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표준인 ISO 15489와 관련코드에 따르면 공공조직이든 민간조직이든지를 막론하고 안정적인 기록물 분류체계를 구현하게 하는 기능 분류 사용을 권고하고 있다. 기업에서도 이를 따라 업무 수행 기록물을 분류․축적하여 검색․활용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은 기업 성장을 위해서 중요하다. 따라서 기업의 기록물 분류체계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분류기준이나 개발 방법론 연구 및 모형의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기업 3개 회사와 중소기업 4개 회사 등 총 7개의 종합건설기업의 기록물 분류체계 사례연구를 통하여 분류체계의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사례연구를 통하여 도출한 분류원칙을 정리 종합하여 핵심적인 건설기록물 분류기준을 제시하고, 건설기록물 분류체계 모형을 도출하기 위하여 대기업 사례기업의 본사조직 및 프로젝트조직의 대분류 및 중분류 항목 구성을 상호 비교하면서 표준적인 본사조직 및 프로젝트조직 기록물 분류 항목을 도출하는 과정을 기술하고 그 결과로 개발된 건설기록물 분류체계 모형을 제시하였다.
The international standards, ISO 15489 and Family Code, recommend using functional classification method both in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In this study mad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etails of classification systems through case studies on records classification systems of a total of seven comprehensive construction companies in Korea including three large corporations and four small and medium-size businesses.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r the direction of developing construction records classification system and its methodology. By summarizing classification standards derived from these case studies, key construction records classification standards were presented.
강경희. (2008). 대통령기록물의 분류에 관한 연구.
김익한. (2002). EDMS와 기록의 라이프사이클. 기록학연구, (5호), 3-37.
김진희. (2007). 지방기록물 분류기준표 제도의 변화 방향 연구: 대전광역시 5개구의 사례를 중심으로.
매일경제 지식프로젝트팀. (1999). 지식혁명보고서. 매일경제신문사.
배대식. (2004). 대학기록물관리를 위한 업무분류표 개발 및 활용방안.
정기애. (2007). 기업의 기록관리 정책 수립과 기록물처리일정표 적용방안연구.
Cisco, Susan. (2008). How to win the compliance battle using 'Big Buckets'. The Information Management Journal, 428(46), 30-38.
Miller, Fredric M. (1990). Arranging and Describing Archives and Manuscripts:The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