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조선 여성의 공적 발언 : ‘소통’과 ‘권리’ 추구

Official Comment of Chosun : Woman's-pursuit for communication and right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8, v.0 no.45, pp.302-331
https://doi.org/10.15686/fkl.2018..45.302
황수연 (홍익대학교)

초록

유교이념을 국가 통치의 근간으로 삼은 조선은 혼인제도. 재산, 상속에 관한 제도와 법률을 새로 만들어 백성들을 유교 사회에 적응하도록 하였다. 여성들은 달라진 제도와 관습을 수동적으로 수용하지 않고 자신의 권리가 침해받았을 때 부당함을 표명하고 시정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공적발언인 상언에 담았다. 조선 전기 여성은 신분을 막론하고 공적 발언의 주체가 되어 가족 혹은 자신을 위해 상언을 올렸다. 국왕을 비롯한 담당자는 논의와 합의를 통해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태도를 보였다. 당대에 이슈가 되었던 상언은 처/첩 분변과 적통 인정 요구, 권력에 대한 저항과 정치 참여, 소유권과 재산권 투쟁을 내용으로 하는 것들이다. 조선 여성들은 자신의 권리가 무시당하거나 거부당하는 상황에 접했을 때 자신의 권리를 무시하려는 타인과 '소통'을 시도했다. 경우에 따라 가족구성원과의 갈등을 감수하고서라도 자신의 '권리'를 찾기 위해 투쟁하였다. 조선 여성의 공적 발언은 이후 여권통문, 독자투고란, 국민청원 등의 형태로 지속되고 있다. 조선 여성의 공적 발언을 통시적으로 살핌으로써 우리나라 여성의 사회 참여와 태도에 대한 역사적 의미를 밝힐 수 있다.

keywords
조선, 여성, 공적 발언, 상언, 소통, 권리, Chosun, woman, official Comment, petition, communication, right

Abstract

The Chosun Dynasty, which used Confucian ideology as the basis for state rule, changed the marriage system, property rights and the inheritance system so that people could adapt to Confucian society. Women did not accept the new system and customs passively, but expressed their opinion that they would be unjust when their rights were violated and claimed their rights. A woman in the early Chosun Dynasty made a statement when she or her family were involved in something unfair, regardless of her status. The king and other officials expressed their willingness to solve the problems through discussions and agreements. The words that became an issue at the time are those that describe wife/concubine and calls for the main line of descent, resistance to power and political participation, and struggle for ownership and property rights. When faced with a situation where their rights were ignored or denied, Chosun women tried to make personal 'communication' with others who tried to ignore them. In some cases, it was found that even at the risk of conflict with family members, they were often written to find their "rights." A circular letter of woman's right, column of opinion, petition, etc. are modified. It continues on and on. By examining the official comment of Choseon women, the historical meaning of Korean women's social participation and attitude can be revealed.

keywords
조선, 여성, 공적 발언, 상언, 소통, 권리, Chosun, woman, official Comment, petition, communication, right

참고문헌

1.

『조선왕조실록』, 국역본, http://sillok.history.go.kr

2.

『承政院日記』, 국사편찬위원회.

3.

『本朝女史』, 고려대학교 도서관.

4.

문숙자, 『조선시대 재산상속과 가족』, 경인문화사,2004, 92-245쪽.

5.

정병인, 『조선전기 혼인제와 성차별』, 일지사, 1999, 53-283쪽.

6.

한상권, 『조선후기 사회와 소원제도-상언·〮격쟁 연구』, 일조각, 1996, 97-106쪽.

7.

최홍기 외6명, 『조선전기 가부장제와 여성』, 대우학술총서, 아카넷, 2004, 227-260쪽.

8.

김경숙, 「조선 후기 여성의 정소활동」, 『한국문화』 제36호, 한국문화연구소, 2005, 89-123쪽.

9.

김명숙, 「조선후기 여성의 訴冤활동-효명세자 대청기의 상언· 격쟁을 중심으로-」, 『동덕여성연구』, 제7호, 동덕여성연구학회, 2002, 11-29쪽.

10.

김성배, 「청원권의 기원과 청원법의 개선방향」, 『세계헌법연구』, 제23권 3호, 국제헌법학회, 2017, 179-216쪽.

11.

김지수, 「법과 감정은 어떻게 동거해왔나-조선시대 재산 분쟁을 둘러싼 효·열의 윤리와 인정」, 『감성사회』, 글항아리, 2014, 81-108쪽.

12.

박경, 「조선전기 처첩질서 확립에 대한 고찰」 , 『이화사학연구』 제27집, 이화사학연구소, 2002, 181-208쪽.

13.

서경희, 「김씨 부인 상언을 통해 본 여성의 정치성과 글쓰기」,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제12집,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6, 39-75쪽.

14.

이재룡, 「조선시대 법제도에서의 공감과 소통적 구조」, 『사회사상과 문화』21권 2호, 동양사회사상학회, 2018, 129-162쪽.

15.

이헌창, 「조선시대 재산권· 계약제도에 관한 시론」, 『경제사학』제56호, 경제사학회, 2014, 3-55쪽.

16.

이현지, 「주계군 이심원의 삶과 시세계」, 『한국한시연구』 제11집, 한국한시학회, 2003, 23-66쪽.

17.

임형택, 「김씨부인의 국문 상언-그 역사적 경위와 문학적 읽기」, 『민족문학사연구』, 민족문학사학회, 민족문학사연구소, 2004, 358-384쪽.

18.

황수연, 「김씨 부인 상언의 글쓰기 전략과 수사적(修辭的) 특징」, 『열상고전연구』 제46호, 열상고전연구회, 2015.8, 419-447쪽.

19.

황수연, 「본조여사 연구」, 『열상고전연구』 제54호, 열상고전연구회, 2018, 29-55쪽.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