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013-0799
  • E-ISSN2586-2073
  • KCI

대구지역 장노년층의 정보화교육 유용성 분석

An Analysis of Usefulness of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for the over 50-years Older Adults in Daegu, Korea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P)1013-0799; (E)2586-2073
2016, v.33 no.4, pp.59-76
https://doi.org/10.3743/KOSIM.2016.33.4.059
김희섭 (경북대학교)
강보라 (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정보화의 측면에서 장노년층이 인지하는 정보화교육의 유용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데이터 수집은 대구지역에 거주하고 있으며 인터넷 사용 경험이 있는 만50세 이상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수집된 데이터 중 311명의 유효한 응답자 데이터를 정보화교육 참여경험의 유무에 따라 두 집단으로 구분하여 정보화교육의 유용성을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두 집단 모두 정보화교육의 유용성은 ‘정보활용 편의성’, ‘정보활용 유용성’, 그리고 ‘삶의 만족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집단 모두 ‘정보활용 편의성’은 ‘삶의 만족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보활용 유용성’과 ‘삶의 만족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나타나지 않았다.

keywords
장노년층, 정보화교육, 정보활용, 삶의 만족, 구조방정식, older adults over 50 years of age,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information activities, life satisfac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usefulness of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for the over 50-years older adults in Daegu, Korea. To achieve this objec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interview. Of the 311 valid data we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in accordance with their experience of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and analysed using AMOS for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s the results, both groups showed that the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influences positively among in ‘information convenience’, in ‘information usefulness’ and in ‘life satisfaction’. Also, regardless of their experience of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the group revealed that ‘information convenience’ positively impacts on the ‘life satisfaction’, however, ‘information usefulnes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life satisfaction’ in this study.

keywords
장노년층, 정보화교육, 정보활용, 삶의 만족, 구조방정식, older adults over 50 years of age,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information activities, life satisfac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참고문헌

1.

강월석. (2013). 스마트폰 정보 활용과 이용성과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3(1), 199-214.

2.

김봉화. (2006). 정보활용이 노인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3.

김진태. (2007). 지역정보화 동향 및 향후 연구주제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0(1), 193-213.

4.

미래창조과학부. (2013). 제5차 국가정보화기본계획(2013~2017). 미래창조과학부.

5.

박영미. (2004). 정보복지를 위한 정보격차해소 정책에 대한 분석- 정보가치배분의 형평성을 중심으로 -. 정책분석평가학회보, 14(2), 119-142.

6.

양영순. (2004). 인터넷 활용 만족도가 노인의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7.

오상현. (2006). 인터넷뱅킹 이용요인간 구조적 관계:기술수용모델(TAM)의 확장을 중심으로. 마케팅연구, 21(1), 1-27.

8.

유용성. 네이버 국어사전.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29663100.

9.

유용식. (2012). 인터넷활용과 노인의 삶의 질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2(4), 235-244. http://dx.doi.org/10.5392/JKCA.2012.12.04.235.

10.

이복자. (2010). 노인의 인터넷활용 효과성에 관한 경험적 연구:네트워크와 신뢰성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4(3), 79-105.

11.

이복자. (2010). 노인의 정보화인식과 인터넷활용이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에 미치는 영향: 광역시・도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3(4), 151-179.

12.

정현수. (2016). 67세는 할머니일까요? …노인 기준 논의 ‘본격화'.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6091313232138518&outlink=1.

13.

주성재. (2001). 강원도 원주시 정보화시범마을 사례. 국토계획, 36(6), 137-151.

14.

최인근. (2008). 노인의 여가 활동 유형에 따른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15.
16.

편의성. 네이버 국어사전.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40415700.

17.

한국정보화진흥원. (2014). 2013 장노년층 정보격차 실태조사. 한국정보화진흥원.

18.

한국정보화진흥원. (2016). 2015년 정보격차지수 및 실태조사.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367.

19.

한국지역정보개발원. (2016). 2015 지역정보화 백서:한국지역정보개발원.

20.

한세억. (2009). 정보격차 해소정책의 가치와 전망: 균형과 통합의 정보사회 (259-277). 한국정책학회동계 학술대회발표자료.

21.

황병천. (2001). 특집: 전자정부와 지방행정: 지역 정보화와 정보격차 해소. 지방행정, 50(572), 41-51.

22.

Blit-Cohen, E.. (2004). Elder participation in cyberspace: A qualitative analysis of Israeli retirees. Journal of Aging Studies, 18(4), 385-398. http://dx.doi.org/10.1016/j.jaging.2004.06.007.

23.

DiMaggio, P.. (2001). From the ‘digital divide’ to ‘digital inequality’: Studying Internet use as penetration increases. Princeton University Center for Arts and Cultural Policy Studies. Working Paper Series, 15, 1-23.

24.

Gust, Kara J.. (2006). Teaching with Tiffany's: A “go-lightly” approach to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for adult and senior learners. Reference Services Review, 34(4), 557-569. http://dx.doi.org/10.1108/00907320610716440.

25.

Hargittai, E.. (2002). Second-level digital divide: Differences in people’s online skills. First Monday, 7(4), -. http://dx.doi.org/7_4/hargittai10.5210/fm.v7i4.942.

26.

Hargittai, E.. (2008). Digital inequality: Differences in young adults’ use of the internet. Communication Research, 35(5), 602-621. http://dx.doi.org/10.1177/0093650208321782.

27.

Johnston, B.. (2003). Information literacy in higher education: A review and case study. Studies in Higher Education, 28(3), 335-352. http://dx.doi.org/10.1080/03075070309295.

28.

Moser, H.. (1999). Einführung in die Medienpädagogik:Stefenie laux.

29.

Phang, C. W.. (2006). Senior citizens' acceptance of information systems: A study in the context of e-government services. IEEE Transactions on Engineering Management, 53(4), 555-569. http://dx.doi.org/10.1109/TEM.2006.883710.

30.

Smith, C. A.. (1999). Family life pathfinders on the new electronic frontier. Family Relations, 48(1), 31-34. http://dx.doi.org/10.2307/585679.

31.

Sum, S.. (2008). Internet use and loneliness in older adults. CyberPsychology & Behavior, 11(2), 208-211. http://dx.doi.org/10.1089/cpb.2007.0010.

32.

Xie, B.. (2009). Public library computer training for older adults to access high-quality Internet health information.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1(3), 155-162. http://dx.doi.org/10.1016/j.lisr.2009.03.004.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