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불안변인들의 실험적인 확고한 규준을 찾기 위하여 그 객관적인 규준들로 Imada와 Negeishi(1982)가 제사한 9개의 사례들 중, 아직 실험된 적이 없는 가설적인 (사례 8), 즉 혐오자극을 제시하는 장소에 있어서 가변적일 때가 고정적일 때마다 더 불확실하다는 명제를 실험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미 연구되었으나 아직도 문제점으로 남아 있는 시간변인의 불확실성 문제와 (사례 8)의 장소 변인의 불확실성 문제를 상호 관련시켜 연구하고자 시도하였다. 피험동물로 흰쥐 수컷 105마리를, 4개의 실험 집단(시간, 장소×예측, 비예측의 이원변량 분석 집단)과 1개의 통제집단(무충격 집단)으로 무선적으로 나누어, 실험계획에 따라 19시간 동안 4지에 전기충격(분단 2초간의 4.0mA)을 가했다. 이때에는 조건자극 없이 무조건 자극(전기충격)만 사용하였다. 시행과정 중의 불안상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5분, 30분, 60분, 120분, 19시간마다 심장박동율을 측정했으며, 시형 끝의 불안 결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체중감소와 위궤양 면적을 검사하였다. 그 결과 체중손실과 궤양면적과 심장박동율 간의 실험결과들은 거의 일치되었다. 시간변인에 있어서의 비예측(불확실성)집단과 예측(확실성)집단 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검증되었으나, 장소변인에 있어서는 비예측집단과 예측집단 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검증되지 않았다. 그러나 시간변인과 장소변인이 모두 비예측적인 집단은 4개의 실험집단들 중 불안증상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가장 높았고, 모두 예측적인 집단은 가장 낮았다. 4개의 실험집단(전기충격집단)과 1개의 통제집단(무충격집단) 간에는 부분적으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It has been known that aversive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e anxiety reaction,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neurosis and schizoprenia. The tendency for an unpredictable stressor to produce more severe anxiety than a predictable one would seem to have considerable generality. This hypothesis, presented by Imada and Nageishi(1982), states that the animal is less stressed when shock is not only time-predictable but also locus-predictable. Answering this hypothetical question is obviously important for understanding how aversive anticipation produces anxiety. The present experiment utilized the time, locus, predictability and unpredictability design to study effects of aversive anticipation. : stress responses of animals that could predict when and where electric shocks would occur (because each shock was presented fixedly) were compared with stress responses of animals that could not prediet when and where the same shock would occur (because each shock was presented randomly). This study measured changes in body weight, stomach ulceration and heart rate in rats of two by two design groups(time, locus, predictability, unpredictability groups) and one control group (non-shock group). All these measures-weight loss, stomach ulceration and heart rate showed the same effects. Rats that received electric shock unpredictably showed greater somatic reactions than animals which received the same shock predictably. The time-unpredictable group had higher levels than time-predictable group (P<.05), but the locus-unpredictable group had not higher levels than the locus-predictable group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locus-predictable and the locus-unpredictable was hardly significant. Experimental effect in the present study was not as great as that of Weiss(1970). As would be expected, the shock conditions raised heart rate levels. Greater rises of heart rates were seen in the unpredictable groups than in the predictable groups. After of 5 mins, 30 mins and 2 hrs, the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P<.05), but the groups did not show significant at the end of 19 hrs. The hypothesis, presented by Imada and Nageishi(1982), about the time-predictability preference was verified(P<.05), whereas that of locus-predictability preference was not. The suggestion of these results, which await more detailed analysis, is that time condition is a more important factor in producing anxiety than the locus condition.
성격 요인이 관상동맥성 심장병(CHD)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심리학과 행동의학 분야에서 매우 큰 관심을 끌어온 주제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CHD와 관련된 성격 요인을 밝혀 보기 위해, 5개의 종합병원에 입원해 있거나 외래 치료를 받는 43명의 CHD환자 집단과 42명의 정형외과 환자집단(통제집단)을 대상으로, A유형 성격 질문지들(Jenkins 활동 척도, Eysenck A유형 검사), 강인성 척도, 적개심 척도, Framingham 연구에 사용된 질문지들(정서적 불안정성, 긴장, 불안, 분노 증후 척도)을 실시하여 두 집단의 자료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심장병에 취약한 성격의 핵심요인은 '신경증적 경향성' 요인과 A유형 성격 중의 '시간 긴박감/분노표출'요인이며, 이 중에서도 '신경증적 경향성'요인이 더 중요한 요인임이 밝혀졌다. 그리고 A유형 성격 중의 '업무 몰입/활동성'의 요인은 심장병과 관련이 없는 요인임이 밝혀졌다. 한편, A, B 유형을 다시 강인성 척도의 높고 낮음에 따라 네 집단으로 분류했을 때, 낮은 강인성/A유형 집단 만이 높은 CHD의 비율을 나타냄으로써, 낮은 강인성/A유형이 CHD와 관련된 '참된 A유형'임이 밝혀졌다.
The influence of personality factors on coronary heart disease(CHD) is one of the most fascinating issues in the field of psychology and behavioral medicine. In this study, to find the personality factors which may be related to CHD, 43 coronary artery patients were compared with 42 orthopaedic patients(control group) in various psychological measures-Jenkins Activity Survey, Eysenck Type A Scale, Hardiness Scale, Cook-Medley Hostility Scale, and the scales which were used in the Framingham Study(emotional lability, tension, anxiety symptoms, and anger symptoms scale). The data of the two groups were analyzed by means of the statistical methods such as t-test, correlation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he core elements of the coronary-prone personality are 'neuroticism' factor and 'time-urgency / anger-out' factor which is one of subfactors of the Type A behavior pattern(TABP), and that the former is the more important of the two. And it is indicated that 'job involvement / activity' factor, one of subcomponents of the TABP, is not related to CHD. When all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e four groups on the basis of their JAS scores(divided at the median) and their Hardiness Scores(divided at the median, too), high ratio of CHD patients was found only in the low hardiness / Type A group.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all the Type As are not coronary-prone, but that only the low hardiness / Type As are the 'true Type As' who are coronary-prone.
112명의 측두하악장애 환자들에게 MMPI를 시행하였다. 각 척도별 T점수를 군집분석한 결과 4개의 하위집단으로 분류되었는데, 첫째 하위 집단 (N=51)은 정상프로파일이었고 둘째하위 집단(N=37)은 신체화장애-우울증을 시사하는 프로파일(1-2-3형)을 보였다. 세째 하위 집단(N=18)은 불안증-성격장애를 시사하는 프로파일형(8-6-3-1형)이었고 네째 하위 집단(N=6)은 전환장애-V형 프로파일이었다. 각 하위집단간에는 Mf척도만 제외하고 모든 척도간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중요한 것은 각 프로파일형에 대하여 정신과적 진단명을 붙이는 일이 아니라 어떤 형의 환자에게 어떤 방법의 심리요법이 증상완화에 도움이 되는 가 하는 것을 발견하는 일이다.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was administered to 112 temporo-mandibular disorder patients. Four subgroups were formed as a result of multivariate cluster analysis of T scroes of each MMPI scales. The first subgroup(N=51) gave a normal profile while the second subgroup (N=37) showed a profile suggesting somatization disorder-depression (1-2-3 pattern). The third subgroup (N=18) was found to suggest anxiety-personality disorder (8-6-3-1 pattern) and the fouth (N=6) conversion-V(3-1-2-4 patter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confirmed between the four subgroups on all MMPI scales except Mf. What is important is not to try to find a psychiatric diagnosis for each profile type but find out what kind of psychotherapy is most helpful for each type of patients to alleviate their symptoms and pain.
본 연구는 불안장애를 일으키고 계속 유지시키는 기제의 하나로서 도식이론들이 가정하고 있는 범불안 환자들의 역기능적인 인지과정, 특히 편파적 정보처리 양상을 실험적으로 정확히 밝혀보고자 하였다. 그렇게 함으로써 기존 도식이론들을 재평가하고 범불안에 미치는 인지과정의 역할과 아울러 치료에 있어서 인지적 접근이 갖는 유용성을 모색하려는 것이었다. 이러한 목적으로 범불안이 높거나 및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시각적 주의분배 과제와 우연회상, 재인과제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주요관심은 단서가 갖는 정서적 특성 즉, 불안과의 관련성과 자기-타인 관련성에 따른 선택적 정보처리 양상이었다. 그 결과 주의단계에서 불안이 높은 집단은 비불안단어보다 불안단어에 뒤이어 나타나는 중성적 탐사자극에 더 빠른 탐지반응을 보였다. 반면 불안이 낮은 집단은 단어내용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기억단계에서는 두 집단 모두 자기관련적인 비불안 단어를 더 밀이 기억해 냄으로써 이러한 집단차가 사라졌다. 이 결과는 볼안한 사람들이 정보처리의 초기에 불안과 관련된 위협적 단서에 선택적으로 매우 민감한 주의를 보이지만 나중에는 이를 인지적으로 억제하려는 회피전략을 세움으로써 불안상태를 더욱 악화시킨다는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따라서 정보처리의 모든 단계에 걸쳐 일관된 편파를 예언하고 있는 기존 도식이론들의 수정과 범불안의 치료에 있어서 인지적 접근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reevaluate previous schema models and examine the role of malfunctioning cognitive processing in generalized anxiety and the use of cognitive approach in treatment. Sixty four college students with high or low generalized anxiety participated in visual attention-distribution task, free recall and recognition task. Variables of interest were selective information processing patterns depending on the threatening or nonthreatening characteristics of stimulus words and self-other reference condit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In attention stage, high anxiety group responded to the neutral probes more rapidly following threatening words compared to nonthreatening words. Low anxiety group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reaction time to threatening and nonthreatening words. But in memory stage, there was no difference with both groups showing recall bias in favor of self-referenced and nonthreatening words. The two groups did not differ in the effect of reference conditions in both attention and memory.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xious subjects respond sensitively to threat cues in the initial stage of information processing but subsequently inhibit further processing. Such cognitive avoidance strategy is likely to exacerbate anxiety symptoms. In view of the present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previous schema models of anxiety that assume similar biases operate at all stages of processing should be modified and more attention need to be paid to cognitive approaches for generalized anxiety.
본 연구는 강박과 우울의 밀접한 관련성에 기초해 강박과 우울증상 모두를 보이는 집단과 두 증상 중 하나만 보이는 집단, 그리고 두 증상 모두 보이지 않는 집단을 나누어 문제해결과제 수행시의 반응양식과 과제수행후외 주관적 평가를 측정하고 비교해보기 위해 행해졌다. 주요가정은, 비우울-강박집간이 자신의 증상을 자아동질적인 것으로 보고 상대적인 자신감을 갖는데 만해 우울-강박집단은 자신의 증상을 자아이질적인 것으로 보며 자신의 증상에 저항하고 그로인해 겪는 일상 생활에서의 장애의 정도도 높으므로 자아개념도 부정적이고 자신감도 부족할 것이라는 것이었다. 따라서 자기지향적 주의가 유도되는 평가자참석조건에서 우울-강박집단은 자신감의 부족과 우유부단성이 두드러져 과제수행에서의 신중성이 증가하며 자기평가시의 자신감도 떨어질 것이라고 예언되었고 비우울-강박집단은 상대적인 자신감을 보여 과제수행시 우유부단성이 감소하고 수행 후 평가도 과대평가할 것으로 예언되었다. 주요 결과는, 비우울-강박집단의 경우 사적과제수행조건보다 평가자참석조건에서 상대적 자신감을 보여 우유부단성이 감소하고 비합리적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자신있는 과제수행을 했으며, 과제수행 후외 주관적 평가에서도 자신의 수행을 과대평가 했다. 그리고 사적과제수행조건에서는 다른 집단에 비해 가장 신중하고 우유부단한 수행을 보였다. 우울-강박집단의 경우 사적과제수행조건보다 평가자참석조건에서 더 신중한 과제수행양식을 보이는 경향성을 보였으며, 사적과제수행 후에 자신의 수행에 대해 과대평가를 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자기평가유지모형과 통제모형 및 동기모형 등에 의해 각각 논의되었다. 이 외에 본 연구의 의의와 치료적 함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and compare the response style on problem-solving task and subjective self-evaluation after the task performance in the depressive-obsessive group, nondepressive-obsessive group, depressive-nonobsessive group, and nondepressive-nonobsessive group. These group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rior studi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obsession. It was hypothesized that subjects in the nondepressive-obsessive group would regard their symptoms as ego-syntonic and have a relative confidence. On the contrary, subjects in the depressive-obsessive group would regard their symptoms as ego-dystonic, resist their symptoms, and have more disturbances in daily life. So they would have a negative self-concept and lack of confidence. Thus it was predicted that in the evaluator presence condition in which self-directed attention was induced, the depressive-obsessive group would show more lack of confidence and indecisiveness in task performance and subjective evaluation. In the nondepressive-obsessive group, it would show more confidence, less indecisveness, and overestimate their performa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ubjects in the nondepressive-obsessive group showed more confidence and less indecisiveness in the evaluator presence condition than in the private task performance condition. And they overestimated their performance after they carried out their task in the evaluator presence condition. Subjects in the depressive-obsessive group showed the trend that indecisive task performance style appeared in the evaltuator presence condition more than in the private task performance condition. They overestimated their performance after carrying out their task in the private task performance condition.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self-evaluation maintenance model, control theory, and motivation theory. In addition, the implications, therapeutic suggestion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of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우울한 아동의 귀인유형을 알아 보기위해 동년배 우울검사와 아동 우울검사를 사용하여, 우울 아동집단과 비우울 아동집단을 표집하고, 각 집단의 반을 성공 흑은 실패경험의 정보귀환 조건에 무선적으로 할당하였다. KEDT-WTSC의 차례맞추기 소검사를 완성한 후, 각 피험자들은 성공 및 실패경험에 대하여 내외성, 안정성 및 일반성 차원에 대한 귀인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우울집단의 아동들은 성공에 대해 외적(과제 난이도, 운)으로, 실패에 대해서는 내적(능력, 노력)으로 귀인하였으며, 비우울집단의 아동들은 성공을 내적(능력, 노력)으로 실패를 외적(과제 난이도, 운)으로 귀인함으로써, 자기-봉사적 편파를 보였다. 실패경험 후에, 우울집단의 아동들은 안정적 요인(능력, 과제 난이도)으로 귀인평가를 하는 반면, 비우울집단의 아동들은 불안정적 요인(노력, 운)으로 귀인평가를 하였다. 일반성 차원에서는 두집단의 귀인유형간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우울한 아동이 우울한 행동특징을 보고할 뿐만 아니라, 귀인에서도 우울한 성인을 대상으로한 연구에서 보고된 바와 유사한 인지편파를 갖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수정 학습된 무기력 이론이 아동기 우울증을 이해하는데 유용하며, 우울한 아동의 인지적 특징에 관한 연구는 아동기 우울증에 대한 효율적인 치료 방안을 고안해야 할 뿐만 아니라, 우울 상태에서의 인지적 특징들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해준다.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examine attributional style of depressed children. 108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the 5th and 6the grades were selected as subjects. On the basis of their PNID (Peer Nomnation Inventory of Depression) and CDI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scores, 56 as depressed group and 56 as nondepressed group. Half of each of the two groups (depressed and nondepressed)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success or failure feedback condition. Following completion of a task modified from the picture arrangement subtest of KEDI-WISC, subjects filled out attribution style questionnaire designed to evaluate internal-external, stable-unstable and global-specific dimension of their attribution of the outcom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Depressed children tended to make internal (ability, effort) attributions for a failure outcome and external (task difficulty, luck) attributions for a success outcome. In contrast, nondepressed children made internal (ability, effort) attributions for a success outcome and external (task difficulty, luck) attributions for a failure outcome, indicating a self-serving bias. Following failure the depressed children tended to make stable attribution, while nondepressed children tended to make unstable attribution. There was no group difference following a succes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on the gobality dimen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depressed children show not only depressive behaviors but also a cognitive bias similar to what has been reported in studies of depredded adults, indicating relevance of learned helplessness theory in understanding childhood depression. Futher research in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depressed children will be necessary to understand their significance in symptom formation as well as to devise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for childhood depression.
본 연구는, 제어이론(control theory)에 터반하여, 개인적, 사회적, 그리로 종교적 대처자원이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증간에 중요한 매개변인 역할을 하는 가를 검증하였다. 314명(횡단적 조사)과 104명(종단적 조사)의 참여자들을 통해 생활스트레스, 대처자원, 그리고 우울증에 대한 자료가 수집되었다. 자료분석은 주로 증다회귀 방법이 사용되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개인적 대처 자원과 사회적 대처자원은 생활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유의미하게 완충효과를 나타내었다. (2) 생활스트레스를 통제 가능한 스트레스와 통제하기 어려운 스트레스로 구분한 결과, 개인적 대처 자원은 통제가능한 스트레스에, 그리고 사회적 대처자원은 통제하기 어려운 스트레스에 효과적으로 완충효과를 나타내었다. (3) 개인적 대처를 2개의 구별 가능한 통제시각 개념(능력통제 대 유관통제 )으로 구분한 결과, 우울증에 대한 완충효과는 오직 능력통제에서만 나타났다. (4) 사회적 대처 자원에 관한 한 가설인 특수성 가설-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는 상응하는 생활스트레스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난다는 가설-은 본 연구에서 지지 되지 않았다. 끝으로 (5) 종교적 대처자원은 신앙인(신ㆍ구교, 유대교)에서만 유의한 매개 변인이 될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위의 결과들은 대처 자원에 관한 포괄적인 모델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으며, 특히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이 되고있는 제어 이론의 효용성을 나타내고 있다.
The present study. based upon a control theoretical (cybernetic) approach, examined the role of personal, social, and religious coping resources as mediators of the relation between life stress and depression. 314 (cross-sectional) and 104 (longitudinal) participants reported on life stress, coping resources, and depress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indicate, in both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analyses that (1) personal coping resources and social coping resources buffered the effects of life stress on depression: (2) personal coping resources demonstrated their effectiveness as mediators for controllable life stress, while social coping resources for uncontrollable life stress: (3) when personal coping was subdivided into two different kinds of control perception (capacity vs. contingency), depression was only moderated by capacity control (defined as the perception that a person has the ability to control desired outcomes): (4) the "specificity hypothesis" of social support (i.e., social coping resources), that a particular kind of social support is effective only in relation to a corresponding kind of life stress, was not confirmed: and (5) religious coping resources (i.e., the perception of God as benevolent) were shown to be mediators only for believers. The discussion of these results highlights the need for a comprehensive model of coping resources, and illustrates the value of a control theoretical framework.
형태 사고장해 정신분열증 환자들의 구성개념화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순위형 Rep Grid 들을 요소(인물 사진과 실제 인물)와 구성개념(제공 구성개념과 유도 구성개념)의 네가지 조합으로 만들고, Rep Grid 들에 따른 구성개념 관계 강도, 구성개념 관계 일관성, 요소 일관성 및 구성개념 관계 강도 변산도를 구하여 구성개념-구성개념 이완 구성개념화와 구성개념-요소 이완 구성개념화로 분석하고, 또한 협응 Grid의 통합 복잡성과 논리적 비일관성으로 분석하였다. Rep Grid 실시는 분할 소구획 요인 설계를 하였는데, 피험자간 요인 설계(각 피험자 집단)와 피험자내 요인 설계(요소들과 구성개념들)를 하였다. 결과는 형태 사고장애 정신분열증 환자들은 비형태 사고장애 정신분열증 집단과 정상집단 보다 이완된 구성 개념 체계를 가지며, 구성개념 관계가 덜 안정적이며, 요소-구성개념 관계가 비일관적이고, 인지 통합의 면에서 단순하며, 논리적으로 비일관적이었다. 분석 방법에서는 인지 분화와 인지 통합으로 함께 보는 것이 더 나으며, 구성개념-요소 이완 구성개념화 분석이 더 나았다. 특히 구성개념-요소 분석에서의 비일관성이 이완 구성개념화를 더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construing of formal thought-disordered schizophrenics' personal construct system. Subjects were formal thought-disordered schizophrenic group, non-formal thought-disordered schizophrenic group, and normal group. Split-plot factorial design was used to evaluate the construing of formal thought-disordered schizophrenic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ubjects' ranking form Rep Grids and analyzed in terms of construct intensity, construct relationship consistency, element consistency, and construct intensity variability. Integrative complexity and logical inconsistency were obtained from Coordinate Grid analysis. It was found that formal thought-disordered schizophrenics have more loossened construct system, more inconsistent element-construct relations, and more inconsistent logic than the other groups. And also, their construct relationship was less stable and their integrative complexity was simpler than the other groups. It was suggested that integrative complexity and element consistency are better indices than the other indices to assess loose construing.
이 연구는 Green 과 Walker(1984)의 숫자범위 과제를 사용한 정신분열증의 주의장애 연구를 반복, 확장연구한 것이다. 정신분열증 환자를 양성, 혼합, 음성집단 셋으로 나누었다. 피험자에게 분산조건과 비분산조건으로 구성된 과제를 실시하려고 종속측정치는 전체정답율, 간섭, 민감도 셋으로 산출하였다. 결과는 Green 과 Walker의 연구와 상반되었다. 정상비교 집단과 비교해 음성과 혼합집단이 간섭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특히 음성 집단이 두 조건 모두 그러하였다. 분산조건과 비분산조건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집단은 양성과 음성집단이었다. 그러나 불안수준을 공변인으로 삼고 공변량분석한 결과, 집단에는 의미있는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조건간 차이는 모두 사라져 버렸다.
This study replicated and extended Green & Walker(1984)'s study which had investigated attentional performances of schizophrenia by using digit span tasks. Schizophrenic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subgroups : Positive, mixed, and negative group. The results are contrary to Green & Walker's study. Negative and mixed group showed significant intrusions when compared to normal controls. The difference between non distracter and distracter conditions was significant in positive and mixed group. The results of our analysis of Covariance with anxiety as a covariate indicated that the group effect was not influenced,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nditions disappeared.
73명의 통원치료및 입원하고 있는 정신분열증환자와 가족에 대하여 면접과 SCT, Paper Sculpture등의 심리검사를 통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입원의 형태에 따라서 환자를 주로 돌보는 가족원이 상당히 달란다. 즉 외래환자의 경우는 전원 부모가 돌보고 있었으나 입원환자의 경우에는 형제의 비율이 높았다. 또한 입원환자의 경우에는 가족의 조건이 이루워지지 못하여 입원을 계속하고 있는 장기입원환자가 많았다. 환자의 정서적 안정과 가족의 정서적 안정과는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입원전 환자가족이 대처에 곤란을 느낀 행동에 관하여 요인분석을 한 결과 무위, 자폐, 식사거부와 같은 음성증상요인과 흥분, 불순행동, 폭력행위와 같은 양성증상요인이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음성증상요인은 장기입원환자가족이 퇴원을 주저하는 큰 요인이라는 것도 알 수 있었다.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interviews and psychological tests including SCT and paper Sculpture applied to 73 schizophrenic in-and outpatients and their families. It was found out that patients were looked after by different family member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y were in hospital. In case of outpatients all of them were looked after by their parents, while inpatients were looked after more likely by their siblings than by their patents. There were many protracted inpatients who were continuing to stay in hospital due to family reasons. There exist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atients' emotional stability and their families'. The families of outpatients were emotionally more stable than those of inpatients. Patients' behaviors which their families found it very difficult to cope with before they were hospitalized were analyzed into two patterns: social withdrawal symptoms such as inactivity and refusal of meal and social embarrassing symptoms such as act of violence. It was observed that such social withdrawal symptoms were the main reasons why the families of inpatients hesitated to get the patients out of hospital.
ADHD평가도구로서의 한국판 Conners단축형 평가척도(ACRS)의 신뢰도및 타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민학교 1학년-6학년 사이의 아동 1239명을 대상으로 10문항으로 구성된 부모용 ACRS를 실시하였고, 그중 684명에게는 같은 문항으로 구성된 교사용 ACRS를 동시에 실시하였다. 부모용과 교사용 ACRS는 각각 높은 수준의 신뢰도를 보였으나 부모용과 교사용 ACRS점수간의 상관관계는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 상황에 따라 과잉활동적 행동이 다르게 나타남을 시사하였다. 부모용 ACRS에서는 아버지의 교육수준이 낮은 경우, 더 높은 과잉활동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교사용 ACRS에서는 아버지의 교육수준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부모와 교사의 평가에서 공통적으로 남아는 여아에 비하며 더 높은 과잉활동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평가에서는 국민학교 고학년에서는 과잉활동성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모의 평가에서는 학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교사용 ACRS자료의 요인분석결과, 문제행동과 정서불안정의 두 요인 구조가 얻어졌으나, 부모용 ACRS자료의 분석결과는 위의 두 요인외에 주의집중의 문제가 독립적인 요인이 될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과잉활동의 표집기준을 평균에서 표준편차의 2곱을 가산한 수치로 할때 교사용 ACRS에서는 17, 부모용 ACRS에서는 16에 해당되었다.
The primary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Abbreviated Corners Rating Scale(ACRS). 1239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grade 1 through grade 6 were rated by their parents using the 10 item ACRS. Of these children, 684 children were also rated with the same 10 item ACRS by their teachers. Both parent's and teacher's form of the ACRS showed high reliability but correlation between the parent's and teacher's ACRS total score was relatively low suggesting cross-situational variability of hyperactive behavior pattern. Children of fathers with relatively fewer years of education were rated as more hyperactive by their parents than those of fathers with higher level of education, but teacher rating did not reflec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level of father's education. Boys were rated as more hyperactive than girls by both parents and teachers. Teacher's rating indicated hyperactive behavior pattern decline with age, while such age-associated change was not apparent in parent rating data. Factor analysis of teacher rating data consistently revealed two factors(conduct disorder and emotional lability), while the same analysis of parental rating data suggested a possible third factor(inattention). Two standard deviations above the mean(M+2SD) in total ACRS score which was suggested as a criterion for defining hyperactive sample corresponds to 16 for parental. rating and 17 for teacher's rating.
본 연구는 성기능 장애 여부를 진단하는데 유용하다고 여겨지는 Derogatis 성기능 검사를 우리말로 번역하여 이를 표준화하기 위한 예비 연구로써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351명의 성인들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DSFI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신뢰성 검증의 하나로 검사의 내적 합치도를 산출하였는데, 검사의 내적합치도는 .49에서 .97 사이로 지식척도(.49)를 제외하고는 비교적 양호한 편이었다. 구인 타당도의 검증을 위해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성과의 적절한 성관계, 심리적 어려움, 자기색정적 성욕, 성역할, 성적인 조숙함, 성에 대한 억압 등, 6개의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이들 요인이 설명하는 변량은 62%였다. 요인들의 구성을 검토한 결과, DSFI 한국어 번역판의 구인 타당도는 비교적 양호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검사의 타당성을 입증하고자, 조사 대상자들을 성기능 장애 여부에 따라 정상군, 장애 호소군으로 나누고 남자의 경우에는 환자군을 첨가하여, 이에 따른 검사척도 점수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t 검증과 변량 분석을 실시 하였다. 그 결과, DSFI는 성기능 장애 여부를 비교적 잘 변별해 주어 타당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아울러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될 연구에서 다루어야 함 쟁점들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preliminary study attempted to standardize the Korean version of DSFI that seems to be useful to diagnosis of sexual dysfunct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351 adults were selected and based on their responses, verification of reliability and validity was carried out.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as used to calculate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inventory. The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s of each of the subscales ranged from .49 to .97. Overall,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was good for the Korean version of the DSFI. To accomplish verification of construct validity of the DSFI, principal components factor analysis on the pooled data from 351 subjects was conducted, with repetitions followed by varimax rotation. Six interpretable factors were derived from the analysis which accounted for 62 percent of the variance in the matrix. These are "appropriate heterosexual relationship", "psychological distress", "autoeroticism", "sex role", "sexual precociousness" and "sexual repression". To accomplish verification of predictive validity of the DSFI, statistical evaluation of the differences in SFI, GSSI, and subtest scores were conducted for males and females separately. In males tire comparision were among the three groups which included nonpatient normals, nonpatient sexual difficulty complainants, sexual dysfunctions. In females the comparisions were between nonpatient normals and nonpatient sexual difficulty complaints. In view of the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 males were observed. Females, on the other hand, do not reveal as many significant distinctions between the two groups. Finally, the limits of this study and several issues for following ones were discussed.
현재 미국에 거주하는 재미동포 2,3세들은 한국적인 전통(가정) 속에서 자라나 미국사회에 살고 있다. 이들은 그들의 부모의 환경과는 상이한 문화 속에서 그들 나름의 새로운 성격형성과 정체의식을 형성해가고 있다. 이들의 성격형성과 정체의식의 과정을 본 논문에서는 크게 3가지로 분류하고 그들의 의식구조를 고찰한 바, 부모의 가치관에 동조하는 전통주의자형과 한국전통과 미국문화사이에서 정체의식의 위기를 느끼며 이것도 저것도 아닌 주변인으로서 생활하고 있는 주변인형 그리고 전통적인 의식구조와 환경을 백인문화와의 갈등 속에서 상호 수용, 융합하면서 새로운 한국계 또는 아시아계 미국인으로서의 정체의식을 확립하려는 유형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들이 한국계(또는 아시아계) 미국인으로서 자인의 정체의식을 확립해 가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의식구조는 5단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것은 순응 및 동조단계, 불일치 및 회의단계, 저항 및 돌입단계, 반성 및 재평가단계, 그리고 종합 및 융합단계로 제시되었다.
Korean-American adolescents of today are different from adolescents of past generations and from adolescents in their motherland. This is not due to mutuation in their hereditary endowment but to cultural factors which did not exist in past generations in Korea and America. From the moment the Korean-American adolescent steps on the doorstep of first grade until he graduates from high school, college, or graduate school, he is exposed to taching which lauds the advantages of a democracy and stresses the evils of autocracy. He is not only permitted to think independently and to express these thoughts freely, but is encourged to do so. To parents of adolescents who were brought up to "respect their elders," this comes as a shock and after causes a real trauma. From the above outline it should be apparent that the patterns of development on their personalities and ego-identities can be grouped into three categories traditionalist(parent conformity), anti-traditional and American culture-oriented adolescents who are betwixt and between reference groups, much like a "marginal man," and Korean(or Asian) American who has a feeling of conficence that he can achieve success within his capacities but he must retain a sense of individuality and ego-identity.
成熟人格의 特質은 人間다운 점 때문에 心理學者들에게 主要課題가 되어왔다. 西歐 人格論의 主要 內容인 自立性, 完全性, 不讓渡性이 이미 아리스토텔레스의 著書 〈De Anima〉에 나온다. 〈De Anima〉는 西歐의 가장 오래된 體系的 心理學書라 할 수 있는데, 內容은 아래와 같다. 人間의 魂은 生命體의 原理이므로 그 硏究는 가장 價値있는 일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單一하고 普遍的인 方法論의 否足으로 그 作業은 아주 힘들다. 魂은 自立性, 完全性, 不讓渡性의 傾向을 띄운다. 感情과 思考 같은 魂의 作用들은 肉體를 통해 入出力 되며, 肉體없이는 存在할 수 없다. 心理學者의 硏究 方法은 生理心理學的 基礎를 必要로 한다.
It appears that for western psychologists the traits of mature personality is very important because of its noble dignity. The problem which Aristotle proposes to examine in the De Anima, no boubt is: What is the soul? For him, the first thing is to know what the essense of the soul is. Aristotle is well aware of the fact that the knowledge of the soul is of the greatest value because of its dignity, and that it is alway difficulty to look for the essence of something because for that there is no common method. The human soul is in the some sense the principle of animal life, which is acting through the body. But for him, there is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oul itself and the soul in its function. Major determinants of human soul seem to be a set of inseity, integrality and imcommunic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