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명은 이용자가 어린이 그림책을 효과적으로 접근하도록 지원한다. 그러나 어린이 그림책은 다른 자료에 비해 표제나 목차와 같이 자료 자체에서 주제명을 선정하기가 어렵다. 또한 텍스트 외에 그림이 주는 정보량이 큰 편이다. 따라서 그림책의 주제접근을 위해서는 별도의 주제명 목록을 작성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어린이 그림책에 일반 도서용으로 개발된 주제명을 그대로 사용하기는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주제명의 유형과 수준이 상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 그림책에 적합한 주제명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기본 주제명의 선정을 위해서는 영미권에서 발행된 그림책 주제명표를 참고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우리 문화와 언어에 맞도록 기존의 표목을 수정․추가하였다. 또한 그림책의 주요 독자층인 어린이에게 적합한 표목을 선정하기 위해 초등국어사전과 같은 참고자료도 활용하였다. 그리고 시범적으로 구축된 주제명표를 어린이 그림책을 대상으로 한 권장도서 목록에 적용하여, 주제검색이나 브라우징, 도서 추천 등에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Subject headings support the effective access of children's picture books. However, it is difficult to select subject terms from titles or table of contents in children's picture books because of their relatively little textual inform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ssign subject terms to each picture book. However, it is not adequate to use general subject headings because the types and levels of general subject headings are different from special subject headings for the children's materials. For this reason, this study aims to develop subject headings for children's picture books. The subject terms in A to Zoo were selected, and the selected terms were translated into Korean and modified for the Korean culture and language. Other reference books, such as Elementary Korean Dictionary, were also used to determine adequate terms for children. The resulting subject headings were assigned to the recommended picture books for children and used to search by subject, browse, and recommend books.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2008). 어린이도서관 기초 장서 개발 연구: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2008). 어린이도서관 분류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김세희. (1996). 어린이를 위한 좋은 그림책의 선택. 아동문학평론, 21(3), 44-60.
김세희. (2010). 아동용 그림책의 장르 구분 탐구. 아동청소년문학연구, 6(6), 177-198.
어린이도서연구회. (2012). 어린이․청소년 책 목록:어린이도서연구회.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11). 연세초등국어사전(개정2판):두산동아.
유재옥. (2009). 어린이청소년자료 온라인종합목록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4), 5-15.
이란주. (2006). 도서관의 어린이청소년 연구지원 기능과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7(2), 261-274.
장지숙. (2006). 뉴베리 수상작 주제 분석을 통한 어린이 독서자료 선정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7(1), 63-79.
정지현. (2009). 그림책의 종류에 따른 교사와 영아의 의사소통 분석. 교육과학연구, 40(2), 183-210.
정진수. (2009). 어린이자료의 접근점 분석 -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4), 101-113.
한국도서관협회 용어사전 편찬위원회. (2010). 문헌정보학용어사전(개정판):한국도서관협회.
한윤옥. (1997). 어린이정보자료와 활용:아세아문화사.
Barstow, B.. (2008). Beyond picture books(3rd ed):Libraries Unlimited.
Fountain, J. F.. (2011). Guidelines for standardized cataloging for children, In Cataloging correctly for kids: An introduction to the tools (5th ed.):American Library Association.
Fountain, J. F.. (2011). Using LC's Children's Subject Headings in catalogs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Why and how, In Cataloging correctly for kids: An introduction to the tools (5th ed.):American Library Association.
Lima, C. W.. (2010). A to zoo : Subject access to children's picture books(8th ed):Libraries Unlimited.
Miller, J.. (2011). Sears list of subject headings, In Cataloging correctly for kids: An introduction to the tools (5th ed.):American Library Association.
Miller, J.. (2010). Sears list of subject headings. 20th ed:The H. W. Wilson Company.
Northrup, M.. (2012). Picture books for children : Fiction, folktales, and poetry(5th ed.):American Library Assoc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