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검색어: 구체성, 검색결과: 2
이선애(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박사) 2024, Vol.41, No.3, pp.461-485 https://doi.org/10.3743/KOSIM.2024.41.3.46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전국 4년제 국공립 및 사립 대학교에 근무하는 대학도서관 사서들의 이직의도를 직장이직의도와 직업이직의도로 구분하고, 역할스트레스, 이용자 불량행동,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2023년 9월 13일부터 9월 20일까지 실시된 설문조사를 통해 447부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공통 요인으로 역할모호와 강한 불량행동(물리적)이 직장이직의도와 직업이직의도 모두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연령은 부(-)의 영향을 미쳤다. 사서들이 자신에게 주어진 책임과 권한이 불명확하고, 신체적․물리적 위협을 경험할 때, 직장과 직업을 떠나려는 의도가 강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별적인 요인으로는 역할과다와 근무지의 수도권 소재 여부가 영향을 미쳤다. 역할과다는 직업이직의도에만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수도권 소재 여부는 직장이직의도에만 부(-)의 영향을 미쳤다. 이는 과도한 업무가 직업 자체에 대한 회의감을 증가시켜 직업이직을 고려하게 만들고, 수도권 이외 지역에 근무하는 사서들은 직장이직의도가 높게 나타났음을 시사한다. 내재적 만족과 외재적 만족은 직장이직의도와 직업이직의도 모두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도서관 사서들의 이직 의도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이직 유형별로 구체적이고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impact of role stress, user misconduct, and job satisfaction on turnover intention by categorizing turnover intention into workplace turnover intention and occupational turnover intention among academic librarians working at national, public, and private universities across South Korea.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conducted from September 13 to September 20, 2023, yielding 447 responses, which were subsequently analyz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role ambiguity and severe user misconduct (physical threats) positively influenced both workplace turnover intention and occupational turnover intention, while age negatively influenced both. The study found that librarians who experience unclear responsibilities and physical threats are more likely to have a strong intention to leave both their workplace and occupation. As differential factors, role overload and the location of the workplace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Role overload positively influenced only occupational turnover intention, while the metropolitan location negatively influenced only workplace turnover inten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xcessive workload increases doubt about the occupation itself, leading to consideration of occupational turnover and that librarians working outside the metropolitan area exhibit higher workplace turnover intention.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job satisfaction negatively influenced workplace and occupational turnover inten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ifferentiated strategies tailored to specific types of turnover intention are warranted to effectively manage turnover intention among academic librarian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사서들이 업무를 수행하면서 느꼈던 개인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그들의 직업적 경험과 그 이면에 숨겨진 주관적인 경험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년제 사립대학교 도서관 사서들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도서관 사서들의 직업에 대한 경험은 ‘사서 직업에 대한 양면적 이미지’, ‘기대 인식과 현실과의 괴리’, ‘대학 조직 내에서 차별적 인사’, ‘직업적 경험으로부터 성장과 한계’, ‘급격한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과 불안’으로 요약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대학도서관 사서들은 매 순간 복잡한 맥락에서 딜레마에 부딪히고 이를 해결해 가는 과정을 연속적으로 경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도서관 사서들의 직업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 인력 운영 및 근무 환경 개선을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elve into the personal experiences of academic librarians as they perform their duties, seeking a holistic understanding of their professional experiences and the subjective experiences underlying them. To this end, the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librarians, who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from private four-year universities, and analyzed the collected data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experiences of academic librarians can be summarized as “ambivalent perceptions of the librarian profession,” “discrepancies between expectations and reality,” “discriminatory personnel practices within university organizations,” “growth and limitations derived from professional experiences,” and “adaptation and anxiety in response to rapid environmental changes.” A closer examination indicated that academic librarians continuously experience and resolve dilemmas within complex contex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 profession of academic librarian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strategies for workforce management and the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s.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