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국내 광역대표도서관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어린이, 청소년 관련 온라인 건강정보 분석 및 제언

An Analysis of Online Health Information Related to Children and Adolescents on Metropolitan Representative Library Websites and Its Implications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P)1013-0799; (E)2586-2073
2024, v.41 no.3, pp.431-459
https://doi.org/10.3743/KOSIM.2024.41.3.431
이한슬 (명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오늘날 대한민국에서는 초저출산 문제가 심각한 사회적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초저출산 극복과 아울러 출생한 아이들이 건강한 신체와 정신을 바탕으로 올바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 또한 중요한 사회적 책무이다. 본 연구는 국내 17개 광역대표도서관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어린이 및 청소년 관련 온라인 건강정보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문헌연구법과 내용분석법을 활용하여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단 2개 도서관(11.8%)만이 홈페이지를 통해 아동 및 청소년 건강과 관련된 32개의 정보자료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 제공 주체에 따른 분석 결과, 25개 정보원(78.1%)이 보건소에서 제공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병원(6개, 18.8%) 및 공공기관(2개, 6.3%)에서 제공된 정보원도 각각 확인되었다. 또한, 온라인 건강정보 평가도구 중 하나인 HON 코드를 활용하여 32개의 건강정보원을 평가한 결과, “상호보완성”, “정보출처”, “작성자의 투명성”, “광고 및 편집 정책의 정직성” 항목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더 나아가, 국내 검색엔진(네이버, 구글)을 통해 제공되는 어린이 및 청소년 건강 관련 정보원을 유형별로 선별하여 평가한 결과도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온라인상에 제공되는 어린이 및 청소년 건강정보 서비스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keywords
온라인 건강정보, 정보서비스, 어린이, 청소년, 공공도서관, 광역대표도서관

Abstract

In contemporary South Korea, ultra-low birth rates have become a critical social issue. Equally important is the social responsibility to support the healthy physical and mental development of children.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children and adolescents related to online health information available on the websites of 17 metropolitan representative libraries in South Korea. Using literature review and content analysis methodologies, the study found that only two libraries (11.8%) offered 32 health-related resourc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through their library websites. Of these resources, 25 (78.1%) were provided by public health centers, while hospitals contributed six resources (18.8%), and public institutions provided two resources (6.3%). Additionally, an evaluation of these 32 health information resources using the HON code, a recognized tool for assessing online health information, revealed relatively low satisfaction in areas such as “complementarity,” “attribution,” “transparency of authorship,” and “honesty in advertising and editorial policy.” Furthermore, the researcher conducted a comparative evalua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 health information resources available through the search engines Naver and Google in Korea.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outlines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online health information services related to children and adolescents.

keywords
online health information, information services, children, adolescents, public libraries, metropolitan representative libraries
투고일Submission Date
2024-09-07
수정일Revised Date
2024-09-11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4-09-18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