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SSN : 2733-453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self-control training program on relief of online game addiction level, aggression, and impulsivity of college students with online game addiction. Five hundred college students who lived in Chonbuk province completed the Game Addiction Scale, the Aggression Scale, and the Impulsivity Scale. The students who scored more than 72 points on the Game Addiction Scale and spent more than two and half hours per day playing online games were screened. Twenty one people selected by those scale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Self-Control Training Group (n =10) and the waiting-list control group (n=11). A self-control program was administered for 10 sessions. All the participants completed the Game Addiction Scale, the Aggression Scale, and the Impulsivity Scale at pretreatment, the end of treatment, and the 4 weeks follow-up.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game addiction level and the impulsivity level of the therapy group were decreased more than those of the waiting-list control group, but the aggression level was not decreased in both group.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also discussed.
공은경 (2000). 컴퓨터 중독에 빠진 청소년과 부모를 위한 가족치료. 서울여자대학교 기독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구영수 (1984). 자기 통제 훈련이 중학생의 학습 습관과 성적 향상. 경북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권연하 (1994). 자기통제훈련이 여중생들의 우울감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권정숙 (1997). 전자오락이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강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경선 (2001). 컴퓨터 게임이 청소년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경환 (2003). 인지행동 집단상담이 중학생의 인터넷게임 중독에 미치는 효과.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명숙 (2004). 컴퓨터 게임을 활용한 학습이 초등학교 4학년 영어 읽기 어휘력과 흥미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윤숙 (2004). 자기통제 훈련이 초등학생의 인터넷 게임 중독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유정 (2001). 청소년 인터넷 게임 중독척도 개발 및 심리사회적 취약성 요인.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재근 (2000). 자기통제 훈련 프로그램이 정서장애아의 공격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우석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종원 (2002). 중, 고등학생의 자기통제력, 사회환경적 요인 및 인터넷, 게임 중독과의 관계.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지현 (2003).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인터넷 게임 중독 감소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노컷뉴스 (2010.02.21.). 살상 게임 노출 학생들 “꾸중하는 부모는 적군” 살해 충동.
내일 신문 (2008.09.28.). 대학생 2명 중 1명 “난 게임에 중독됐다”.
내일 신문 (2008.09.29). 온라인 게임에 빠진 대한민국.
노은애 (2005). 중학생의 컴퓨터 게임 중독이 공격성, 충동성 및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디지털 타임즈 (2003,08,25.). 10대 산업 현황 및 전망.
매일신문 (2010.02.19.). 사람잡는 게임중독10대 때 못 끊으면 30대까지 간다.
매일경제 (2010.04.16.). 러시아 14세 소년, 게임 금지령에 父 살해.
민수홍 (1996). 개인의 자기통제력이 범죄억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형사정책연구원.
라정운 (2005). 자기통제훈련이 중학생의 인터넷게임 중독 감소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문서영 (2004). 청소년 온라인 게임 중독과 몰두성향,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문화일보 (2010.11,26). 죽음 몰고 온 ‘청소년 게임중독’ A to Z.
박창민 (2007). 게임의 폭력성과 가상공간에서의 자기효능감이 게임 중독과 사이버 비행에 미치는 효과. 대가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송숙자 (2003). 아동의 컴퓨터게임 몰두성향과 심리사회 및 행동적 특성에 관한 연구. 군산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송원영 (1999). 자기효능감과 자기통제력이 인터넷의 중독적 사용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송인덕 (1999). 온라인 중독증 개념의 타당성 검증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신지원 (1998). 가정의 심리적 환경과 아동의 공격성향 및 도덕적 판단능력과의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신현명 (2001). 고교생의 인터넷 게임 중독치료를 위한 현실 요법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 외국어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안미영 (2002). 청소년의 컴퓨터 경험과 자기개념 및 자기통제력과의 관계. 가톨릭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안혜숙 (2002). 아동의 컴퓨터 게임 몰입정도와 인성특성과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엄정흠 (2008).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오대연 (2001). 대학생의 성격특성과 종류별 게임중독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오유자 (2004). 자기성장 프로그램을 적용한 컴퓨터 게임중독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및 가족관계 향상효과.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은혁기 (1992). 자기통제법이 유아의 문제행동수정에 미치는효과.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경임 (1996). 인지적-행동적 자기통제 훈련이 아동의 자기통제능력, 과제수행능력 및 대인간 문제해결능력의 개선에 미치는 효과. 경상대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이계원 (2001).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이곤섭 (2001). 컴퓨터 중독과 충동성, 자아존중감 및 스트레스와의 관계 연구.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몽숙 (2009). 인터넷 게임중독 잠재적 위험 초등학생을 위한 자기통제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송선 (2000). 청소년의 컴퓨터 게임중독과 정서적 특성과의 관계: 초등학교 5·6학년과 중학교 2학년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숙민 (2002). 자기통제훈련 프로그램이 인터넷 중독 감소에 미치는 효과.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유경 (2002). 컴퓨터 게임 중독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 및 적응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추진 (2007). 초등학교 저학년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 유형에 따른 공격성과 자기통제력에서의 차이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혁기 (2000). 자기통제훈련이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충동성 및 과잉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형초 (2001). 인터넷게임 중독의 진단 척도 개발과 인지행동치료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이현수 (1992). 충동성 검사 실시 요강. 서울: 한국가이던스.
임춘희 (2003). 인터넷게임중독 남자 고등학생의 심리사회적 특성.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정선태 (2001). 자기통제훈련 프로그램이 인터넷 중독 감소에 미치는 효과. 울산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정원경 (2005). 자기통제훈련이 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감소와 자기통제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정정숙 (1999). 자기통제 훈련 프로그램이 유혹 저항력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최봉순 (2002). 자기통제훈련이 초등학생의 과잉 컴퓨터 게임 행동감소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최진승 (2000). 주의력결함 - 과잉행동 장애아동의 원인귀속 유형 연구. 한국교육학회 부산지회.
표명화 (2003). 게임 욕구조절 프로그램이 인터넷 게임 중독 완화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투데이 코리아 (2010.02.09.). 게임 중독 대책 성인까지 확대.
한경아 (2003). 초등학생의 컴퓨터게임중독과 자기통제력, 부모의 통제간의 관계. 전주대학교 국제상담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한국 게임산업 개발원 (2004). 2004 대한민국 게임백서. 문화관광부
한국 인터넷 진흥원 (2007). 2007년 하반기 정보화실태조사.
한국 콘텐츠 진흥원 (2009). 게임인식 행동 진단척도 연구.
한승희 (2001). 중학교 학생들의 컴퓨터 게임 중독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홍마리아 (2000). 개인의 자발적인 행위관점에서 본 컴퓨터 게임의 재미요소분석.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Bandura, A. (1997). Social learning theory. Engelwood Cliffs, N. J.: Prentice-Hall
Barratt, E., & Patton, J. H. (1985). Impulsivity: Cognitive, behavioral and psychophysiological correlates. In M. Suckerman(Ed.), Biological bases of sensation seeking, impulsivity, and anxiety. Hillsdale, N.J.: Erlbaum.
Barratt, E. (1985). Impulsiveness subtrait: Arous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New York: Elsevier.
Buss, A. H. (1961). The psychology of aggression. New York: Wiley.
Cooper, A., Scherer, C., & Boies, S. C. (1988). Sexuality on the Internet: From Sexual Exploration to pathological Expression.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30(2), 154-164.
Dominick, J. R. (1984). Videogames, television vilence and aggression in teenagers. Journal of Communication, 34 (2), 136-147.
Eysenck, H. J., Eysenck, S. B. G. (1984). Personai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A natural science approach. New York: Plenum Press.
Fontini, J. (2009). Video Games and Spatial Cognition.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14(2), 92-104.
Gee, W. (2003). Video game values: Human- computer interaction and games. Interacting with Computers, 19(2), 180-195.
Gentile, J. (2005). Video game violence: A review of the empirical liferature. Aggression and Vilent Behavior, 3(4), 407-248.
Griffiths, M. D. (1991). Computer game playing in early adolescence. Youth and Society, 29, 223-237.
Griffiths, M. D. (2002a). The educational benefits of videogames. Education and Health, 20, 47-51.
Kirriemuir, (2002). Media violence and the self: The impact of personalized gaming characters in aggressive video games on aggressive behavior.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27(1), 432-439.
Lazarus, A. J. (1976). Combinatorial games under auction play. Games and Economic Behavior, 27(2), 229-264.
Marion, S. (1983). Competition under different reimbursement systems: The concept of an internet-based hospital management game.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185(3), 948-963.
Koop, W. (2002). Video games and the perception of very long durations by adolescent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5(2), 554-559.
Perry, D. G. (1992). Social development. Englewoodm Cliff, NJ: Prentice-Hall.
Provenzo, F. (1991). Beyond Nintendo: Design and assessment of educational video games for first and second grade student. Computers & Education, 40(1), 71-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