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생활스트레스-우울증과 관련된 개인적 그리고 대리적 대처자원의 속성

The Nature of Personal and Vicarious Coping Resources in Attenuating the Impact of Life Stress on Depression

초록

본 연구는, 제어이론(control theory)에 터반하여, 개인적, 사회적, 그리로 종교적 대처자원이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증간에 중요한 매개변인 역할을 하는 가를 검증하였다. 314명(횡단적 조사)과 104명(종단적 조사)의 참여자들을 통해 생활스트레스, 대처자원, 그리고 우울증에 대한 자료가 수집되었다. 자료분석은 주로 증다회귀 방법이 사용되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개인적 대처 자원과 사회적 대처자원은 생활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유의미하게 완충효과를 나타내었다. (2) 생활스트레스를 통제 가능한 스트레스와 통제하기 어려운 스트레스로 구분한 결과, 개인적 대처 자원은 통제가능한 스트레스에, 그리고 사회적 대처자원은 통제하기 어려운 스트레스에 효과적으로 완충효과를 나타내었다. (3) 개인적 대처를 2개의 구별 가능한 통제시각 개념(능력통제 대 유관통제 )으로 구분한 결과, 우울증에 대한 완충효과는 오직 능력통제에서만 나타났다. (4) 사회적 대처 자원에 관한 한 가설인 특수성 가설-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는 상응하는 생활스트레스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난다는 가설-은 본 연구에서 지지 되지 않았다. 끝으로 (5) 종교적 대처자원은 신앙인(신ㆍ구교, 유대교)에서만 유의한 매개 변인이 될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위의 결과들은 대처 자원에 관한 포괄적인 모델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으며, 특히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이 되고있는 제어 이론의 효용성을 나타내고 있다.

keywords

Abstract

The present study. based upon a control theoretical (cybernetic) approach, examined the role of personal, social, and religious coping resources as mediators of the relation between life stress and depression. 314 (cross-sectional) and 104 (longitudinal) participants reported on life stress, coping resources, and depress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indicate, in both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analyses that (1) personal coping resources and social coping resources buffered the effects of life stress on depression: (2) personal coping resources demonstrated their effectiveness as mediators for controllable life stress, while social coping resources for uncontrollable life stress: (3) when personal coping was subdivided into two different kinds of control perception (capacity vs. contingency), depression was only moderated by capacity control (defined as the perception that a person has the ability to control desired outcomes): (4) the "specificity hypothesis" of social support (i.e., social coping resources), that a particular kind of social support is effective only in relation to a corresponding kind of life stress, was not confirmed: and (5) religious coping resources (i.e., the perception of God as benevolent) were shown to be mediators only for believers. The discussion of these results highlights the need for a comprehensive model of coping resources, and illustrates the value of a control theoretical framework.

keyword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