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사회공포증에 대한 인지적 평가 III : 역기능적 신념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Cognitive Assessment of Soclal Phobia (III) :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Dysfunctional Beliefs Test

초록

사회공포증에는 인지적 변인들이 특히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사회공포중의 주된 인지적 내용의 하나로 간주되는 역기능적 신념들을 체계적으로 정의해서 이를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도구는 아직까지 개발되어 있지 않다. 두가지 일련의 연구를 통해, 사회공포증의 역기능적 신념들을 체계적으로 정의한 후 예비 문항들을 표집하였고, 그 문항들의 내용타당도에 대한 검토 및 일련의 요인분석을 거쳐 70개의 문항으로 된 역기능적 신념검사를 개발하였으며,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 검사는 내적 합치도, 반분신뢰도 및 검사-재검사 신뢰도가 매우 높았다. 요인분석 결과, '사회적 자기에 대한 부정적인 개념', '타인의 인정에 대한 과도한 요망', 그리고 '타인에 대한 부정적인 신념 및 실수에 대한 과도한 염려'라는 3 요인구조로 이루어져 있었다. 그리고 이 검사는 부정적 평가에 대한 공포 성향 뿐만 아니라 사회공포증과 관련된 부적응적인 자동적 사고, 정서적 및 행동적 증상, 그리고 특질불안 등과도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던 반면, 사회적 스트레스 자극과의 상관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따라서 역기능적 신념검사는 사회공포중의 역기능적 신념들을 평가하는데 있어 매우 신뢰롭고 타당한 검사라고 결론내릴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사회공포증에 대한 인지적 연구 및 치료에서 이 검사가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 지에 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Abstract

Cognitive variables have been known to be particularly important in social phobia. However, there has not yet been developed any instrument to define systematically and measure objectively dysfunctional beliefs regarded as one type of main cognitive contents of social phobia. Based on the systematic definitions of dysfunctional beliefs of social phobia, a pool of 220 preliminary items were sampled, and 199 items were initially select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content validity. And then the Dysfunctional Beliefs Test(DBT) with 70 items was constructed using a series of factor analyses on the data of 199 items, and was examined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in two separate studies. The DBT was highly reliable in terms of internal consistency, split-half reliability, and test-retest reliability. Factor analyses revealed that it had three factors labeled 'Negative Concept of Social Self', 'Excessive Demand for Others' Approval', and 'Negative Belief of Others and Excessive Concern over Mistakes'. And the DB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aladaptive automatic thoughts, emotional and behavioral symptoms, and trait anxiety related to social phobia as well as a vulnerability to fear of negative evaluation, but not with social stressor. In conclusion, the DBT appears to be a highly reliable, valid measure to assess dysfuntional beliefs of social phobia. Lastly, both the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ies and the utilization of the DBT in the cognitive study and treatment of social phobia were discussed.

keywords
투고일Submission Date
1999-01-27
수정일Revised Date
1999-04-26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1999-05-18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