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령화사회에서 노인을 위한 서비스는 도서관의 새로운 도전이다. 본 연구는 노인의 독서 장애요인과 노안에 대해 살펴보고, 노인의 독서를 용이하게 만드는 한글 큰글자도서의 출판과 수집 및 이용가능성을 조사하였다. 큰글자도서의 출판과 유통에 대하여는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서지리스트와 교보문고의 재고 리스트를 기초로 하고, 공공도서관에서 접근가능한 큰글자도서는 한국도서관협회가 보급한 큰글자도서 리스트와 기존의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현황조사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이용가능한 큰글자도서의 유형, 종수와 권수, 출판연도, 주제, 중복성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라 문제점을 식별하고 큰글자도서의 서지통정, 수집 확대, 도서관의 노인 독서 진흥 방안 및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Services for the elderly is a new challenge for the libraries in aging society. This study reviewed the obstacles faced by the old readers and presbyopia, and analyzed the states of the large-print books to understand and estimate the Korean large-print books availability. Based on the bibliographic list of large-print books collected by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large-print book stock list of the Kyobo Book Center, large-print book lists supplied to the libraries by the Korean Library Association, and the data of the previous Library Survey for the Disabled, number of titles and volumes, publication year, duplication, and subject field of the large-print books available a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problems are identified and recommendations for bibliographic control, collection development, reading promotion, and further research area are suggested.
국립중앙도서관. (2013). 2013 전국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현황조사. 국립중앙도서관.
김유선. (1998). 한국 노인의 독서상태. 지역연구, 7, 117-149.
김종은. 고령화 시대 노인의 독서 경향과 과제.
김혜영. (2010). 노인 대상 독서 프로그램 실행 연구.
김흥래. (2009). 노인층 독서증진 방안 연구: 북피니시운동 창안을 중심으로. 도서관, 64(2), 57-83.
(2012). 노안교정술. http://www.frontiertimes.co.kr/news/news_print.php?idx=85259.
대한출판문화협회. 2014 한국출판연감.
모선희. (2006). 현대노인복지론 2판:학지사.
문화체육관광부. (2013). 2013 국민독서실태조사. 문화체육관광부.
박선주. (2004). 실버출판의 현황 및 전망에 관한 연구 : 출판사 편집자 인식을 중심으로.
박정아. (2012). 공공도서관의 고령자 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오선경. (2011). 시각장애인의 공공도서관 비이용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3), 141-162.
월간당뇨 편집부. 노안.
육근해. (2009). 노인용 큰글자도서 개발을 위한 적정문자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2), 171-192.
장혜란. (2002). 노인들을 위한 인터넷기반 정보서비스 구축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19(4), 185-212.
정신해. (2013). 노안 연령에서 한글서체의 선호도와 가독성 평가. 한국안광학회지, 18(2), 149-156.
정종기. (2001). 지역사회개발 측면에서 노인을 위한 공공도서관 프로그램 개발 확대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2(1), 53-71.
책 읽으면 운동효과 본다.
큰글편집위원회. (2010). 큰글세계문학전집출간. http://mediamove.org/51.
통계청. 2014년 고령자 통계.
(2015). 40대인데 벌써 노안. http://www.joseilbo.com/news/news_print.php?uid=265641.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RUSA. (2008). Guidelines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to older adults. ALA.
Borg, C.. (2006).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people (65+) with reduced self-care capacity: The relationship to social, health, and financial aspect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5, 607-618.
Borish, I. M.. (1970). Clinical Refraction:Professional Press Books.
Calvo, F. J. M.. (2014). The role of librarie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Marrakesh Treaty for persons with a print disability (-). Proceedings of the IFLA 2014 Lyon.
Canadian Library Association. (2005). Opening the book: A strategy for a national network for equitable library service for Canadians with print disabilities. CLA.
Gabriel, Z.. (2004). Quality of life from the perspectives of older people. Aging and Society, 24, 675-691.
Harvey, R. L.. (1979). Reading interest of older adults. Educational Gerontology, 4(3), 209-214.
Kavanash, R.. (2005). Libraries for the blind in the information age guidelines for development. IFLA.
Palmer J. L.. (1988). Large-print books: Public library services to older adults. Educational Gerontology, 14, 211-220.
Riley, M. W.. (1968). Aging and society: An inventory of research findings:Russell Sage Foundation.
Turock, B. J.. (1982). Serving the older adult: A guide to library programs and information sources:Bowker.
U. S. Federal Interagency Forum on Aging-Related Statistics. (2008). Older American 2008: Key indicators of well-being: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Weizer, J. S.. (2011). 아이케어: 눈건강에 관한 모든 것:대가.
Williamson, K.. (2010). Encyclopedia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