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013-0799
  • E-ISSN2586-2073
  • KCI

공공도서관 어린이 독서프로그램의 성과 측정을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rameworks for Outcomes Measurement of Reading Programs for Children in a Public Library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P)1013-0799; (E)2586-2073
2018, v.35 no.3, pp.311-325
https://doi.org/10.3743/KOSIM.2018.35.3.311
박성재 (한성대학교)
한상우 (광주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에서 어린이를 대상으로 진행하는 독서프로그램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프레임워크 개발을 위한 이론적 토대로 성과 평가에 기반 한 로직모델을 적용하였다. 로직모델의 요소로 제안된 6개 요소 중에서 가정과 외부적 요인을 제외한 투입, 활동, 산출, 성과 요인을 중심으로 프로그램 평가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연구결과로, 서울 시내 한 공공도서관에서 연구기간 동안 진행된 4개의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프레임워크와 성과측정을 위한 지표를 제안하였다. 프로그램별로 다양한 성과지표의 개발이 가능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데이터를 기반으로 측정 가능한 지표를 중심으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사례 연구로 진행되었지만 대상 프로그램이 공공도서관에서 일반적으로 진행하는 프로그램이라는 점에서 타 도서관의 어린이 대상 프로그램의 평가 프레임워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outcomes, logic model, public library, reading program, developing framework, data-driven, 성과, 로직모델, 공공도서관, 독서프로그램, 프레임워크 개발, 데이터 기반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frameworks for evaluating reading programs for children provided by a public library. Logic Model based on outcome evaluations was applied for the framework development. While the logic model is generally composed of six factors, the frameworks developed in this study has four factors including input, activity, output, and outcome. Additionally, this study suggests outcome indicators which were driven from library data. Even though the evaluation frameworks were developed from specific programs operated by a public library, those might be able to be used to evaluate other libraries’ programs for children since the target programs are commonly provided by public libraries.

keywords
outcomes, logic model, public library, reading program, developing framework, data-driven, 성과, 로직모델, 공공도서관, 독서프로그램, 프레임워크 개발, 데이터 기반

참고문헌

1.

권나현. (2015). 공공도서관 서비스 성과 평가 - 일상생활에서의 공공도서관 서비스 혜택에 대한 전국 성인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2), 169-194. http://dx.doi.org/10.4275/KSLIS.2015.49.2.169.

2.

김규환. (2008). 공공도서관의 성과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4), 113-139.

3.

김정택. (2009). BSC 기반 공공도서관 성과지표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1), 47-71. http://dx.doi.org/10.16981/kliss.40.1.200903.47.

4.

김효숙. (2008). 공공도서관 성과측정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97-103).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5.

박성우. (2011). 공공도서관 지적자본 평가지표와 성과의 인과관계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8(4), 279-307.

6.

박성재. (2015). 논리모델을 이용한 도서관 성과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6(2), 269-287.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5.26.2.269.

7.

이석민. (2011). 프로그램 논리모형(Logic Models)의 적용과 사용에 관한 연구 - “간접흡연제로! 서울 평가지표 개발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거버넌스학회보, 18(1), 211-242. http://dx.doi.org/10.17089/kgr.2011.18.1.009.

8.

임여주. (2014). 공공도서관 어린이 독서프로그램의 효과 측정 영역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2), 89-107. http://dx.doi.org/10.4275/KSLIS.2014.48.2.089.

9.

지은구. (2012). 비영리조직 성과측정에 있어 로직모델과 BSC모델의 활용가능성과 한계. 한국사회과학연구, 31(1), 381-407.

10.

차미경. (2008). 공공도서관 향유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4), 329-354.

11.

ACRL Research Planning and Review Committee. (2012). 2012 Top ten trends in academic libraries. College & Research Libraries News, 73(6), 311-320.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