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정보이용자, 검색결과: 263
161
이지원(대구가톨릭대학교) 2011, Vol.28, No.1, pp.221-235 https://doi.org/10.3743/KOSIM.2011.28.1.22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의 전자자원 메타데이터와 관련된 현황을 살펴보고, 정보조직 패러다임 및 목록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국내 대학도서관의 전자자원 도입 및 조직과 최근 정보자원 조직의 동향을 살펴보았고, 디지털콘텐츠 구축 건수 상위 30개 대학도서관의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현황과 문제점을 조사하였다. 앞으로 전자자원을 포함한 다양한 유형의 정보자원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접근성을 강화하여 이용자들에게 확장된 목록의 기능을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current practice of electronic resources in the academic libraries and to explore the changes of paradigm in the organization of information. It reviewed how academic libraries have acquired and organized electronic resources. It also investigated the library home pages of 30 academic libraries in order to identify the category of electronic resources, metadata, and linkage methods with various material types such as printed resources and theses. To perform extended functions of library catalogs, it is essential for academic libraries to manage the metadata of various resources together and provide enhanced access and linkage of related resources.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은 C대학도서관의 학술정보시스템(LAS)에 구축되어 있는 장서와 대출기록 및 고객관련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고객관계관리(CRM)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 대학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대출이 가능한 단행본 총 269,387책의서지데이타와고객 12,281명의 데이터, 이용자 대출기록 39,269건이었다. 대출기록 분석 데이터에서 관계변수로 이용자 신분, 대출빈도, 대출책수와 대출횟수, 출판년도를 추출하여 데이터 마이닝 기법으로 분석하고, 상관계수로 검증하였다.

Abstract

The books and circulation-related data in the Library Automation System(LAS) of C-academic library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nd also the method which may be applied to the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CRM) based on the results was suggested in this paper. Collected data were 269,387 bibliographic data of books, 12,281 patron data, and 39,269 circulation records. User identity, circulation frequencies, total number of circulated books, and publication year as relation factor from the analyzed data of circulation records were extracted. They were also analyzed, and verified by correlation coefficient.

163
남태우(중앙대학교) ; 김성희(중앙대학교) 2003, Vol.20, No.2, pp.263-283 https://doi.org/10.3743/KOSIM.2003.20.2.26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를 고객의 개념으로 이해하고 고객가치와 고객만족간의 관련성에 기초한 고객중심의 인터넷 컨텐츠 서비스에 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효율적인 인터넷 컨텐츠 서비스를 위한 고객가치 창출 핵심요인인 품질, 서비스, 비용은 컨텐츠 사이트 재방문 및 구매의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컨텐츠 서비스면에서 불만대응시간 및 고객지원체제에 대한 만족도 조사결과 다른 품질이나 비용에 비해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술정보기관에서도 이용자 서비스 연구를 고객가치수준에서 연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a user as a customer and analyzed a customer centered contents service based on the customer value and custoner satisfaction. This study showed that revisit of the site and content purchase are strongly affected by contents quality, service and cost. Especially, the ratio of satisfaction of the the complaint-response time and customer support system in cpnparison to the quality and cost factors was low. Therefore, library and infprmation center meed to improve the contents service in terms of customer relations.

164
박주범(이화여자대학교) ; 정동열(이화여자대학교) 2004, Vol.21, No.3, pp.83-98 https://doi.org/10.3743/KOSIM.2004.21.3.08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지식검색서비스의 특성과 성능 분석을 근거로 이용자의 정보요구와 이용행태 등 지식검색서비스 이용과 관련된 제반사항을 조사분석함으로써 이용자들의 요구를 보다 충족시킬 수 있는 지식검색서비스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이용연구에서 분석된 결과를 기초로 한 개선방안은 지식의 효과성과 검색서비스의 효율성을 강화시키는 요소를 중심으로 제시되었다. 지식 자체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답변의 전문성, 정확성, 주제의 특성 및 다양성을 향상시켜야 하고, 검색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쌍방향성, 즉시성, 편리성의 측면을 강화시켜야 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a web-based question-answer service and to analyze the information needs and use behavior of the service for a more efficient question-answer service plan.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this study makes suggestions for the question-answer service in respect of reinforcing the effectiveness of information itself and the efficiency of question-answer services. The speciality, accuracy, and specificity including the variety of themes should be improved for more effective information. Also, interactivity, readiness, and convenience should be improved for a more efficient service.

165
유지윤(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주무관) 2020, Vol.37, No.4, pp.151-179 https://doi.org/10.3743/KOSIM.2020.37.4.15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도서관 챗봇을 설계하고 구현하여 언택트 시대의 새로운 비대면 디지털 참고정보서비스를 모색하고자 했다. 데이터 분석을 통해 이용자 요구 및 도서관 서비스를 분석하고, 적합한 챗봇 개발 방법을 선정하여 시나리오를 설계했다. 이용자 친화적인 상호작용을 위해 챗봇의 퍼스널리티를 설계하고 이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하여 사용성을 평가했다. 또한 챗봇의 응답정확도 평가 및 성능평가를 통해 정확도를 검증하고, 이용자 만족도 조사를 통해 챗봇의 효용성을 평가했다. 챗봇 운영관리 및 서비스 품질 유지를 위해 이용자-챗봇 간의 대화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이용자 피드백을 반영하여 서비스를 개선했다. 챗봇 개발 과정 및 결과를 다각도로 분석하여 도서관 챗봇 설계 및 구현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of using a library chatbot to improve the non-face-to-face digital reference services for academic library users by designing and implementing a library chatbot. Through data analysis, user needs and library services were analyzed, and a scenario was designed by selecting an appropriate development method. For user-friendly interaction, the personality of the chatbot and user interface was designed to evaluate its usability. In addition, the accuracy was verified through the response accuracy evalu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chatbot,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chatbot was evaluated through a user satisfaction survey. In order to manage the operation and maintain service quality, the chatbot is improved by monitoring user-chatbot conversations and reflecting user feedback. Based on these findings, recommendations for designing and implementing a library chatbot were made to help improve library reference service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이메일에 나타난 감성정보 메타데이터 추출에 있어 자연언어처리에 기반한 방식을 적용하였다. 투자분석가와 고객 사이에 주고받은 이메일을 통하여 개인화 정보를 추출하였다. 개인화란 이용자에게 개인적으로 의미 있는 방식으로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온라인 상에서 관계를 생성하고, 성장시키고, 지속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전자상거래나 온라인 상의 비즈니스 경우, 본 연구는 대량의 정보에서 개인에게 의미 있는 정보를 선별하여 개인화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도록, 이메일이나 토론게시판 게시물, 채팅기록 등의 텍스트를 자연언어처리 기법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메타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은 온라인 비즈니스와 같이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하고, 상호 교환되는 메시지의 의도나 상대방의 감정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 경우에 그러한 감성정보 관련 메타데이터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시도를 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가치를 찾을 수 있다.

Abstract

This paper describes a metadata extraction technique based o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which extracts personalized information from email communications between financial analysts and their clients. Personalized means connecting users with content in a personally meaningful way to create, grow, and retain online relationships. Personalization often results in the creation of user profiles that store individuals preferences regarding goods or services offered by various e-commerce merchants. We developed an automatic metadata extraction system designed to process textual data such as emails, discussion group postings, or chat group transcriptions. The focus of this paper is the recognition of emotional contents such as mood and urgency, which are embedded in the business communications, as metadata.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지역간 도서관 정보격차 실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도서관연감에 수록되어 있는 공공도서관, 대학도서관, 학교도서관의 주요지표인 인구수, 건물면적, 소장자료수, 직원수, 운영예산, 이용자수, 대출책수를 표본으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경기수도권, 강원충청권, 부산영남권, 광주호남권 등 4개 권역별로 구분하여 통계적으로 변인 상호간에 유의한 차이와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평균분석과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3개의 관종에서는 공공도서관이 지역별 정보격차가 가장 심한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이 학교도서관, 대학도서관 순으로 나타났으므로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에서는 공공도서관이 가장 우선되어야 한다. 4개 권역의 정보격차에서는 경기수도권으로 도서관정보가 집중되어 있으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한 지역간 균형 있는 도서관 정보 정책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Abstract

The numbers of population, areas, possessions, employees, operational budget, users, and circulated books in Korea Library Yearbook were collected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status of information disparity through libraries among four large regional groups in Korea in this paper. They were the main indicators of four types of libraries such as public, academic, special, and school ones. The collected data were classified into four regional groups, and were analyzed by using the comparisons of means such as t-test and ANOVA, and correlation coefficient if there is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m or not.

168
정힘찬(전북대학교) ; 김태영(전북대학교) ; 김용(전북대학교) ; 오효정(전북대학교) 2017, Vol.34, No.2, pp.137-158 https://doi.org/10.3743/KOSIM.2017.34.2.137
초록보기
초록

재난은 국민의 생명․신체․재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건으로, 재난 발생 시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서는 관련 정보들을 효율적으로 공유, 활용하는 협조 과정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현재 재난안전 유관기관별로 다양한 재난안전정보가 생산 및 관리되고 있지만, 각 기관별로 개별적인 용어와 의미를 정의하여 활용하고 있다. 이는 재난안전정보를 검색하고 접근하려는 실무자 입장에서 큰 걸림돌이며, 기관별 정보 활용도를 저해시키는 요인 중에 하나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재난안전정보의 통합적 관리를 위한 어휘자원의 표준화 작업의 선행 연구로, 본 연구에서는 재난안전 유관기관에서 관리하고 있는 어휘자원의 현황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수집된 어휘자원을 대상으로 정보제공자 및 이용자 관점에서의 활용도 분석을 통해 어휘 그룹별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기반해 재난안전정보 관리를 위한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Disaster has a direct influence on the lives of the people, the body, and the property. For effective and rapid disaster responses, coordination process based on sharing and utilizing disaster information is the essential requirement Disaster and safety control agencies produce and manage heterogeneous information. They also develop and use word dictionaries individually. This is a major obstacle to retrieve and access disaster and safety information in terms of practitioners. To solve this problem, standardization of lexical resources related disaster and safety is essentially required. In this paper, we conducted current status analysis about lexical resources in disaster and safety domain. Consequently, we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exical groups. And then we proposed the utilization plan of lexical resources for disaster and safety information management.

169
박재용(신라대학교) ; 조윤희(중앙대학교) 2002, Vol.19, No.1, pp.115-134 https://doi.org/10.3743/KOSIM.2002.19.1.115
초록보기
초록

비영리 조직인 도서관에서 정보화가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증대됨에 따라 시스템에 대한 감리와 통제만으로 지식정보자원관리를 조직의 경영목표에 적합하도록 유지하는 것이 어렵게 되었다. 그러므로 조직의 종합적인 경영체제 내에서 전체 경영활동과 통합되고 융화될 수 있도록 정보화 경영시스템의 적용이 필요하다. 도서관에서도 조직의 전략적 측면이나 사회 ·경제적인 요구들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문제를 고려하여 지식정보화 촉진과 경영혁신을 추구해야 한다. 본 연구는 모든 도서관에 적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규격으로 정보화경영시스템의 적용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지금가지 다양하게 개발된 도서관 성과지표와 정보화경영시스템의 수준평가표를 비교, 분석 하였으며, 도서관은 정보화경영시스템 도입을 통하여 조직의 효율성과 이용자 만족을 제고하고 나아가 국가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Abstract

According to increase share ratio of information on library be unable bring to maintain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 management for information audit and control on management vision in non-profit organization. Application of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was necessary to the systems integration and total management activity in total management system of organization. Library must be to investigate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motion and management innovation needs to consider to gather into a bundle problems to include social and economic requirements. This research be able to adaption all library standardization rule review adapt ability of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analysis compared to various developed performance indicator for library and level evaluation indicator for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Library will be expanse efficiency of organization, satisfaction of users and level up the National competition through the adaptation of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정보학분야 학회지인 『정보관리학회지』에 25년 동안에 발표된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동향분석을 시도하여 각 시기별 우리나라 정보학분야의 학문적 구조와 그 변화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25년을 1984-1994, 1995-2002, 2003-2009로 나눈 다음, 각 기간별 『정보관리학회지』에 실린 학술논문의 주제를 분석한 후 각 논문의 주제분포, 주제영역별 논문의 증감, 주제영역별 연도 분포를 살펴보았다. 또한 논문의 표제어를 이용하여 기간별 정보학의 지적 구조를 생성하였고 세 개의 지적 구조를 비교하여 정보학 연구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보관리학회지』 연구의 주요 대주제 영역은 ‘정보서비스’, ‘정보조직’ 그리고 ‘정보시스템’이며 소주제 영역은 도서관서비스, 이용자연구, 자동문헌처리, 도서관통합시스템, 시소러스/온톨로지, 디지털도서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제어의 지적 구조를 분석한 결과, 정보학의 핵심영역은 여전히 정보검색이지만 각종 도서관이나 시스템에 활용된 정보기술 기법이나 서비스 평가에 대한 연구가 점점 늘어나고 이에 대한 주제영역이 확장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provide a global overview of research trends in information science and to trace its changes in the main research topics over time using trends analysis. The study examined the topics of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between 1984 and 2009. Rather than taking a single snapshot of a given point in time,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a series of such pictures in order to identify trends over time. The fairly arbitrary decision was taken to divide the period under consideration into three ‘publication windows’: 1984-1994, 1995-2002, 2003-2009. The study revealed that the most productive areas were ‘Information Service’, followed by ‘Information Organization’, and ‘Information System’. The most productive sub-areas were ‘Library Service’, ‘User Study’, ‘Automatic Document Analysis’, ‘ILS’, ‘Thesaurus/Ontology’, and ‘Digital Library’. From the comparisons of intellectual structures of title keywords, the key research area in the field of Information Science was ‘Information Retrieval’. The studies of IT applications and service system evaluation have been expanded.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