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령기 자녀를 양육하는 직장여성의 일-가정 다중역할 부정적 경험과 우울의 관계: 정신화로 조절된 자녀수반-자기가치감의 매개효과
한국임상심리학회
9권 3호,
pp.375-401
중학생의 분노표현방식과 정서인식명확성 군집에 따른 우울과 공격성의 차이
한국임상심리학회
9권 3호,
pp.403-424
한국판 Perth 정서 반응성 척도의 타당화
한국임상심리학회
9권 3호,
pp.425-453
특성 분노와 강박적 확인행동의 관계에서 과도한 책임감과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임상심리학회
9권 3호,
pp.455-480
국내 심리서비스 관련 민간자격 현황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9권 3호,
pp.481-505
한국의 공공 정신건강서비스 현황 및 심리사법안의 방향성 고찰
한국임상심리학회
9권 3호,
pp.507-533
국가 정신건강검진의 현재와 개선방향에 대한 제언
한국임상심리학회
9권 3호,
pp.535-545
심리서비스에 대한 대국민 설문조사
한국임상심리학회
9권 3호,
pp.547-562
정신건강전문요원의 역할에 대한 정신건강증진시설 현장의 요구: 대안적 임상심리 자격 제도에 대한 필요성
한국임상심리학회
9권 3호,
pp.563-586
서울심리지원센터 내담자들의 상담경험 질적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9권 3호,
pp.587-606
국내 임상심리대학원 인증제의 방향성에 대한 제언
한국임상심리학회
9권 3호,
pp.607-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