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감각기반표상 수준에 따른 복합 외상 생존자의 개념자기 기억: 망각 지시 실험

Conceptual self memory in survivors of complex trauma according to sensation based memory representations: Directed forgetting paradigm

초록

본 연구는 복합 외상을 경험한 일반인 생존자 중 외상 기억의 감각기반 표상이 높은 사람들이 개념자기 기억에 대한 억제 조절 역량이 저조하다는 점을 검증하였다. 망각 지시 실험에서, 외상 기억의 감각기반 표상 수준이 높은 실험 집단(n=10)은 낮은 수준의 통제 집단(n=10)에 비하여, 자기개념과 반대되는 단어에 대한 기억 역량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망각 효과에는 두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외상 후 자기 개념 문제와 외상 기억 양상과의 관계를 뒷받침한다. 외상 기억의 감각기반 표상이 높은 사람들의 자기 개념 문제에는 개념자기 기억 연결망의 경직성과 편향, 개념자기 외 단서에 대한 인지 역량이 저하되었을 가능성, 그리고 대안적인 개념자기 기억의 낮은 경합 가능성이 관련될 수 있다. 이어서 본 연구의 한계와 복합 외상 경험의 자기 개념 문제에 대한 치료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keywords
외상, 자기 개념, 정체성, 감각기반 기억, 망각 지시 실험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capacity of regulating one's conceptual self memory in community sample survivors of complex trauma with high levels of sensation based trauma memory representations. In the directed forgetting paradigm experiment, the experimental group with high sensation based trauma memory (n=10),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ith low sensation based trauma memory (n=10), showed lower recall effects for trait words that represents the opposite of one's conceptual self. This result supports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elf concept problems and trauma memory features. Among survivors of complex trauma with high levels of sensation based trauma memory representations, rigidity and bias of the conceptual self memory network, lowered cognitive capacity for cues other than the conceptual self, and lower competition capacity for the alternative conceptual self may be related to posttrauamatic self concept problems. Limitations and clin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keywords
trauma, self concept, sensation based memory, directed forgetting paradigm
투고일Submission Date
2016-03-31
수정일Revised Date
2016-05-07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16-05-20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