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등학교도서관의 자료 선정 과정 중 나타나는 사서(교사)의 자기 검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자기 검열 행위를 줄일 수 있는 구조적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하여 국내외 문헌 연구를 통해 자기 검열의 개념을 살펴보고 심층 면담을 통해 설문지를 개발하여 설문조사를 시행 후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장서 개발 정책과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 도서관 장서 관련 민원 요소에서 집단 간 유의한 자기 검열 차이를 발견하였고, 이용자 및 도서관 장서에 대한 사서(교사)의 인식에서 자기 검열 영향 요인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의 심의 기능 강화, 이용자 항의 대응 지침이 포함된 장서 개발 정책 마련, 학교도서관 소장 자료의 폐기 절차 간소화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improve self-censorship tendency in teacher librarians by identifying factors that influence the self-censorship which appears during collection development in elementary school libraries. For this purpose, first, we examined the concept of self-censorship through a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then carried out a series of in-depth interviews as a pilot study to develop a questionnaire, which was used for a questionnaire survey. Finally, the survey data was analyzed statistically with SPSS 21.0, a statistical package. As a result, we have discov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self-censorship and the characteristics in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school library committees, and the complaints related with the library collect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e factors on the self-censorship were identified in the perception of the school librarians.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o reinforce the function of review and approval of book selection in the school library committee, developed and approved a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include guidelines for dealing with users’ complaints related to library collection, and stipulated a regulation for school library operation to remove inappropriate books from the library collection.
경기도교육청. (2016). 2016년 학교도서관 진흥 시행계획. 경기도교육청.
곽동철. (1986). 일제치하의 도서검열과 도서관에서의 지적자유에 관한 연구.
권연숙. (2002). 학교도서관 장서관리에 관한 연구.
권은경. (1999). 장서관리에 있어서 ‘선택’ 기능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0(4), 1-26.
김경아. (2008). 학교도서관의 자료 선택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선호. (2013). 세계인권선언서를 기저로 한 IFLA 선언서의 인권 개념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4), 5-28.
김종성. (2013). 우리나라 학교도서관 연구의 현황과 과제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2), 71-91.
김혜선. (1994). 사서직 윤리에 관한 연구.
남현진. (2004). 학교도서관 업무 담당자의 전문성이 장서관리에 미치는 영향.
문화체육관광부. (2007). 도서관 자료의 교환, 이관, 폐기 및 제적의 기준과 범위:문화체육관광부.
박소영. (2014). 초등학교 도서관 자료 선택 업무의 현황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박영목. (1998). 좋은 책과 나쁜 책. 독서연구, 3, 263-280.
송영숙. (2004). 초등학교 도서관의 장서개발에 관한 연구.
송영희. (2015). 디지털시대의 장서관리(제4판):한국도서관협회.
신유정. (2014). 학교도서관 사서직원의 직무만족도가 이용자의 서비스품질 인식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고용형태를 중심으로.
심효정. (2003). 공공도서관에서의 정보검열과 대응. 디지틀도서관, 32, 25-48.
이명희. (2001). 도서관에서의 지적자유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저해하는 사례 연구: 미국의 경우를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2(2), 141-162.
이명희. (2004). 도서관에서의 지적자유 수호를 위한 노력과 금서에 관한 연구 - 한국과 미국의 경우를 중심으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5(1), 193-216.
이병기. (2008). 학교도서관경영통론:조은글터.
이순자. (1990). 情報管理와 關聯된 法的問題. 한국문헌정보학회지, 19, 23-61.
이연희. (2009). 고등학교도서관 장서구성 현황분석 및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이우학. (2010). 미국 아동문학과 검열. 동화와 번역, (20), 307-323.
이찬미. (2013). 인천 지역 초등학교 도서관의 도서 선정 도구 활용도 평가 연구.
정유화. (2016). 학교도서관 전담인력의 전문성이 장서구성에 미치는 영향.
정현태. (2000).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지적자유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4(1), 243-264.
정현태. (2002). 공공도서관의 지적자유:한국도서관협회.
정현태. (2014). 도서관에서의 지적자유. 도서관문화, 56(11), 2-3.
한국도서관협회. 문헌정보학용어사전. http://www.kla.kr/jsp/fileboard/termdic.do?procType=view&f_termdic_seq=2666.
Asheim, L.. (1953). Not censorship but selection. Wilson Library Bulletin, 28(1), 63-67.
Busha, C. H.. (1972). Intellectual freedom and censorship: The climate of opinion in Midwestern public libraries. The Library Quarterly, 42(3), 283-301. http://dx.doi.org/10.1086/620044.
Dickinson, G.. (2007). The challenges of challenges: Understanding and being prepared (part I). School Library Media Activities Monthly, 23(5), 26-28.
Dillon, K.. (1994). Censorship, children & school libraries in Australia: Issues of concern. Emergency Librarian, 22(2), 8-14.
Donelson, K. L.. (1981). Shoddy and pernicious books and youthful purity: Literary and moral censorship, then and now. The Library Quarterly, 51(1), 4-19. http://dx.doi.org/10.1086/601042.
Evans, G. E.. (2012). Collection management basics:ABC-CLIO.
Fiske, M.. (1959). Book selection and censorship: A study of school and public libraries in California: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Hill, R.. (2010). The problem of self-censorship. School Library Monthly, 27(2), 9-12.
Hopkins, D. M.. (1989). Toward a conceptual model of factors influencing the outcome of challenges to library materials in school settings.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11(3), 247-271.
Hopkins, D. M.. (1993). A conceptual model of factors influencing the outcome of challenges to library materials in secondary school settings. The Library Quarterly, 63(1), 40-72. http://dx.doi.org/10.1086/602527.
Hopkins, D. M.. (1995). Challenges to library materials from principals in United States secondary schools: “Victory" of sorts. School Libraries Worldwide, 1(2), 8-29.
Jenkins, C. A.. (2008). Research directions : Book challenges, challenging books, and young readers : The research picture. Language Arts, 85(3), 228-236.
Jenkinson, D.. (2002). Selection & censorship : It's simple arithmetic. School Libraries in Canada, 21(4), 22-23.
Johnson, P.. (2012). 장서개발관리론:문현.
New York Library Association. (2013). Intellectual freedom manual. https://www.nyla.org/images/nyla/IF-Manual/2013-09-IF-Manual.pdf.
Pray, L.. (1982). What are the limits to a school board’s authority to remove books from school library shelves. Wisconsin Law Review, 1982(3), 417-471.
Stueart, R. D.. (1985). Weeding of library materials-politics and policies. Collection Management, 7(2), 47-58. http://dx.doi.org/10.1300/j105v07n02_04.
Woods, L. B.. (1981). Self-censorship in collection development by high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s. School Media Quarterly, 9(2), 102-108.
Yitzhaki, M.. (2005). Censorship in Israeli high school libraries: Analysis of complaints and librarians' reactions (1-21).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hip. Selected Papers from the Annual Con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