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informal information, 검색결과: 39
31
감미아(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지연(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23, Vol.40, No.1, pp.121-148 https://doi.org/10.3743/KOSIM.2023.40.1.12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우수한 성능의 메타데이터 속성 유사도 기반의 학술 문헌추천시스템’을 제안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조직에서 다루는 메타데이터의 활용과 계량정보학에서 다루고 있는 동시인용, 저자-서지결합법, 동시출현 빈도, 코사인 유사도의 개념을 활용한 문헌정보학 기반의 학술 문헌 추천기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실험을 위해 수집한 ‘불평등’, ‘격차’ 관련 총 9,643개의 논문 메타데이터를 정제하여 코사인 유사도를 활용한 저자, 키워드, 제목 속성 간의 상대적 좌표 수치를 도출하였고, 성능 좋은 가중치 조건 및 차원의 수를 선정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를 제시하여 이용자의 평가를 거쳤으며, 이를 이용해 기준노드와 추천조합 특성 분석 및 컨조인트 분석, 결과 비교 분석을 수행하여 연구질문 중심의 논의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는 저자 관련 속성을 제한 조합 혹은 제목 관련 속성만 사용하는 경우 성능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기법을 활용하고 광범위한 표본의 확보를 이룬다면, 향후 정보서비스의 문헌 추천 분야뿐 아니라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 대한 추천기법 성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cholarly paper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metadata attribute similarity with excellent performance. This study suggests a scholarly paper recommendation method that combines techniques from two sub-field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namely metadata use in Information Organization and co-citation analysis, author bibliographic coupling, co-occurrence frequency, and cosine similarity in Bibliometrics. To conduct experiments, a total of 9,643 paper metadata related to “inequality” and “divide” were collected and refined to derive relative coordinate values between author, keyword, and title attributes using cosine similarity. The study then conducted experiments to select weight conditions and dimension numbers that resulted in a good performance. The results were presented and evaluated by users, and based on this, the study conducted discussions centered on the research questions through reference node and recommendation combination characteristic analysis, conjoint analysis, and results from comparative analysis. Overall, the study showed that the performance was excellent when author-related attributes wer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title-related attributes. If the technique proposed in this study is utilized and a wide range of samples are secured, it could help improve the performance of recommendation techniques not only in the field of literature recommendation in information services but also in various other fields in society.

초록보기
초록

웹사이트 디자인과 평가에 대한 연구는 정보과학분야, 컴퓨터분야, 인지과학분야, 산업디자인분야 등을 중심으로 활발하여 이루어져 왔다. 정보과학분야에서 웹사이트 디자인과 관련하여 중요하게 강조하는 부분은 이용자가 이용하기 쉬우며 이용자에게 친숙한 이용자 중심의 웹사이트를 디자인하는 것이다. 이러한 개념은 이용자와 디자이너를 별개의 집단으로 이해하고, 웹 디자이너들이 웹사이트를 디자인할 때에 이용자의 요구사항을 충분히 반영하여야 함을 강조한다. 이 연구에서는 이용자와 디자이너를 별개의 집단으로 보는 관점을 벗어나 최근 늘어나고 있는 집단인 웹사이트 이용자인 동시에 웹사이트 제작 경험이 있는 디자이너를 대상으로 하여 자신이 디자인한 웹사이트와 다른 연구 대상자들이 디자인한 웹사이트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질문지를 통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용자이면서 디자이너인 218명의 연구 대상자들은 이용자의 관점과 디자이너의 관점에서 모두 웹사이트의 내용전달, 디자인의 단순성과 일괄성, 링크와 접근성 측면을 공통적으로 중요시 여기고 있었다.반면, 내용의 체계성과 풍부성, 화면구성 측면은 이용자 관점에서 중요한 고려사항으로 제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웹사이트 제작 시 중요성이 간과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Diverse disciplines such as information science, cognitive science, and industrial design are actively engaged in the website evaluation research efforts. Information scientist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user-centered and user-friendly website design, which is also easy to use. This idea is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at the users and the designers are diffrerent ste of people. In addition, information scientists consider the practice of maximally incorporating uer inputs during the website design stage to be very important guideline. However, this study is based on a newly emerging population of website users who are also designers. 218 study participants evaluated the web sites that they designed in comparison to the websites designed by others. According to the survey data analysis, the study participants considered the content delivery, design simplicity, design consistency, and link access of the websites to be equally important from both users' and designers' perspectives. However, the content organization, rich content, and screen composition were underestimated from users' point of view.

33
이지연(연세대학교) ; 안준범(연세대학교) ; 오혜영(연세대학교) ; 서혜린(연세대학교) 2018, Vol.35, No.3, pp.189-214 https://doi.org/10.3743/KOSIM.2018.35.3.18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 공공도서관의 어린이청소년서비스 및 프로그램의 현황을 조사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2016년 기준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의 자료와 전국 108곳의 공공도서관 어린이청소년서비스 담당사서들로부터 설문조사를 통해 어린이청소년서비스 현황을 파악하고 서비스 수준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공공도서관은 인력 및 예산의 부족, 시설의 협소함, 유연하지 않은 프로그램 내용 등의 문제점이 서로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서비스 수준을 높이기 어려운 상황임을 나타냈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어린이청소년의 흥미 유발 및 참여자 간 유대감을 형성하는 프로그램 개발, 학교 및 지역 내 유관기관과의 연계활동 증진, 도서관 프로그램의 참여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식 제안, 정보 소외계층 중점 서비스의 제공, 그리고 도서관 발전을 위해 다양한 정책적 지원 요청 등을 제안하였다. 이렇듯 본 연구는 프로그램 기획부터 정부 및 지자체의 지원방안까지 다방면의 개선방안을 제안함으로써 도서관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atus and also to develop improvement plans for the children and youth services of the public libraries. To determine the information service status and the librarians’ perceptions on the levels of services they provided, the 2016 Korean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data and the survey results from the children and youth program librarians in the 108 public libraries were analyzed. The analysis revealed the problems such as lack of human resources and budget, shortage of space, and an inflexible program curriculum, which affect the program as a whole negatively. Five suggestions were made to remedy the problems. They are: 1) development of the new programs, which can interest the children and youth and motivate the sense of association among the program participants; 2) increase the number of the programs including the schools and other related organizations nearby region; 3) incorporating the new program formats to enhance the participation; 4) starting the new services explicitly targeted for the information-poor group of people; and 5) soliciting policy-level support for the libraries. In summary, this study made a few suggestions for the libraries ranging from planning the programs to requesting assistance from the national as well as the regional governments.

34
이용민(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이지연(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21, Vol.38, No.1, pp.71-86 https://doi.org/10.3743/KOSIM.2021.38.1.07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지속적인 증가추세에 있는 대학도서관 단행본 장서폐기와 관련하여, 최근 10년간의 폐기 현황을 분석하고 사서 대상 면담을 통해 장서폐기와 관련된 이슈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학술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2010년부터 2019년까지의 장서폐기 데이터를 활용하여 폐기 현황을 분석하였다. 장서 규모가 200만 권 이상인 대학도서관 그룹에서 가장 큰 규모로 장서폐기가 진행되었고, 장서구성 면에서는 단행본 복본의 감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최근 10년간 3회 이상의 장서폐기 작업과 1회 이상의 대량폐기를 시행한 기관의 사서 면담 결과, 대량의 장서폐기 과정에서 다수의 단행본 복본이 폐기되는 가운데 활용가치가 있는 자료가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서들은 내용적 가치가 있는 자료의 디지털화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이를 위한 저작권법상의 제약도 토로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장서폐기가 장기적으로 장서구성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음을 지적하며, 대학도서관들이 거시적으로 장서구성의 변화에 관심을 두기를 제안하였다. 폐기 단행본의 가치를 평가하여 디지털장서로 구축하고 소장도서의 복본 수를 디지털장서의 이용권 개념으로 유지하는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discover the problems related to the increasing book disposal trend within academic libraries by analyzing the disposal status over ten years and interviews with the librarians. The analysis utilized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provided disposal information from 2010 to 2019. The academic libraries with more than 2 million books had disposed of the most number of books. This trend led to a distinctive decrease in the books’ duplicate copies in terms of the collection composition. The librarians from the organizations, which conducted disposal more than three times and one massive removal within ten years, revealed in the interviews that they discarded many valuable duplicate books. They discussed the importance of digitizing high-value resources and also the limitation imposed by the copyright law. In conclusion, this study pointed out that book disposal can cause changes in the collection composition in the long run and suggested that academic libraries pay attention to these changes. The study also suggested evaluating the discarded books’ values to guide the digitization efforts and count the number of books to include digital book use right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적극적 정보제공 서비스로서의 테마전시 이용행태를 조사하고, 그 효과로서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행태 변화와 인식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테마전시를 제공하는 3개 도서관의 7명의 사서와 8명의 이용자 심층인터뷰를 통해 연구 질문 및 설문지를 개발하고, 232명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 및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테마전시 서비스가 이용자들의 다양한 자료이용을 도울 뿐 아니라, 사서에 대한 인식 및 도서관 평가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각 도서관의 환경과 이용자층에 맞춰 테마전시를 적극적으로 수행할 것을 제안하였다.

Abstract

We investigated the user behavior of the theme display provided by the public libraries as an active information service. Specifically, we wanted to study the library patrons’ library use behavior and perception. There were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librarians and eight patrons to develop a set of research questions and the questionnaire. We conducted the survey with 232 patrons then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analysis result revealed that the theme display helped the patrons’ wider use of the library resources and also positively affected patrons’ perception on the librarians as well as the evaluation of the library services. Based on the findings, we recommended the active incorporation of the theme display within the limitation of the libraries’ facility and patrons’ interests.

36
황혜경(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이지연(연세대학교) 2009, Vol.26, No.4, pp.35-58 https://doi.org/10.3743/KOSIM.2009.26.4.035
초록보기
초록

오픈액세스의 기본적인 정신은 법적, 경제적, 기술적 장벽없이 전세계 누구나 학술정보를 공유함으로써 학술정보유통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함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기관리포지터리가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의 기관리포지터리 성공을 위한 주요 요인들을 도출하여 오픈액세스 기반 학술정보유통 활성화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문헌조사, 사례연구를 통하여 기관리포지터리 성공요인을 도출하였으며, 관련 분야 전문가와 심층면담을 통해 요인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조직적 요인과 정책적 요인, 그리고 기술적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조직적 요인에는 기관장의 적극적 의지가 포함된다. 정책적 요인에는 핵심콘텐츠 선정, 품질통제 수준의 최소, 저작권보호, 적극적 홍보를 통한 옹호집단구성, 장기보존, 인센티브, 의무조항이 포함된다. 기술적 요인에는 제출방식의 편이성, 상호운영성 지원, 저작활동 지원이 포함된다.

Abstract

One of the main goals of providing open access is to vitalize the exchange of academic information by allowing access to the scholarly research outputs for everyone without the legal, financial, and technical barriers. We regard the use of the institutional repository as an open access enabler. In this study, we tried to make the factors, which enable the successful deployment of the institutional repository, explicit. We utilized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ies to generate the potential success factors for the institutional repository deployment. We verified the factors by having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ubject matter experts. The resulting factors were organized as organizational, political, and technical ones. The organizational factors included the strong open access support by the organization heads. Under the policy factors, a number of issues such as selection of the core contents, minimum quality control, protection of the copyrights, forming supporting groups through active advertising, long-term preservation, incentive, and mandate, were included. The technical factors included easy submission, support for interoperability, and support for the publication activities.

37
김영은(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박사과정) ; 이지연(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2024, Vol.41, No.1, pp.283-311 https://doi.org/10.3743/KOSIM.2024.41.1.283
초록보기
초록

전자의무기록 공유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사람들의 인식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합리적 행동 이론과 프라이버시 계산 모형에 기반하여 전자의무기록 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였다. 또한 직업과 개인 병력 등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공유 의도가 달라지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14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타적 즐거움과 개인정보 보호 인식, 법․제도적 역할 인식 및 건강에 관한 관심 정도가 전자의무기록 공유 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의료기관에 대한 신뢰가 법․제도적 역할 인식과 공유 의도 간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조절하였다. 이에 사람들이 공유 과정에 의료기관뿐만 아니라 정부의 역할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자의무기록 공유에 대한 사람들의 참여와 수용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공유로 인한 공익적 혜택을 강조해야 할 것이며 법적으로 개인정보의 보안과 올바른 활용을 보장하는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of the public to share electronic medical records(EMR) based on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and the privacy calculus model. It also investigated whether the purpose of EMR sharing varies depending on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degree of interest in health and personal medical history. According to an online survey of 145 people, altruistic enjoyment, awarenes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recognition of legal and institutional roles, and interest in health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level of EMR sharing, and trust in hospitals positively adjus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cognition of legal and institutional roles and sharing intentions. Accordingly, we confirmed that the public recognized the role of the government and hospitals in the sharing process as necessary. The public interest benefits of sharing are critical to activating public participation in the sharing of EMR, and it is also essential to prepare guidelines that legally guarantee the security and proper use of EMR.

38
권현정(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대학원) ; 이지연(연세대학교) 2022, Vol.39, No.2, pp.1-33 https://doi.org/10.3743/KOSIM.2022.39.2.001
초록보기
초록

음성을 통해 상품을 구매하는 음성쇼핑 서비스는 미래에 본격적으로 상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음성쇼핑이 세계적으로 일상이 될 미래를 대비하여 디스플레이 탑재형 음성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음성쇼핑 서비스 휴리스틱을 개발하였다. 첫째, 이론적 접근으로 ‘시각 인터페이스’, ‘음성 인터페이스’, ‘쇼핑 서비스’의 설계 원칙을 주제로 한 논문 50건을 읽고 문헌조사를 실시하여 총 29개의 설계 원칙 초안을 제작하였다. 둘째, 실증적 접근으로 소비자 의사결정과정에 따른 쇼핑 경험 및 쇼핑 맥락에서의 정보추구행위에 관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여 문헌 연구에서 미흡했던 분야인 이용자 경험 측면을 보완한 휴리스틱 초안을 작성하였다. 셋째, 델파이 조사를 통해 위의 두 단계를 거쳐 개발된 휴리스틱 초안에 대하여 20명의 UX, 서비스기획, 인공지능 개발, 쇼핑 분야 전문가들에게 전문가 평가를 해줄 것을 요청하였다. 3회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최종 휴리스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Voice shopping is gaining attention following the trend of non-contact E-commerce by enabling people to shop via voice command. Therefore, in this study, voice shopping service heuristics using a display-mounted voice interface were developed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where voice shopping becomes a part of daily life in the world. First, as a theoretical approach, a literature survey of 50 papers on the design principles of ‘visual interface,’ ‘voice interface,’ and ‘shopping service’ was conducted to produce a total of 29 draft design principles. Second, as an empirical approach,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on consumer decision-making processes in shopping experiences and information-seeking behavior within the context of shopping to draft the heuristics. This was to supplement the user experience, a weak part of the literature research. Finally, a Delphi survey asked 20 experts in UX, service planning, artificial intelligence development, and shopping to evaluate the heuristics draft developed through the above two stages. After three rounds of Delphi surveys, the final heuristics were proposed.

39
이지연(연세대학교) ; 감미아(연세대학교) 2018, Vol.35, No.1, pp.129-155 https://doi.org/10.3743/KOSIM.2018.35.1.12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실증적 데이터의 검토 및 분석을 통해 이용자연구와 실용연구 분야의 특징을 발견하고, 이용자연구와 실용연구 분야의 융합 가능성을 논하고자 수행되었다. 이용자연구의 개척 및 확장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실용연구 분야 중 UX 연구를 선택하여 비교하였고, 이용자연구 영역과 UX 영역의 주제어 및 분야별 중복도를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해 국내 이용자연구 3,370개 논문과 국내 UX 연구 2,413개 논문, 국외 이용자연구 3,875개 논문과 국외 UX 연구 2,515개 논문을 수집하였고, 단순 출현빈도를 포함한 계량정보학적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맵핑 및 순위 선정, 시기별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의 이용자연구와 UX 연구 중복도는 국외보다 낮은 편이었고, 분야 간 협업의 활발성이 중복도와 연관이 있다고 해석할 수 있었다. 시기별 분석을 통해 이용자연구와 UX 연구간 중복되는 키워드가 점차 증가하고 있음을 발견하였기에, 향후 이용자연구와 실용연구 분야 간의 융합이 활발히 일어날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discover various aspects of the user studies and the research in practice and also to propose collaboration methods by empirical analysis of the data. To determine the application applicability of the user studies in other subject areas, the degree of keyword overlap between the user studies and the User Experience (UX), one of the research in practice discipline, was measured. The quantitative information science methods including simple frequency analysis were applied to more than ten thousand published papers to generate the network mapping and ranking as well as comparative analysis by time.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slightly lesser overlap between the user studies and the UX in the domestically published articles than the international ones. It also revealed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actual occurrences of collaboration and the keyword overlap. The temporal analysis showed that there is increasingly more keyword overlap between two disciplines and thus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active convergence in the future.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