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최근 5년간 미국에서 발표된 도서관학 및 정보과학 분야 학위논문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PQDT Global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된 1,016편의 박사학위 논문을 수집하여 각 논문의 관련 학문 분야를 나타내는 분야명들을 추출하고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분야명 간의 관계와 네트워크 전반에 걸쳐 다른 분야들과 관계가 있는 전역중심성이 높은 분야명을 파악하는 것과 동시에 군집분석을 통해 연관성 높은 분야명들이 어떠한 군집을 형성하는지, 각 군집 안에서 지역중심성이 높은 분야명들은 어떤 것들인지 살펴보았다. 103개 핵심 분야명 키워드를 이용한 네트워크 분석 결과 최근 5년간 미국의 도서관학 및 정보과학 분야 박사학위 논문의 관련 학문분야로는 컴퓨터 관련 분야, 교육 관련 분야, 커뮤니케이션 관련 분야 외에도 다양한 이용자 집단에 관한 연구와 정보시스템 관련 분야 등을 포함하여 26개의 군집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6개 군집들 중 정보과학을 중심으로 하는 군집에는 컴퓨터 관련 학문 분야명들이 다수 포함되었고, 도서관학을 중심으로 하는 군집에는 대부분 교육 관련 분야명들이 포함되었으며, 그 외에도 이용자 연구와 관련하여 특정 이용자 그룹과 관련된 젠더연구 분야나 정보시스템과 관련하여 경영학, 지리학, 의공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와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study examines the research trends of doctoral dissertations in Library Science and Information Science published in the U.S. for the last 5 years. Data collected from PQDT Global includes 1,016 doctoral dissertations containing “Library Science” or “Information Science” as subject headings, and keywords extracted from those dissertations were used for a network analysis, which helps identifying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the dissertations. Also, the analysis using 103 subject heading keywords resulted in various centrality measures, including triangle betweenness centrality and nearest neighbor centrality, as well as 26 clusters of associated subject headings. The most frequently studied subjects include computer-related subjects, education-related subjects, and communication-related subjects, and a cluster with information science as the most central subject contains most of the computer-related keywords, while a cluster with library science as the most central subject contains many of the education-related keywords. Other related subjects include various user groups for user studies, and subjects related to information systems such as management, economics, geography, and biomedical engineering.
공정자. (2011). 문헌정보학 분야의 어린이 서비스 관련 연구경향 분석 - 1981년~2010년 석·박사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3), 303-325.
김미설. (2015). 도서관마케팅 프로모션의 연구동향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2(1), 171-204. http://dx.doi.org/10.3743/KOSIM.2015.32.1.171.
김성진. (2015). 국내 문헌정보학의 이론 활용 연구 동향 분석 - 2010년-2014년 『한국문헌정보학회지』를 중심으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6(4), 179-200.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5.26.4.179.
김수정. (2015). 문헌정보학 분야 정보활용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6(3), 207-239.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5.26.3.207.
김판준. (2015). 국외 독서 및 독서교육 연구동향 분석: 문헌정보학 분야를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32(3), 69-97. http://dx.doi.org/10.3743/KOSIM.2015.32.3.069.
김판준. (2015). 디지털 큐레이션 연구동향 분석과 과제: 문헌정보학 분야를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32(1), 265-295. http://dx.doi.org/10.3743/KOSIM.2015.32.1.265.
김하진. (2014).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통한 국내외 정보학 학회지 연구동향 파악. 정보관리학회지, 31(1), 99-118. http://dx.doi.org/10.3743/KOSIM.2014.31.1.099.
노영희. (2005).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의 발전현황에 대한 비교분석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1), 479-503.
박자현. (2013).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국내 문헌정보학 연구동향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0(1), 7-32. http://dx.doi.org/10.3743/KOSIM.2013.30.1.007.
박준식. (2005). 석·박사 학위논문을 통해 본 한국 차문화 관련 연구동향의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2), 31-48.
서만덕. (2010). 정보활용능력 분야 학위논문 분석을 통한 양적 연구 동향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7(4), 309-328.
서선경. (2013). 동시출현단어 분석 기반 오픈 액세스 분야 지적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1), 207-228.
서은경. (2013). Detecting Research Trends in Korean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2000-2011. 정보관리학회지, 30(4), 215-239. http://dx.doi.org/10.3743/KOSIM.2013.30.4.215.
서은경. (2015). 계량정보학적 분석을 통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최근 연구동향 분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정보관리학회지와 비교하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6(3), 315-343.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5.26.3.315.
유사라. (2010). 메타데이터 주제 국내 연구동향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2), 405-426.
이석형. (2014). 과학기술 전거데이터를 이용한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연구동향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4), 377-399. http://dx.doi.org/10.4275/KSLIS.2014.48.4.377.
이재윤. (2006). 계량서지적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중심성 척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3), 191-214.
이재윤. (2013). tnet과 WNET의 가중 네트워크 중심성 지수 비교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0(4), 241-264. http://dx.doi.org/10.3743/KOSIM.2013.30.4.241.
이재윤. (2015). 문헌동시인용 분석을 통한 한국 문헌정보학의 연구 전선 파악. 정보관리학회지, 32(4), 77-106. http://dx.doi.org/10.3743/KOSIM.2015.32.4.077.
이재윤. (2017). 자아 중심 주제 인용분석을 활용한 딥러닝 연구동향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4(4), 7-32. http://dx.doi.org/10.3743/KOSIM.2017.34.4.007.
이재윤. (2016). 국내 재난 관련 연구 동향에 대한 계량정보학적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3(4), 103-124. http://dx.doi.org/10.3743/KOSIM.2016.33.4.103.
이지연. (2016). 국내 정보이용자연구 동향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3(4), 201-223. http://dx.doi.org/10.3743/KOSIM.2016.33.4.201.
이혜영. (2017). 국내에서의 공공도서관 연구동향 - 2007년부터 2016년까지의 학회지 논문을 대상으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8(3), 27-43.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7.28.3.027.
장령령. (2014). 학술지 중요도와 키워드 순서를 고려한 단어동시출현 분석을 이용한 독서분야의 지적구조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5(1), 295-318.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4.25.1.295.
장윤미. (2013). 분류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1), 25-44.
정수연. (2011). 초등학생 독서치료 프로그램 관련 학위논문의 동향 분석: 2003-2010.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3), 317-333.
정지나. (2017).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재난안전정보와 관련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8(3), 67-93.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7.28.3.067.
최정민. (2013). 국내 정보공개 연구 동향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3), 173-197. http://dx.doi.org/10.14404/JKSARM.2013.13.3.173.
최형욱. (2018). 문헌정보학 분야의 지적구조 및 연구 동향 변화에 대한 시계열 분석: 2003년부터 2017년까지. 정보관리학회지, 35(2), 89-114. http://dx.doi.org/10.3743/KOSIM.2018.35.2.089.
Jens Peter Andersen. (2011). Price revisited: on the growth of dissertations in eight research fields. Scientometrics, 88(2), 371-383. http://dx.doi.org/10.1007/s11192-011-0408-8.
Bates, M. J.. (2007). Defining the information disciplines in encyclopedia development. Information Research, 12(4), -.
Bobinski, G.. (1986). Doctoral program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Library Trends, 34(4), 697-714.
Hansen, D. L.. (2011). Analyzing social media networks with NodeXL: Insights from a connected world:Morgan Kaufmann.
Sung Kim. (2018). Computing research in the academy: insights from theses and dissertations. Scientometrics, 114(1), 135-158. http://dx.doi.org/10.1007/s11192-017-2572-y.
Noriyuki Morichika. (2016). Use of dissertation data in science policy research. Scientometrics, 108(1), 221-241. http://dx.doi.org/10.1007/s11192-016-1962-x.
Qian-Jin Zong. (2013). Doctoral dissertation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China: A co-word analysis. Scientometrics, 94(2), 781-799. http://dx.doi.org/10.1007/s11192-012-07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