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013-0799
  • E-ISSN2586-2073
  • KCI

과학기술분야 국제협력 증진을 위한 아시아 국가 간 공동연구 현황 분석

A Study on Research Collaboration Among Asian Countries in Science and Technology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P)1013-0799; (E)2586-2073
2010, v.27 no.3, pp.103-123
https://doi.org/10.3743/KOSIM.2010.27.3.103
김원진 (연세대학교)
정영미 (연세대학교)

초록

과학기술분야 국제협력은 국가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 필수적이다. 한국은 과학기술의 인적․물적 자원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연구의 국제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최근 아시아 국가와 연구협력에서 높은 성장률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하여 한국과의 공동연구가 크게 증가한 아시아 국가 간 공동연구 현황을 공저논문 수와 주제범주로 구분하여 실증적으로 파악하였다. 최근 5년간 아시아 국가 간 공저논문 수 기반 네트워크를 살펴보면, 일본, 중국, 한국 등 동북아시아 국가들이 네트워크 중심부에 있었으며 국가 상호 간 공동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또한 아시아 지역별로 공동연구의 주제범주를 분석한 결과, 동북아시아 지역은 기초과학 분야에서, 남부아시아, 동남아시아, 서남아시아 지역은 의학 분야에서 공동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국제협력, 공동연구, 사회연결망, 연결정도 중심성, 최근접 중심성, scientific collaboration, international collaboration, social network analysis, degree centrality, nearest neighbor centrality, scientific collaboration, international collaboration, social network analysis, degree centrality, nearest neighbor centrality

Abstract

Recently, research community in Korea has shown a rapid growth in collaborating with Asian countries. In this study, we analyzed research collaboration among Asian countries using network analysis of co-authored papers as well as subject categories. The network of co-authored papers among Asian countries over the 5-year period since 2005 revealed that Japan, China, and Korea were positioned at the central part of the network and highly productive in collaborative research. In the analysis of the subject categories of co-authored papers in four different Asian regions with 2009 data, physics and material science were found the most productive subject fields in collaborative research in Northeast Asia. On the other hand, medical science was the most collaborative subject field in the remaining Asian regions.

keywords
국제협력, 공동연구, 사회연결망, 연결정도 중심성, 최근접 중심성, scientific collaboration, international collaboration, social network analysis, degree centrality, nearest neighbor centrality, scientific collaboration, international collaboration, social network analysis, degree centrality, nearest neighbor centrality

참고문헌

1.

김용학. (2007). 사회 연결망 분석. 개정판:박영사.

2.

안규정. (2003). 우리나라 과학기술분야 공동연구 현황: SCI논문 공저 자료분석을 중심으로. 과학기술정책, 13(4), 124-135.

3.

양창훈. (2008). 한국과 대만의 과학기술 연구협력에 관한 연구: 사회연결망 분석의 적용 (-). 한국행정학회 추계학술대회.

4.

양혜영. (2008).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적용한 과학기술분야간 상관관계 및 국가연구개발사업 특성 분석. 한국과학기술평가원.

5.

이재윤. (2006). 계량서지적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중심성 척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3), 191-214.

6.

임경희. (2008). 국제 공동 연구개발 지원 체계 비교분석. 한국산업기술재단 이슈페이퍼, 8(9), -.

7.

Ahuja, Gautam. (2000). Collaboration networks, structural holes, and innovation: A longitudinal study.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45(3), 425-455.

8.

Archibugi, Daniele. (2003). The globalization of technology and its implications for developing countries windows of opportunity or further burden?. Technological Forecasting & Social Change, 70, 861-883.

9.

Bonacich, P.. (1987). Power and centrality: A family of measures. Th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2(5), 1170-1182.

10.

Freeman, L. C.. (1979). Centrality in social networks: Conceptual clarification. Social Networks, 1(3), 215-239.

11.

Geroghiou, Luke. (1998). Global cooperation in research. Research Policy, 27(6), 611-626.

12.

Katz, J. S.. (1997). What is research collaboration?. Research Policy, 26(1), 1-18.

13.

Scott, J. P.. (2000). Social Network Analysis: a Handbook. 2nd ed:Sage Publications.

14.

Turpin, T.. (2004). Collaboration and learning for technology capacity building in the asia pacific (-). Paper to be presented at the DRUID Summer Conference 2004 on Industrial Dynamics, Innovation and Development.

15.

Wagner, Caroline. (2005). Mapping global science using international co-authorships: A comparison of 1990 and 2000.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and Globalization, 1(2), 185-208.

16.

Wasserman, S.. (1994).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and Applications:Cambridge University Press.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