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검색어: research area, 검색결과: 6
초록보기
초록

디지털 큐레이션은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정보관리 및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디지털 환경에서 정보자원에 대한 체계적 관리 및 서비스를 추구한다는 측면에서 디지털 큐레이션은 문헌정보학의 핵심 영역에 해당한다. 본 연구는 디지털 큐레이션 관련 문헌들을 검토하여 주요 연구 영역을 설정하고, 대표적인 문헌정보학 분야 학술 데이터베이스(LISTA)에서 검색한 학술 논문들을 대상으로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러한 연구동향 분석의 결과에 기초하여 문헌정보학 분야의 디지털 큐레이션 관련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Abstract

Digital curation can be said that the new information management and services in the digital age. In terms of exploring the systematic management and services for the information resources in the digital environment, Digital curation is one the core area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is study was set up a research areas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related literatures, and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to the scholarly articles retrieved from a representative databases in the area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TA). Also, I suggested future research agendas for digital curation in the area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this analysi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측면에서 국외 독서 및 독서교육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의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문헌정보학 분야 국외 데이터베이스(LISTA)의 통제 키워드와 DDC 23판을 검토하여 독서 및 독서교육 관련 주요 연구 영역을 설정하였다. 둘째, 문헌정보학 분야 국외 데이터베이스(LISTA)에서 검색한 지난 100년(1914년~2014년) 동안의 독서 및 독서교육 관련 학술논문(2,115편)을 대상으로 지적구조 분석을 적용하여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셋째, 이러한 연구동향 분석의 결과에 기초하여 독서 및 독서교육 분야의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research areas and trends of reading (reading instruction) abroad in the respect of LIS, and suggest future research tasks. First, I reviewed the controlled keywords in SU field of LISTA database and the entries of DDC 23, and identified the research areas of reading and reading instruction in overseas. Second, I analysed the research trends of this field by applying a intellectual structure analysis on 2,115 research articles (1914~2014) retrieved from a representative database in the area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TA).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analysis, I suggested the future research tasks of this field in the domain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
김미설(전남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장우권(전남대학교) 2015, Vol.32, No.1, pp.171-204 https://doi.org/10.3743/KOSIM.2015.32.1.17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국내 전문학술지를 통해 국내 도서관마케팅의 도입 시기부터 현재까지 관련연구의 시대적 흐름에 따른 변화와 앞으로의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도서관마케팅 관련 주제 분야의 연구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정보학 분야 전문 학술지인 ‘한국문헌정보학회지’, ‘한국비블리아학회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정보관리학회지’의 창간호부터 2013년까지 발행된 전체논문 3,951편 중 선택된 키워드로 검색하여 중복된 논문 및 도서관마케팅과 관련이 없는 논문을 제외하고 최종 선정된 359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항목별 세부분석을 통해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연고별 연구논문 발표 추이, 기관별 연구논문 발표추이, 저자별 연구논문 발표추이, 영역별 연구논문 발표추이, 관종별 연구논문 발표추이가 나타났다.

Abstrac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changes in research on library marketing promotion from its introduction to the present using domestic journals carrying research papers on library marketing, to forecast research trends in the future,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supporting future studies on subjects related to library marketing. There were a total of 3,951 papers published through the journals in the area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cluding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Journal of the Korea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and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from their first issues to the present. These papers were searched using selected keywords, and after redundant papers and those not related to library marketing were excluded, 359 papers were sampled for this study and analyzed from different aspects. Findings derived from this study, with regard to trends in research paper publishing by year, with regard to trends in research paper publishing by institution, with regard to trends in research paper publishing by author, with regard to trends in research paper publishing by area, and with regard to trends in research paper publishing by library type.

4
유소영(한남대학교) ; 이재윤(명지대학교) ; 정은경(이화여자대학교) ; 이보람(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15, Vol.32, No.4, pp.249-272 https://doi.org/10.3743/KOSIM.2015.32.4.249
초록보기
초록

연구성과평가와 연구비 배분에 인용분석을 포함한 계량정보학적 분석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부적절한 적용 및 해석에 대한 우려와 지적 또한 계속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연구성과평가 지침과 권고안이 학술 커뮤니티와 계량서지학적 연구집단에서 연이어 발표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2015년 발표된 라이덴 선언(Leiden Manifesto)을 중심으로 Thomson Reuters 백서, 프랑스 과학원 권고안, DORA 선언, IEEE 권고안을 비교하고 이를 통해 국내 연구성과평가 환경에의 제안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비교분석 결과, 다수의 권고안은 연구의 목적과 연구 주제분야별 특성을 반영하고 다양한 지표를 활용한 다면적 평가를 통해 총체적인 평가를 지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 연구성과평가시스템 적용에서 고려해 볼 주요 권고안이라고 할 수 있으며, 추후 이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 수렴 등을 통하여 국내 연구성과시스템에의 적용가능성을 보다 심층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Abstract

Inappropriate applications of bibliometric approach and misinterpretation on the analysis in research evaluation have been found and recognized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as the use of the approach has been rapidly adopted in various sectors in research evaluation systems and research funding agencies. The flood of misuse led to several numbers of declarations and statements on appropriate research evaluation, including Leiden Manifesto, DORA, IEEE Statement, etc. The similar recommendations from five different declarations, Leiden Manifest, IEEE Statement, DORA, Institut de France, and Thomson Reuters White paper were reviewed and meta-analyzed in this study and it is revealed that most of them emphasize evaluation on quality in various aspects with multiple indicators. Research evaluation with assessing multiple aspects of individual research based on the understandings of its purpose and pertinent subject area was revealed as being mostly advised in the declarations, and this recommendation can be regarded as being mostly requested in national research evaluation system. For future study, interviews with relevant stakeholders of national research evaluation system in order to explore its application are needed to confirm the findings of this review.

초록보기
초록

노령화사회에서 노인을 위한 서비스는 도서관의 새로운 도전이다. 본 연구는 노인의 독서 장애요인과 노안에 대해 살펴보고, 노인의 독서를 용이하게 만드는 한글 큰글자도서의 출판과 수집 및 이용가능성을 조사하였다. 큰글자도서의 출판과 유통에 대하여는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서지리스트와 교보문고의 재고 리스트를 기초로 하고, 공공도서관에서 접근가능한 큰글자도서는 한국도서관협회가 보급한 큰글자도서 리스트와 기존의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현황조사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이용가능한 큰글자도서의 유형, 종수와 권수, 출판연도, 주제, 중복성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라 문제점을 식별하고 큰글자도서의 서지통정, 수집 확대, 도서관의 노인 독서 진흥 방안 및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Abstract

Services for the elderly is a new challenge for the libraries in aging society. This study reviewed the obstacles faced by the old readers and presbyopia, and analyzed the states of the large-print books to understand and estimate the Korean large-print books availability. Based on the bibliographic list of large-print books collected by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large-print book stock list of the Kyobo Book Center, large-print book lists supplied to the libraries by the Korean Library Association, and the data of the previous Library Survey for the Disabled, number of titles and volumes, publication year, duplication, and subject field of the large-print books available a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problems are identified and recommendations for bibliographic control, collection development, reading promotion, and further research area are suggested.

6
이재윤(명지대학교) ; 최상희(대구가톨릭대학교) 2015, Vol.32, No.4, pp.205-221 https://doi.org/10.3743/KOSIM.2015.32.4.205
초록보기
초록

학술지의 인용빈도를 특정하여 산출된 지수로 단일 논문의 영향력을 평가하는 것에 대한 비판으로 인해 단일 논문의 인용 영향력을 측정하는 인용지수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시도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8개의 단일 논문 인용영향력 평가 지수를 살펴보고 KCI 논문 데이터베이스를 대상으로 각 인용지수의 분야별 편향성을 조사하여 보았다. 대상 지수는 단순 인용빈도, 페이지랭크, f-값, CCI, c-지수, 단일문헌 h-지수, 단일문헌 hs-지수, cl-지수였다. 분석결과 페이지랭크가 학문 분야별 균등성, 학문 분야 내에서 학술지별 균등성 영역에서 가장 편향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단순 인용빈도는 특정 학문분야나 특정 학술지에 편향된 결과를 산출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KCI 데이터베이스에서는 논문의 단순 인용빈도만 제공하고 있는데, 분야별 균등성을 가장 잘 유지하는 지수인 논문 페이지랭크를 함께 제공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인용한 문헌의 인용빈도만으로 산출이 가능해서 이용자의 검색 결과로부터 바로 산출할 수 있는 지역 네크워크 지수 중에서는 cl-지수가 가장 균등성을 잘 유지하므로 계산 과정과 서비스가 손쉬운 지수로 함께 제공하는 것도 검토해야 한다.

Abstract

The impact of a journal is commonly used as the impact of an individual paper within that journal. It is problematic to interpret a journal’s impact as a single paper’s impact of the journal, so there are several researches to measure a single paper’s impact with its own citation counts. This study applied 8 impact indicators to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 and examined discipline bias of each indicator. Analyzed indicators are simple citation counts, PageRank, f-value, CCI, c-index, single publication h-index, single publication hs-index, and cl-index. PageRank has the least discipline bias at highly ranked papers and journal bias in a discipline. On the contrary, simple citation counts showed strongly biased results toward a certain discipline or a journal. KCI database provides only simple citation counts. It needs to show PageRank (global indicator) to discover influential papers in diverse areas. Furthermore it needs to consider to provide the best of local indicators. Local indicators can be calculated only with papers in users’ search results because they uses citation counts of citing papers and the number of references. They are more efficient than global indicators which explore the whole database. KCI should also consider to provide Cl-index (local indicator).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