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메뉴

권호 목록

용서신념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조수아(서울아산병원 정신과) ; 권석만(서울대학교) ; 임영진(서울대학교) pp.1-19 https://doi.org/10.15842/kjcp.2011.30.1.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용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요인으로서 용서신념을 제안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용서신념척도를 개발하여 기존의 용서척도로는 평가할 수 없었던 용서의 새로운 측면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고등학생 454명에게 용서신념척도의 예비문항을 실시하여 탐색적 요인 분석을 한 결과, 용서신념척도가 자기 손상, 부정적 효과, 긍정적 효과의 세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는 비교적 안정적인 구조를 지니는 척도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높은 용서신념 수준은 더 높은 용서와 관련되었으며, 더 낮은 부정적 정서 그리고 더 높은 주관적 안녕감과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용서신념척도가 신뢰롭고 타당한 심리측정적 속성을 지닌 도구임을 시사해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들의 의의 및 한계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main aims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the concept of forgiveness beliefs as meta-cognition beliefs that effect forgiveness decisions, and to develop the Forgiveness Beliefs Scale (FBS), which has been assumed to assess the meta-cognition of forgiveness and finally, to measure new aspects of forgiveness that had not been assessed by preexisting forgiveness scales.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454 high school students. Results suggested that the FBS consisted of three factors, i.e. Self Damage, Negative Effects, and Positive Effects. Reliability and other validity analyses of the FBS were conducted to validate the scale. Further, the relationships among the forgiveness beliefs, forgiveness, negative affects, and subjective well-being were explored.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FBS had good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Results of a correlation analyses revealed that higher levels of forgiveness beliefs related to more forgiveness, less negative affects, and a higher subjective well-being. Overall,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FBS has both valid and reliable psychometric propertie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results were also discussed.

불안장애 및 우울장애에 따른 불안민감성(Anxiety Sensitivity)의 차별성
김예원(성균관대학교) ; 이정애(성균관대학교) ; 오강섭(성균관대학교) ; 임세원(성균관대학교) pp.21-38 https://doi.org/10.15842/kjcp.2011.30.1.002
초록보기
초록

불안민감성(anxiety sensitivity)은 불안관련 증상들을 두려워하는 성향으로 그로 인해 해로운 신체적, 심리적, 또는 사회적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는 신념에 기초하고 있다. 이를 측정하는 도구로는 불안민감성 지표(Anxiety Sensitivity Index; ASI)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다차원적인 구조를 가정하고 우울 및 불안장애와의 관련성을 밝히고자 하는 연구들도 다수 보고되고 있다. 이에 연구 1에서는 정신과 외래에 내원하여 불안장애 및 우울장애로 진단받은 성인남녀 611명을 대상으로 ASI, BDI 및 BAI를 실시하였다. ASI를 탐색적 요인 분석 및 확인적 요인 분석한 결과, 선행연구에서와 같이 신체적 염려, 사회적 염려, 인지적 염려 요인으로 구성된 위계적 3요인 모형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사회불안장애(n=101), 공황장애(n=145), 범불안장애(n=33), 우울장애(n=135)로 진단받고 공존질환이 없는 대상으로 총 430명을 선별하여, 임상집단에 따른 불안민감성의 세 하위 요인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신체적 염려 요인은 공황장애에서, 사회적 염려 요인은 사회불안장애 집단이 다른 세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인지적 염려 요인은 범불안장애와 우울장애가 사회불안장애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nxiety sensitivity is the fear of anxiety-related symptoms, arising from beliefs that the sensation has harmful physical, social, or psychological consequences. To measure anxiety sensitivity, the Anxiety Sensitivity Index(ASI) is commonly used. Several studies have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 assuming multidimensional structure. In this study, ASI, BDI, and BAI were administered to 611 adult males and female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 upon visiting the psychiatric clinic. Exploratory factor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ere employed to test competing models, and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hierarchical model(comprising three first-order factors corresponding to physical concern, social concern and cognition concern) provided the best fit to the data. This finding wa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e current study also investigated(using an ANCOVA) differences with respect to the three factors of anxiety sensitivity in four clinical groups of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either with social anxiety disorder(n=101), panic disorder(n=145), generalized anxiety disorder(n=33) or depressive disorder(n=135) and had been free of comorbidity. Results indicated that physical concer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nic disorder patients compared with the other three groups, and that social concer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ocial anxiety disorder patients. Furthe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patients and depressive disorder patients had more cognitive concern than social anxiety disorder patien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불안이 외현 기억 편향에 미치는 영향: 위협자극에 대한 인지적 회피와 모호자극의 선호적 처리
오서진(연세대학교) ; 오경자(연세대학교) pp.39-54 https://doi.org/10.15842/kjcp.2011.30.1.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외현기억 과정에서 불안에 대한 민감성이 ‘인지적 회피(Cognitive Avoidance)’를 통해 오히려 불안단서에 대한 기억을 억제시킬 수 있다는 이론을 바탕으로, 불안 수준이 높은 사람들이 불안하지 않은 사람보다 위협 관련 단어를 잘 기억하지 못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불안이 자극에 대한 활성화 과정과 입력된 정보의 정교화 과정에 반대방향으로 작용할 가능성, 각 정보처리과정에서 자극의 속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 자극에 모호함을 나타내는 단어를 추가하였다. 불안한 사람들은 모호한 자극을 보다 위협적인 방향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들로 하여금 부적 정서를 유발하지만, 명백한 위협 자극에 비해 실제적 위협가는 낮기 때문에 인지적 회피를 유발할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을 것이라 예측하였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고불안 집단과 저불안 집단을 각 44명씩 선정하여, 중립, 모호, 위협 단어에 대한 우연적 학습과제 실시 후 자유회상 검사와 재인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자유회상 과제에서는 불안 수준에 따른 수행 편차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재인 과제에서는 고불안 집단이 저불안 집단에 비해 위협단어를 정확하게 기억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불안 집단에서는 모호 단어에 비해 중립 및 위협 단어에 대한 기억의 정확성이 유의미하게 낮았으나, 저불안 집단은 단어 종류에 따른 기억 수행 수준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불안한 사람들이 모호한 정보를 해석하고 그 의미를 부여하는 과정에서 위험에 대한 민감한 주의가 위협 단어와 모호한 단어 모두에 작용하였지만, 인지적 회피 전략으로 인한 후속적 처리의 억제는 상대적으로 명백한 부적 정서를 가지는 위협 단어에만 작용하였기 때문에 기억의 명확성이 저하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memory for anxiety and threat words in individuals exhibiting high and low levels of anxiety. Based on the theory of Cognitive Avoidance, it was hypothesized that highly-anxious participants would show impaired memory for threat-related words. To compare the activation and elaboration processing bias for threatening words and to investigate the selective effects of these information processes, not only in regard to threat-related words but for words referring to uncertainty, were included. Although anxious individuals have a tendency to interpret uncertain cues as threats, compared to threatening cues, uncertain cues are less intimidating so it was assumed that uncertain words would have a lower potential to cause cognitive avoidance. High anxious (n=44) and low anxious (n=44) participants, who had been screened from university students, conducted a free recall and recognition task on neutral, threatening, and uncertain words. Results indicated that the high anxious group recognized significantly less threatening words than the low anxious group. Further, the high anxious group also recognized significantly less neutral and threatening words than uncertain words whereas the low anxious group showed no difference with respect to word type.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xious individuals respond sensitively to both threat and uncertain cues in the initial stages of information processing (activation phase), but selectively inhibit later stage processing (elaboration phase) on threat cues only.

아동․청소년 ADHD의 진단에서 기능장해 평가의 중요성 및 하위유형 간의 기능장해 비교
박준호(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 이소영(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 권민교(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 이연정(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 정한용(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신경정신과) pp.55-70 https://doi.org/10.15842/kjcp.2011.30.1.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장해 평가의 중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ADHD를 진단할 때 증상 기준에 해당되는 대상들 가운데 장해 기준에도 함께 해당되는 비율(진단일치율)을 알아보았다. 장해 기준은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전반적 기능 장해 평가(global measures of disability)와 특정한 증상에 대한 기능 장해 평가(measures of symptom-specific impairment)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ADHD 각 하위 유형에서 주로 나타나는 기능 장해가 무엇인지 알아보았으며 하위 유형에 따라 그 기능 장해의 비율이 다른지도 알아보았다. 그 결과, ADHD 증상 기준에 해당하는 75명(부주의 우세형 36명, 과잉행동-충동성 우세형 15명, 복합형 24명)에게 장해 기준을 적용했을 때 진단일치율이 79.2%에서 100%까지 어떠한 장해 기준을 사용했느냐에 따라 일치율이 다르게 나타났다. 그리고 ADHD 전체와 모든 하위 유형에서 사회적 기능의 장해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하위 유형 간의 유의한 기능 장해의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과 청소년의 ADHD 진단에 있어서 기능 장해에 대한 평가가 중요하며, 아동ㆍ청소년 ADHD의 치료에서 사회적 기능 장해에 대한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장래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o assess the importance of functional impairment, the first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agnostic consistency between symptom and impairment criteria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ADHD). The second aim was to compare the functional impair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DHD according to the different measures of impairment and to ADHD subtypes. Seventy-five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met the full symptom criteria of the DSM-IV ADHD algorithm were assessed for impairment. In order to assess the impairment, we used the Children's Global Assessment Scale(C-GAS), a certified global measure of disability and measures, and two other symptom-specific impairment measures that were included in the Kiddie-Schedule for Affective Disorders and Schizophrenia(K-SADS) and Diagnostic Interview Schedule for child version IV(DISC-IV). As a result, diagnostic consistency was 79.2% to 100%, varying according to the impairment measure used. In our sample, impairment in social functioning was the highest and problems with parents were salient. In addit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impairment between ADHD subtypes. These results imply that measuring impairment is important in the diagnostic procedure of ADHD, and that it is necessary to attend to such impairment in social functioning when treating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DHD.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es have been discussed.

경계선과 반사회성 성격병리에서의 충동성과 공격성 비교
임지영(충북대학교) ; 황순택(충북대학교) pp.71-92 https://doi.org/10.15842/kjcp.2011.30.1.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경계선과 반사회성 성격병리에서의 충동성과 공격성을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대학생과 일반 성인 총 305명이었다. BIS-11 충동성 척도, EIS 충동성 척도, Buss와 Durkee Hostility 척도, PAI 경계선 성격 특성 척도와 반사회성 성격 특성 척도, 성격장애 진단검사의 경계선과 반사회성 척도를 실시하였다. 충동성과 공격성에 포함되는 어떠한 하위요인이 경계선과 반사회성 성격병리를 설명해 줄 수 있는지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흥분성, 전반적 정서조절결함, 운동활동 충동성, 공격적 태도, 인지 충동성, 신체적 공격, 원한, 부정성이 경계선 성격병리를 유의미하게 설명하였다. 또한, 신체적 공격, 행동통제결함, 운동활동 충동성, 언어 공격성, 무계획 충동성, 정서조절결함이 반사회성 성격병리를 유의미하게 설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경계선과 반사회성 성격병리에서 공통적으로 충동성, 공격성이 높게 나타나지만 그 구체적인 내용에서는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impulsivity and aggression betwee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BPD) and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ASPD) groups. Participants included 305 college students and normal adults. The Barratt Impulsivity Scale(BIS) and the Eysenck Impulsiveness Scale(EIS) were used to examine impulsivity. Further, the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PAI) - aggression, the Buss Durkee Hostility Inventory (BDHI), the PAI borderline (PAI - BOR), the PAI antisocial (PAI - ANT), and both the diagnostic test for personality disorder borderline and antisocial behavior were us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irritability, pervasive emotional regulation deficit, motor impulsivity, aggressive attitude, cognitive impulsivity, physical aggression, resentment, and negativism could predict BPD features. Further,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action control deficit, physical aggression, motor impulsivity, verbal aggression, non-planning impulsivity, and emotional regulation deficit could predict ASPD features. These results implied that the BPD traits group and ASPD traits group experience impulsivity and aggression, but that the level of impulsivity and aggression between the two groups differed.

인지기능 저하를 보이는 노인군에서 시각 주의력 및 운전수행 손상
김효진(경북대학교) ; 장문선(경북대학교) ; 이호원(경북대학교) ; 김영은(경북대학교) ; 곽호완(경북대학교) pp.93-112 https://doi.org/10.15842/kjcp.2011.30.1.0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경도 인지 장애군과 경증 알츠하이머병 환자군에서 시각 주의력의 손상이 운전 수행과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증 알츠하이머병 환자군과 경도 인지 장애군, 정상 노인 대조군을 대상으로 연속 수행 과제와 시각 탐색 과제, 변화 맹시 과제 등 전산화된 신경심리검사를 실시하여 시각 주의력을 측정하였으며, 운전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운전 수행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시각 주의력 측정치에서 경증 알츠하이머병 환자군이 경도 인지 장애군과 정상 노인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저조한 수행을 보이고 있었다. K-평균 군집분석으로 인지기능저하군(경증 알츠하이머병 환자군+경도 인지 장애군)을 운전을 잘한 집단과 못한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시각 주의과제 측정치로 판별 분석한 결과, 운전자 집단에서 사례의 81.8%를 정확하게 분류하여 성공적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경증 알츠하이머병 환자군과 경도 인지 장애군의 시각 주의력 손상이 운전 수행을 저조하게 할 수 있으며, 알츠하이머병 환자에서 시각 주의력의 측정이 운전적합성 여부의 판단을 위한 기초적인 선별검사로써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impairments of visual attention and driving performance in mild cognitive impairment(MCI), mild Alzheimer's disease(AD), and control groups. All groups were subjected to several web-based neuropsychological tests, including a continuous performance test, a visual search task, and a change blindness task in order to measure impairments in visual attention. In addition, a driving simulator was employed to compare driving performances among the three groups. As a result, AD group showed poorer performances on the visual attention task compared to MCI and control groups. Using a K-means cluster analysis with five driving performance scales, the declined cognitive function group(AD+MCI) was divided into Good/Bad driver subgroups. Finally, a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test whether the five measures of visual attention could successfully classify the two groups. As a result, 81% of the members were correctly classified, suggesting that impairments on visual attention in AD and MCI may cause poor driving performances. Also, it was demonstrated that visual attention tests might be useful in determining the suitability of obtaining or keeping a driving license in AD patients. Several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정서조절을 위한 MBCT가 임상군 환자들에게 미치는 효과
전미애(영남대학교) ; 김정모(영남대학교) pp.113-135 https://doi.org/10.15842/kjcp.2011.30.1.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만성우울증 재발방지를 위한 Segal, Williams와 Teasdale(2002/2006)의 MBCT 프로그램을 정서조절에 초점을 두어 수정보완한 정서조절 MBCT의 효과를 살펴본 것이다. 임상집단을 대상으로 정서조절곤란 및 부정적 정서와 관련된 인지양식, 우울, 불안에 대한 정서조절 MBCT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약물치료와 MBCT를 병행한 참여집단(n = 9)은 약물치료만 받은 통제집단(n = 9)에 비해 마음챙김의 주의집중과 수용, 정서조절곤란, 인지회피, 반추적 반응, 우울, 불안, 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참여집단의 사전과 사후의 변화에 대한 효과의 크기(d)를 분석한 결과, .72 - 1.51, 사전과 추수의 효과의 크기(d)는 .73 - 1.87이었으며, 사후시점에서 참여집단과 통제집단의 효과의 크기(d)는 1.07 - 2.32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서조절 MBCT가 임상집단에서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정서조절과 부정적 정서관련 인지양식의 변화를 촉진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정서조절 MBCT의 치료적 요소들에 대해 논의되었고, 치료적 과정에 대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MBCT) for emotion regulation in a patient group. The MBCT group and treatment as usual group were assessed (pre/ post/ follow-up) in cognitive modes associations with negative emotions such as cognitive avoidance, ruminative respons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depression, and anxie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BCT group (n = 9)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observation and acceptance of mindfulness, and reduced cognitive avoidance, ruminative respons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depression, anxiety, compared with the treatment as usual group (n = 9). These results continued to a six week follow-up. Further, the cohen`d of the MBCT group was large (.72-1.87). Overall, these results imply the applicability of the MBCT for emotion-regulation in a patient groups, MBCT can facilitate a change in cognitive modes which are associated with negative emotions. Futher, we have discussed therapeutic factors of MBCT for emotion-regulation, and suggested therapeutic processes for further study.

영유아 발달지체 선별에 대한 CBCL 1.5-5 유아행동평가척도-부모용의 변별력
하은혜(숙명여자대학교) pp.137-158 https://doi.org/10.15842/kjcp.2011.30.1.00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Denver-II에 따른 발달지체 판정결과를 기준으로 CBCL 1.5-5 유아행동평가척도 부모용의 변별력을 확인하였다. 서울 및 경기 지역의 18개월-36개월 영유아와 어머니 366명을 대상으로 한국형 Denver-II와 CBCL 1.5-5를 실시하였고 Denver-Ⅱ 결과에 따라 발달지체 40명, 정상집단 326명이 분류되었다. 결과를 보면 첫째, 99개 행동문제 문항 중 전체 영유아에서 25문항, 남아 19문항, 여아는 15문항에서만 발달지체 집단이 정상집단에 비해 높아서 개별 문항의 변별력은 비교적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10개 문제행동 증후군 척도와 5개 DSM 진단방식 척도의 발달지체 집단과 정상집단 간 차이를 검증한 결과 발달지체 집단에서 위축, 주의집중문제, 내재화 문제, DSM 전반적 발달문제, DSM ADHD 척도의 점수가 높았다. 셋째, ROC분석을 통해 발달지체 집단 예측력이 높은 척도를 확인하고 각 하위척도들의 발달지체 예측력을 비교한 결과 공통적으로 위축, 주의집중문제, 내재화 문제, 총 문제행동 척도, DSM 전반적 발달문제 척도의 변별력이 높았다. 넷째, 표준화 규준의 절단점에 근거한 CBCL 1.5-5의 발달지체 변별능력을 확인한 결과 변별력이 대체로 적절하였으나 일부 척도에서는 선별 목적에 따라 규준을 하향 조정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즉, 위축, 주의집중문제, DSM 전반적 발달지체 척도의 경우 임상장애 절단점인 70T일 때 민감도와 특이도가 가장 높았으나 포괄적 척도인 내재화 문제, 총 문제행동 척도의 경우 규준을 55T점까지 하향 조정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확인된 CBCL 1.5-5의 발달지체 변별력 및 임상적 시사점, 그리고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validity and clinical utility of Korean version of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1.5-5 in the screening of developmental delayed infants. The participants, who were screened by the Denver-II, included 40 developmental delayed infants(25 boys, 15 girls) and 326 normal infants(165 boys, 161 girls). Results indicated that the only 25 items among the CBCL 1.5-5 of total groups, 19 items of boys and 15 items of girls discriminate developmental delayed infants well. Further, discriminant validity was confirmed by mean differences on the subscales of Withdrawn, Attention Problems, Internalizing Problems, DSM Pervasive Developmental Problems and DSM ADHD between the two groups. Additionally, ROC analyses demonstrated that Withdrawn, Attention Problems, Internalizing Problems, Total Behavior Problems and DSM Pervasive Developmental Problems significantly predicted developmental delayed infants compared to normal infants. Also, the clinical cuttoff score criteria adopted in the Korean version of CBCL 1.5-5 for subscales of Withdrawn, Attention Problems and DSM Pervasive Developmental Problems were shown to be valid. However, the cutoff scores criteria for Internalizing Problems and Total Behavior Problems need to be lower by 55T. The implications of using the CBCL 1.5-5 in the screening of developmentally delayed infants and clinical suggestions were discussed.

나는 왜 감사해야 하는가?: 스트레스 상황에서 감사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노지혜(아주대학교) ; 이민규(아주대학교) pp.159-183 https://doi.org/10.15842/kjcp.2011.30.1.0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감사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감사의 스트레스 완충 기능을 알아보았다. 연구 1에서는 우선 감사특질과 인지적․정서적 안녕감 및 심리적 자원들(자기존중감과 일반적 자기효능감, 낙관성, 그리고 지각된 사회적지지)과의 관련성을 확인한 후, 참여자들이 보고한 생활 스트레스의 평균점수로 집단을 나누었을 때, 저-스트레스 집단보다 고-스트레스 집단에서 감사특질과 안녕감의 정적 상관이 더욱 뚜렷해짐을 확인함으로써, 감사가 스트레스 저항력을 높일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연구 2에서는 감사의 효과를 확증하기 위해, 감사 기분을 실험적으로 조작하였다. 일주일동안 매일 주변 사람들과 세상이나 환경, 그리고 자기 자신에게 감사할 수 있는 것들을 찾아 쓰도록 한 실험집단과 단순히 그날의 경험을 쓰도록 한 통제집단을 비교한 결과, 감사일지집단이 경험일지집단에 비해 인지적 안녕감과 자기존중감 및 낙관성이 높았으며 처치 기간 동안 부적 기분을 적게 경험한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감사가 안녕감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하고 그 과정을 설명하였으며, 의도적일지라도 감사할 수 있는 것들에 초점을 두는 것이 행복한 삶을 이끌고 유지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wo studi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atitude on a person's well-being and stress-buffering ability. Study 1 revealed that a disposition toward gratitude was associated with cognitive and emotional well-being and the following psychological resources: self-esteem, self-efficacy, optimism,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These positive correlations were remarkable in the high-stress group. In Study 2, the effect of a grateful outlook on well-being was examined. Participants who kept a diary about blessings for a week exhibited high cognitive well-being, self-esteem and optimism, and low negative affect relative to controls. These results confirm the function of gratitude i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uggest that a conscious focus on blessings is an effective way of achieving a happier life.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수면무호흡증과 주의력 결함 및 전두엽 실행기능 특성
김혜민(경북대학교 심리학과) ; 장문선(경북대학교) ; 이호원(경북대학교) ; 곽호완(경북대학교) pp.185-206 https://doi.org/10.15842/kjcp.2011.30.1.01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환자에서 수면무호흡증(Sleep Apnea Syndrome, SAS) 위험수준에 따른 인지기능 결함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SAS 고/저 위험도에 따라 MCI 환자군과 정상노인 대조군을 나눈 뒤, 네 집단에 대해 전산화된 주의력 검사(시각 탐색 과제, 연속 수행 과제)와 전두엽 실행기능 검사(선추적 검사, 스트룹 검사, 단어유창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MCI 환자군에서 SAS 위험도에 따른 주의력 검사의 수행 차이가 관찰된 반면, SAS 위험도에 따른 전두엽 실행기능 검사의 수행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관찰되지 않았다. 특히, SAS가 주의력의 경우 MCI 환자군에서 정상노인 대조군보다 더욱 심한 결함을 초래한 반면, 전두엽 실행기능의 경우 정상노인 대조군에서 MCI 환자군보다 더욱 심한 결함을 초래하였다. 이 결과는 SAS가 MCI 환자와 정상노인에서 인지기능의 악화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평가와 치료적 개입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MCI 환자의 SAS에 대한 국내 연구가 별로 없는 상황에서, MCI 환자를 대상으로 SAS 위험도에 따른 인지기능 결함 특성에 관한 실험적인 연구를 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가 의의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cognitive deficits i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MCI) and sleep apnea syndrome(SAS). Specifically, each of the MCI and control group was divided into high/low SAS risk groups, and they were subjected to two computerized attention tests, including a visual search task and a continuous performance test. In addition, the four groups were subjected to several frontal executive function tests, including a trail making test, a stroop test, and a word fluency test. As a result, while the SAS level significantly affected several attention indices in the MCI group, i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ed measures of frontal executive function tests. More importantly, SAS had a greater impact on attention deficits in the MCI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whereas it had greater impact on frontal executive functions in the control group than in the MCI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corresponding evaluation and medical intervention since SAS might act as a deteriorating factor of cognitive functions for both in MCI patients and normal elderlies. Given that there hasn't been many researches in SAS with MCIs in Korea, this study has significance for experimental research with respect to the characteristics of cognitive deficits and SAS risk in MCI patients,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of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수용전념 집단치료가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김미하(전주자림학교) ; 손정락(전북대학교) pp.207-223 https://doi.org/10.15842/kjcp.2011.30.1.0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수용전념 집단치료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 우울, 경험회피 및 인지적 융합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수용전념치료는 6회기로 이루어졌는데, 치료집단에 12명, 대기통제 집단에 15명을 배정하여 사전, 사후, 추적조사로 반복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수용전념 치료집단은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심리적 안녕감이 유의하게 더 증가하였고, 우울과 인지적 융합은 유의하게 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험 회피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수용전념 집단치료는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의 증가와 우울의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 시사점 및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s of the acceptance-commitment group therapy(ACT)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depression, experiential avoidance and cognitive fusion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ix sessions of the were administered. Twelve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assigned to treatment group and were assigned to control group. Both were pre- post-treatment month follow-up assesment psychological well-being, depression, experiential avoidance and cognitive fusion. The results that the treatment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epression symptom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 treatment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level of cognitive fusion compared to control. No significant changes occurred experiential avoidance. Results indicated that the treatment group treatment effect than the control group psychological well-being, depression and cognitive fusion. hese results suggest that can be applied effectively. Finally,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분열형 인격성향군의 자동 대 의식적 얼굴정서처리 과정과 신경심리 기능과의 관련성
연보라(성신여자대학교) ; 윤선아(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 김명선(성신여자대학교) pp.225-245 https://doi.org/10.15842/kjcp.2011.30.1.012
초록보기
초록

분열형 인격성향군의 자동 및 의식적 얼굴정서 처리과정과 신경심리 기능과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특히 분열형 인격성향군이 자동적 얼굴정서 처리과정은 유지하지만 의식적 얼굴정서 처리과정의 결함을 가지고 있는가와 이러한 결함이 인지 기능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분열형 인격장애 질문지(Schizotypal Personality Questionnaire: SPQ) 점수에 근거하여 분열형 인격성향군(n=15)과 정상통제군(n=15)을 선정하였다. 자동적 얼굴정서 처리과정은 성별판단 과제로 측정하였고 의식적 얼굴정서 처리과정은 정서명명 과제로 측정하였다. 신경심리 기능의 평가에는 주의(Trail Making Test: TMT, d2 test, Stroop test), 집행기능(Wisconsin Card Sorting Test: WCST)과 기억(Korean version of the California Verbal Learning Test: K-CVLT, Rey-Osterrieth Complex Figure Test: RCFT)이 포함되었다. 성별판단 과제에서는 분열형 인격성향군과 정상통제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정서명명 과제에서는 두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즉 분열형 인격성향군이 정상통제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오반응율을 보였다. 또한 신경심리 검사 중 TMT part B의 반응 시간, RCFT의 모사 단계의 반응 시간과 d2 검사의 총 오류수가 정서명명 과제의 수행을 잘 예측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분열형 인격성향을 가지는 사람이 의식적 정서처리의 결함을 가지고 있다는 것과 의식적 얼굴정서 처리가 시공간 지각능력, 주의 및 정신적 유동성 등의 인지 기능과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autonomous and conscious facial emotional processes and neuropsychological functions in nonclinical college students with psychometrically-defined schizotypal traits. Based on scores from the Schizotypal Personality Questionnaire(SPQ), schizotypal trait(n=15) and normal control(n=15) groups were selected. For the measurement of autonomous and conscious facial emotional processes, gender judgment and emotional discrimination tasks were administered, respectively. Neuropsychological functions such as verbal/nonverbal memory, executive function and attention were measured. Results indicated that the schizotypal trait and control groups did not differ on the gender discrimination task both in terms of response time(RT) and error rate. However, the schizotypal trait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error rates than did the control group on the emotional discrimination task. Further, RTs on the emotional discrimination task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RTs on the Trail Making Test, part B and the Copy condition of Rey-Osterrieth Complex Figure Test, while the error rate on the emotional discrimination task was associated with total number of errors on the d2 tes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utonomous emotional processing is maintained but that conscious emotional processing is impaired in nonclinical individuals with schizotypal traits, and that impaired conscious emotional processing seems to be related to attention, visuospatial perception and mental flexibility.

노인들의 주관적 기억문제 호소와 객관적인 인지 기능의 연관성 -Normal, Mild Cognitive Impairment, Dementia 군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성애(경희대학교) ; 이원혜(경희대학교) ; 송지영(경희대학교) ; 백종우(경희대학교) pp.247-261 https://doi.org/10.15842/kjcp.2011.30.1.01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의 주관적 기억문제 호소 양상과 객관적인 인지 기능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다양한 신경심리평가와 임상가 평정을 통해 73명의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정상 노인군(50명), 기억성 경도인지장애군(15명), 초기 치매군(8명)으로 분류한 뒤, 집단 간 주관적 기억문제 호소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때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Memory Functioning Questionnaire(MFQ), Prospective and Retrospective Memory Questionnaire(PRMQ)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하는 Korean Dementia Screening Questionnaire(KDSQ)를 통해 주관적 기억문제 호소 정도를 측정하였다. 객관적 인지기능 수준에 따른 주관적 기억문제 호소 양상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한 공변량 분석 결과, 정상 노인군과 MCI군은 보호자 보고와 미래계획기억 및 회고적 기억 등 구체적 기억행동에 초점을 맞춘 노인의 주관적 기억 저하 호소에서, 정상 노인군과 초기 치매군, MCI군과 초기 치매군은 보호자 보고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났다. 이는 인지기능 저하가 심할수록 자신의 기억력 저하에 대한 통찰이 부족하며, 전반적 기억 문제 호소에 비해 구체적 기억행동에 초점을 둔 기억력 문제 호소가 노인의 객관적 인지기능을 더 잘 반영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다양한 수준의 인지기능 노인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객관적 인지기능 수준에 따른 노인과 보호자의 주관적 기억문제 호소 양상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a association between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and objective cognitive functions in the elderly. Initially, 114 elderly participants living in the local community completed various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s and a clinical Dementia Rating. A total of 73 elder people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normal,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early dementia of Alzheimer's type). Subsequently, differences in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between the three groups were examined using the Memory Functioning Questionnaire (MFQ), Prospective and Retrospective Memory Questionnaire (PRMQ) through the elderly and Korean Dementia Screening Questionnaire (KDSQ) through their care-givers. Differences in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were analyzed using ANCOVA analysis after correcting for demographic variables. The KDSQ and both the PRMQ-P and PRMQ-R were significantly able to discriminate between the MCI and early dementia groups and normal and early dementia groups. This result demonstrate the presence of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jective memory complains according to objective cognitive functions.

기질과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가 성격 강점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하승수(한양사이버대학교) ; 권석만(서울대학교) pp.263-284 https://doi.org/10.15842/kjcp.2011.30.1.01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Cloninger(1987, 2004)가 제안한 기질차원과 VIA(Values In Action) 분류체계에 근거한 성격 강점 간의 관계를 밝힐 뿐만 아니라 기질과 성격 강점의 관계에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가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생득적인 성향으로서의 기질과 후천적인 부모의 양육태도가 개인의 성격 강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4가지 기질차원과 3가지 부모 양육태도 및 24가지 성격 강점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기질과 성격 강점의 관계에 대한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자극추구, 위험회피, 사회적 민감성, 인내력 기질차원들이 각각 독특한 양상으로 개별적인 성격 강점들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사회적 민감성은 인간애와 관련된 강점들과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인내력은 용기와 관련된 강점들과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 아울러 사회적 민감성 기질과 인간애 관련 성격 강점의 관계에서 부모의 온정적 양육태도가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를 토대로 성격 강점의 형성에 기질과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가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의 제한점과 시사점에 대해서 언급하였다.

Abstract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loninger(1987, 2004)'s temperament dimensions and the character strengths of the VIA(Values In Action) classification,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parenting styles on the above relationship. In order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four temperament dimensions, three parenting styles, and 24 character strength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emperament dimensions were separately related to specific character strengths, especially reward dependence to humanity-related strengths, and persistence to courage-related strengths.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a warm-hearted parenting styl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ward dependence and humanity-related strength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nfluence of temperaments and perceived parenting styles on character strengths was discussed.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우울증 소인으로서의 사회지향성과 자율지향성에 따른 대인관계 및 성취사건 관련 자극에 대한 주의편향
김지화(서울성모병원 정신과) ; 신현균(전남대학교) pp.285-304 https://doi.org/10.15842/kjcp.2011.30.1.01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사회지향성과 자율지향성을 지닌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격-일치성 가설을 정보처리 측면에서 검증하고자 실시되었다. 먼저 성격유형검사(PSI-II)를 실시하여 사회지향성 집단과 자율지향성 집단을 구분하였고, 참가자들은 부정적인 과거 경험을 쓰는 점화과제를 수행한 직후 대인관계 및 성취사건 관련 자극에 대한 주의편향을 알아보기 위해 사용된 탐침과제를 수행하였다. 사회지향성 집단은 대인관련 단어자극에, 자율지향성 집단은 성취관련 단어자극에 더 주의편향을 보일 것으로 예상하였다. 연구 결과, 탐침과제의 탐침과 목표단어 자극의 위치가 동일한 일치조건에서 사회지향성과 자율지향성 두 집단 모두 500ms 조건보다 1000ms 조건에서 주의편향을 보였는데 사회지향성 집단은 성취사건 관련 단어와 대인관계 긍정단어에 대해 정적편향을, 자율지향성 집단은 성취사건 긍정단어에 대한 정적편향을 대인관계 긍정단어에 대해 부적편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우울에 대한 취약성을 지닌 사회지향성, 자율지향성 집단이 자극의 종류에 따라 다른 패턴의 편향을 보인다는 것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gruency hypothesis in sociotropy and autonomy with respect to personality-relevant information processing. A sample of 34 undergraduate students(sociotropy, 17, autonomy, 17) wrote about stressful past experience. A dot probe task was used to investigate attentional bias regarding interpersonal- and achievement-relevant word stimuli. Both sociotropy and autonomy groups showed attentional bias within 1000ms. Further, the sociotropy group exhibited positive attentional bias toward both achievement-relevant words stimuli and positive interpersonal words. The autonomy group showed positive attentional bias toward achievement-relevant stimuli and negative attentional bias toward positive interpersonal words.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individuals who have a vulnerability to depression showed different patterns of attentional bias depending on the kinds of word stimuli. Limitations of curr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성취 지향적․관계 지향적 우울성향자의 암묵적․명시적 자존감
박승진(서울아산병원 정신과) ; 최혜라(서울아산병원 정신과) ; 이훈진(서울대 심리학과) pp.305-323 https://doi.org/10.15842/kjcp.2011.30.1.016
초록보기
초록

대학생 우울성향 집단을 성취 지향적 우울집단과 관계 지향적 우울집단으로 구분하여, 두 집단은 명시적 자존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지만 암묵적 자존감에 있어서는 성취 지향적 우울성향집단이 더 낮을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1에서는 대학생 391명을 대상으로 BDI와 성격양식질문지(PSI-Ⅱ), 암묵적 자존감 측정치의 하나인 이름철자 및 생일숫자 선호 검사(IBPT)와 명시적 자존감 측정치인 로젠버그 자존감 척도(RSES)를 이용하여 성취 지향적 우울집단과 관계 지향적 우울집단의 암묵적 자존감과 명시적 자존감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성취 지향적 우울집단은 명시적 자존감 수준에서는 관계 지향적 우울집단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지만, 암묵적 자존감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의 목적은 또 다른 암묵적 자존감 측정치인 암묵적 연합 검사(IAT)를 이용하여 연구 1의 결과를 반복 검증하는 것이었다. 성취 지향적 우울집단 13명, 관계 지향적 우울집단 14명, 통제집단 11명에게 암묵적 연합 검사의 자극을 세분화해 성취관련 IAT와 관계관련 IAT를 측정 후, 해결 불가능한 애너그램 과제를 실시해 실패 경험을 유도하여 IAT 점수를 측정하였다. 연구 1의 결과와 달리 IAT 점수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성취 지향적 우울집단은 애너그램 과제 후 유의미한 IAT 점수 하락을 보여 암묵적 자존감이 불안정함을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성취 지향적 우울성향집단과 관계 지향적 우울성향집단이 명시적 자존감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성취 지향적 우울성향집단이 암묵적 자존감은 더 낮을 것이라는 가설이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본 연구의 이론적․임상적 함의와 제한점,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plored implicit and explicit self-esteem of autonomous and sociotropic depressed college students. Specifically, we examined whether autonomous depressed students had lower implicit self-esteem than sociotropic depressed students, while exhibiting the same level of explicit self-esteem. Study 1 attemp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autonomous and sociotropic depressed students with respect to implicit and explicit self-esteem using the implicit self-esteem measure, IBPT(Initials and Birthday Number Preference Task) and explicit self-esteem measure, RSES(Rosenberg Self-Esteem Scale). The Personal style Inventory(PSI), IBPT, RSES,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were administered to 391 college students. On the basis of PSI and BDI scores, two groups were selected: the autonomous-depressed students(A-D), and the sociotropic-depressed students(S-D). There was no group difference between the A-D and S-D groups in explicit self-esteem, however, A-D group had lower implicit self-esteem than the S-D group. Study 2 was carried out to confirm the differences between autonomous and sociotropic depressed college students with respect to implicit self-esteem using the implicit self-esteem measure, IAT(Implicit Association Task). The IAT effect was divided into competence-IAT and relation-IAT, and an anagram task was used to explore change in implicit self-esteem after a failure experience. Wih respect to the IAT,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groups; however, the A-D group showed a decrease in their IAT score, implying an instability in implicit self-esteem.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partially explained why previous studies have not found any differences in the level of implicit self-esteem between depressives and non-depressives.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oretical and clinical implications. Also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양극성 우울과 단극성 우울: MMPI-2를 중심으로
구민정(분당서울대학교병원) ; 최승원(대전대학교) ; 지연경(분당서울대학교병원) pp.325-336 https://doi.org/10.15842/kjcp.2011.30.1.01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양극성 우울증과 단극성 우울증의 임상 양상과 성격 특성에 대한 탐색을 위하여 양극성 장애 환자군(n=29)과 주요 우울 장애 환자군(n=31)을 대상으로 실시된 MMPI-2를 분석하였다. 두 집단에서 모두 임상척도의 D, Pt 척도가 가장 높게 상승하여 두 장애에서 우울 증상의 표현형이 중첩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양극성 장애 환자들도 우울 상태에서 단극성 우울 환자와 유사하게 부정적인 인지 양식을 경험하는 것으로 보인다. 일부 소척도에서 보여지는 차이점(RC8, FAM1)들은 단극성 우울증과 구분되는 양극성 장애만의 인지적․유전적 취약성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관하여 논하였다.

Abstrac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MMPI-2(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2) profiles to explore clinical characters and personalities of those with bipolar and unipolar depression. MMPI-2 were completed by bipolar(n=29) and unipolar(n=31) depressive patients. Both groups showed elevated scores on the D(Depression), Pt(Psychasthenia) scales, demonstrating that two disorders shared similar depressive symptoms. iIt also may have suggested that bipolar patients, like unipolar patients, suffer from negative cognitive styles during depressive episode. The subtl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ith respect to scores on subscales RC8(Aberrant Experiences) and, FAM1(Family Discord) may reflect cognitive and biogenetic vulnerability of bipolar depres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한국 대학생의 사회지향성과 자율지향성의 구조 및 심리적 적응과의 관계
조아라(인제대학교) ; 김혜영(인제대학교) ; 오경자(연세대학교) ; Nasreen Khatri(Baycrest, Toronto) pp.337-347 https://doi.org/10.15842/kjcp.2011.30.1.018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Emerging research emphasizes cultural influences on personality and psychopathology. In the present study, it was hypothesized that Sociotropy and Autonomy, the most well-known personality styles which make people vulnerable to depression, reflect cultural values and may have different effects in different cultures. The factor structures of Sociotropy and Autonomy were investigated in relation to psychological adjustment in Korea. Three hundred and five university students completed the Personality Style Inventory (PSI),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SIAS). As the results, both Sociotropy and Autonomy correlated positively with the measures of depression and social anxiety. Factor analysis of the PSI showed that Autonomy, consistent with previous western studies, consists of two subfactors of ‘Being in Control of One’s Plans’ and ‘Defensive Separation’. However, Sociotropy showed different subfactors from previous western studies, and the subfactor ‘Trying Not to Offend Others’ correlated more strongly with the BDI and SIAS than the subfactor ‘Fear of Being Separated from Others’. Unlike previous western findings in which the second subfactor of Sociotropy was named ‘Dependency’ and was related with psychological maladjustment, it was newly interpreted that such maladaptive effect is attenuated in Korea which emphasizes maintaining relationships with others. On the contrary, it was suggested that the implicit social standard that one should behave in the way that meets others’ expectations may function as a psychological pressure.

한국판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Personality Disorder Scale의 확인적 요인분석: 임상표본을 대상으로
임남열(조선대학교) ; 김정호(조선대학교) ; 김학렬(조선대학교) ; 박상학(조선대학교) ; 김상훈(조선대학교) ; 이문인(조선대학교) pp.349-357 https://doi.org/10.15842/kjcp.2011.30.1.01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정신과에 방문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 분석을 적용하여 한국판 IIP-PD의 요인구조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전의 연구에서 적합도가 우수한 것으로 보고된 3개의 요인구조를 대안 모형으로 설정하여 293명의 환자군을 대상으로 한국판 IIP-PD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서로 상관이 있는 5개의 일차 요인으로 구성된 모형이 수집된 자료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결과는 5개의 일차 요인과 하나의 이차 요인으로 구성된 위계적 모형이 가장 적합하다는 외국의 선행 연구 결과와 달랐다. 한국의 경우 미국과는 달리 성격장애를 대표하는 잠재적 요인을 확인할 수 없었지만 여전히 ‘stage 1’에서 성격장애를 선별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되며, 추후 문항조정 등을 통해서 성격장애를 측정하는데 효용성을 더욱 발전시킬 수 있겠다.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factor structure of the Korean Version of Interpersonal Problems Personality Disorder Scales(K-IIP-PD) by applying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 psychiatric patients. To evaluate the goodness of fit of three alternative models taken from factor structures which had been previously reporte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on the K-IIP-PD with respect to a group of 239 patien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model with five first-order intercorrelated factor was the best fit for the data. This result differed from previous US-based studies which had reported that a hierarchical model with 1 second-order factor and 5 first-order factors was the best fit. Unlike the US-based studies, potential factors representing character disorders were not found here: however it seems that the model will be useful in sorting character disorders in ‘Stage 1’, and its utility will be further developed in measuring the level of character disorders by modifying items in the futur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