting center project proceeded by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nd KERIS. This study at first is to present basic technologies applied in implementing a digital library supporting center and foreign country cases, and then to introduce information system of Busan Metropolitan Department of Education.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참고정보서비스의 최근 개발 동향을 고찰한 것이다. 디지털참고정보서비스와 관련한 국내외 선행 연구를 개관하였고 기술 개발로 인한 새로운 서비스 패러다임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웹 상의 참고정보서비스로서 도서관이 제공하는 것, 출판사에 의한 것, 전문가에 의한 것, 그리고 이용자 직접 탐색 등을 간략하게 열거하였다. 최근의 추세는 협력 모델이 주목을 받고 있으므로 Collaborative Digital Reference Service(CDRS)와 같은 디지털참고정보서비스 협력을 중점적으로 소개하였다. 도서관 전문직들은 디지털 환경에 적합한 참고정보서비스 협력에 관심을 가지고 그 필요성을 분석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This paper describes recent developments and trends of digital reference services. A brief overview of selected research on issues surrounding digital reference service is provided. It also discusses how technological developments in libraries have led to the emergence of new service paradigms. This paper briefly reviews reference and information services provided by libraries, those from publishers, those provided by experts, and those where users need to conduct a search and find information through the web. The current trend shows that the cooperative model is increasingly popular. Some projects on collaborative digital reference services(CDRS) are introduced. Librarians will need to continue analyzing the need for cooperative work in the reference service in a digital environment.

초록보기
초록

정보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국가경쟁력 및 대국민 서비스 강화를 위한 공공정보시스템의 구축이 확산되고 있다. 또한 막대한 공공재원이 투자되는 공공정보시스템은 효율성에 대한 정기적인 평가를 통한 존재가치의 입증 및 문제점 진단을 통한 성능개선의 요구도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의 대표적인 웹 기반 공공고용정보시스템 워크넷(Work-Net)의 데이터 및 서비스 품질을 102명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측정도구는 학계에서 많이 사용해온 정보내용, 정확성, 적시성, 출력형태, 사용의 용이성, 지원성으로 구성하였으며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여 이용자의 특성 및 검색정보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최근 구직자들의 고용정보시스템에 대한 요구사항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공공 및 민간운영 고용정보시스템 운영체제 효율화에 기여할 수 있는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본다.

Abstract

A public information system is being expanded, along with the adv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to strengthen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provide people with better services. And there also is a growing need for the better performance of that system, as a tremendous amount of public finacial resources is invested in that. To address that need, it's required to make an evaluation of its efficiency on a regular basis to identify its problems and make it work bet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ccordingly, to examine the quality of data and services provided by the Work-Net, a Web-based public employment information system.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02 users of it, and the system was evaluated in terms of content, accuracy, timelines, display format, ease of use and customer support. For data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implemented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users, and to see whether or not their view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information they searched for.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lay some foundation for intensifying the efficiency of the public and private employment information systems.

89
김병규(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강무영(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최선희(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김순영(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류범종(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신재도(충남대학교) 2011, Vol.28, No.2, pp.117-133 https://doi.org/10.3743/KOSIM.2011.28.2.117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re have been little comprehensive research for studying impact of foreign journals on Korean scientists. The main reason for this is because there was no extensive citation index database of domestic journals for analysis.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KISTI) built the Korea Science Citation Database (KSCD), and have provided Korea Science Citation Index (KSCI) and Korea Journal Citation Reports (KJCR) services. In this article, citing behavior of Korean scientists on foreign journals was examined by using KSCD that covers Korean core journals. This research covers (1) analysis of foreign document types cited, (2) analysis of citation counts of foreign journals by subject and the ratio of citing different disciplines, (3) analysis of language and country of foreign documents cited, (4) analysis of publishers of journals and whether or not journals are listed on global citation index services and (5) analysis for current situation of subscribing to foreign electronic journals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ould be useful for establishing strategies for licensing foreign electronic journals and for information services. From this research, immediacy citation rate (average 1.46%), peak-time (average 3.9 years) and half-life (average 8 years) of cited foreign journals were identified. It was also found that Korean scientistis tend to cite journals covered in SCI(E) or SCOPUS, and 90% of cited foreign journals have been licensed by institutions in Korea.

초록보기
초록

현재와 장래에 이용될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를 유지하고, 가치를 부여하는 디지털 큐레이션은 전문도서관에서의 중요한 업무로 인지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디지털정보 환경 하에서 전문도서관이 수행하고 있는 디지털 큐레이션 업무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조사와 현재 전문도서관에서 수행되는 큐레이션 업무 수준 및 전문도서관 사서가 인지하는 큐레이션 업무의 중요도 정도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먼저 디지털 큐레이션 프로세스를 대표할 수 있는 활동범주와 이에 해당되는 세부업무를 도출한 후, 이에 대한 전문도서관의 수행정도와 중요정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전문도서관의 디지털 큐레이션 활동은 전반적으로 미흡하였고 이에 대한 중요도 인식도 그다지 높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전문도서관 사서들이 기관으로부터 지원을 받지 못하는 어려움을 겪고 있고 내부적으로는 장기적인 정책 및 업무절차를 수립하지 못하여 체계적인 디지털 큐레이션을 못하고 있으며, 셋째, 사서들은 여전히 도서관의 전통적인 업무 사이클인 정보조직-소장-이용을 중요시 여기고 이 업무들을 중심으로 하여 디지털 큐레이션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개념으로 새로운 실무와 기술을 익혀야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보존에 대한 중요도 인지와 이와 관련된 기술적 역량을 확장시키는 노력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Digital curation which maintains digital information over time and adds value becomes, nowadays, one of the important business process in the special librarie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business practice level of the digital curation in the special libraries and the librarians’ perception on the importancy of digital curation. In results, it is found that most librarian, in general, think that the level of digital curation practice in the special libraries is insufficiency. Also, the study finds that the librarians of special libraries have difficulties in terms of the lack of willingness and funding problems as well as the lack of long-term policies and suitable business procedures; they only focus the cycle of information organization-information storage-information use among the 8 processes of digital curation; they ne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digital preservation as one of the essential process of digital curation and make effort to extend technological capacity of digital preservation.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