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KOREA, 검색결과: 267
초록보기
초록

공공데이터는 공공기관의 정책 수립 등의 공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많은 비용을 들여 수집되고 있으나 대부분은 사일로(silos)로 방치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공공데이터를 개방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으나 일부 기관을 중심으로 OpenAPI 형식으로 데이터를 제공하는 등 제한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다. 국가차원에서 LOD(Linking Open Data) 시범사업으로 공공DB 피디아를 구축하면서 최근 들어 공공데이터 활용을 위한 링크드 데이터 구축이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련연구 및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한 링크드 데이터 구축 사례를 바탕으로 공공데이터 활용을 위한 국가 연계체계 사업인 공공DB 피디아 구축과정에서 도출된 문제를 파악하고 기존의 국가DB 연계체계 구축과정을 참고하여 그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Public information has been collected in various fields with huge costs in order to serve public purposes such as public agencies' policy-making. However, the collected public information has been overlooked as silos. In korea, many attempts have been made to open the public information to the public only to result in limited extent, where OpenAPI data is being presented by some agencies. Recently, at the national level, the LOD(Linking Open Data) project has built the national DB, initiating the ground on which the linked data will be based for their active availability. This study has outlined overall problems in earlier projects which have built up national linking systems based on linked data for public data use. A possible solution has been proposed with a real experience of having set up an existing national DB of Korean public agencies.

초록보기
초록

최근 대학도서관은 물리적 장소로서 전통적인 도서관의 역할과 전자자원을 효율적으로 서비스 할 수 있는 가상도서관의 역할을 모두 수행해야 할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이에 대학도서관은 위기와 기회를 동시에 내포하고 있는 대학도서관의 미래를 적극적으로 설계하는 도구로서 전략적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대학도서관의 전략적 계획의 실행 문서를 비교, 분석하여 그 내용을 형식적 요소와 내용적 요소로 구분하고 전략적 계획 문서에 포함되어야 할 최소한의 요소를 권고하였다. 아울러 UMI, OULS, UBCL, USL 등 선진 대학도서관의 최근 전략적 계획 문서의 사례를 통하여 사명과 비전, 전략 등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아직 전략적 계획의 작성이 일반화되지 않은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에 전략적 계획 수립을 위한 방향 제시와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Abstract

University libraries have been facing challenges to accomplish both roles of traditional libraries as physical places and virtual libraries which service electronic resources effectively. University libraries need to establish a strategic plan as a positive tool for designing the future of university libraries addressing threats and opportunities at the same time. This study suggested the core elements be involved in strategic plans of university libraries through comparatively analyzing the actual documents of strategic plans of academic libraries in America, England, Canada and Australia. These strategic plans were divided into formal elements and content elements.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ed the latest strategic plans of academic libraries such as UMI, OULS, UBCL, and USL. As a result of research, this study provided the directions and basic materials in order to establish strategic planning at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초록보기
초록

대학도서관은 어느 관종보다 정보기술의 도입에 적극적이다. 그러나 국내 대학도서관의 경우, 특히 무비판적 수용에 따른 규모의 비경제성과 비효율적 관리에 따른 활용성의 저하가 경영관리의 최대 난제로 부상하고 있다. 대학도서관이 정보기술을 경영관리의 핵심요소로 상정하여 그 영향과 파장에서 배태되는 무수한 담론의 곡절과 고저를 평 면화하고 맹목적 수용의 예각을 둔화시키며 체계적 관리방안을 모색하지 않을 경우. 정체성의 심각한 훼손과 위상의 격하가 초래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보기술이 대학도서관의 경영관리(조직구조, 인력과 직무, 예산배정과 지출, 공간구조와 기능성, 장서패러다임, 이용자봉사)와 학술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서하고 바람직한 수용자세와 관리방안을 모색하였다.

Abstract

Information technology. computers, networks, and the World Wide Web are ubiquitous. Academic libraries have applied information technology over the last ten years. The traditional role of the library as the scholarly information heart of the university is being questioned as information technology makes Information ever more easily accessible. And the recent technological development may alter the fundamental concept or identity of the academic library in the twenty-first century. This paper examines the ways in which information technology have chanced the academic library over the last decades and deals with the logical interrel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management′ in the context of academic librarie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impacts of information technology on academic library management (organizational structure. librarian′s job and role. budget allocation and expenditures, space planning and functionality, collection paradigm, user service, academic entity, etc) and suggests a desirable acceptance attitudes and efficient management acceptance attitude and management.

194
조찬식(동덕여자대학교) 2008, Vol.25, No.3, pp.159-178 https://doi.org/10.3743/KOSIM.2008.25.3.159
초록보기
초록

사회적 기구로서 공공도서관이 변화하는 사회에서 제 기능을 다하고 주어진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는 전통적이거나 관습적인 운영보다는 좀 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경영이 실현되어야 한다. 이런 맥락에서 공공도서관의 특성화 전략이란 공공도서관이 제공하는 자료와 서비스의 차별화와 집중화를 통한 운영 및 관리를 의미하며, 공공도서관의 효율적 경영을 위해 필수적으로 반영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공공도서관의 특성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먼저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발전과 현황을 살펴본 후 공공도서관의 특성화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서비스를 특성화란 관점에서 자료중심과 서비스중심으로 나누어 조사ㆍ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나타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살펴봄으로써, 공공도서관의 특성화, 나아가 도서관의 특성화 일반에 대한 이해의 증진에 일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bstract

As social institution, the public libraries in changing social environment are required to adopt a more systematic and efficient managerial strategy, only to function properly and to achieve the given goal. In this context, the specialization of the public libraries means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and library services through differentiation and focus strategy, and should be realized for the efficient library management. In order to examine the specialization of the public libraries in Korea, this study build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pecialization of the public libraries, looks into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public libraries,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specialization of the public libraries in terms of information and library services, and suggests some recommendation for improvement. By so doing this study aims at enhancing our understanding of the specialization of the libraries as a whole.

195
황성욱(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 정예용(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 김수정(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오효정(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20, Vol.37, No.2, pp.23-45 https://doi.org/10.3743/KOSIM.2020.37.2.023
초록보기
초록

최근 ‘코로나19’라는 초유의 재난 사태를 맞이하여 대한민국 정부의 투명한 정보 공개를 통한 적극적 대응에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이렇듯 공공데이터 개방은 특정 정보에 대한 국민의 인지도와 접근성을 높임으로써 다양한 사회적, 경제적 가치를 상승시키는 데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정부차원에서 주도적으로 수집하고 공개하고 있는 공공데이터포털의 이용 활성화를 위해 각국에서 운영하고 있는 SNS 현황과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공공데이터포털 SNS 운용현황을 살펴보고, 그 중 선진 사례 3국(인도, 미국, 한국)의 서비스를 선정하여 계량 분석, 피드백 분석, 시계열 분석, 정보유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통해 정보유형 및 이용요구를 파악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공공데이터 이용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Abstract

The world is paying attention to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aggressive COVID-19 response, key of which is transparency and openness in sharing information. Opening up government information is essential to enhancing its social and economic value through increased awareness and accessi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SNS operated by national open data portals in which government-collected and -disclosed data is available and to suggest improvements for the use of open data portals. To do this, the study compared 3 national open data portals, each from India, U.S.A, and Korea, by performing quantitative analysis, user feedback analysis, time-series analysis, and information type analysis. Based on the identified information types and user needs, the study suggests concrete ways to facilitate the use of open data portals.

196
양동민(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 최광훈(알엠소프트) ; 김지혜(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박사과정) ; 유남희(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2023, Vol.40, No.4, pp.167-200 https://doi.org/10.3743/KOSIM.2023.40.4.167
초록보기
초록

국내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관리에서는 행정정보 데이터세트를 이관할 때 이관규격으로 SIARD를 활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행정정보 데이터세트의 기록관리 단위, SIARD를 지원하는 도구의 기술적 한계, 공공기관의 현실적인 상황 등으로 인해 SIARD 적용이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IARD 이외에 행정정보 데이터세트의 이관규격을 다양화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행정정보 데이터세트의 기록관리에서는 데이터세트와 연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재현에 대한 필요성에 대한 논의는 지속되고 있지만 구체적으로 제시되고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필수보존속성(Significant Properties) 관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함께 보존되어야 할 속성임을 확인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효과적으로 재현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실제 검증한 사례를 제공하고자 한다.

Abstract

For the record management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datasets in Korea, it is recommended to utilize SIARD as a transfer specification when transferring administrative information datasets. However,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application of SIARD is not suitable due to the record management unit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datasets, technical limitations of tools that support SIARD, and the realistic situation of public institutions. In this study, we propose a plan to diversify the transfer specifications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datasets other than SIARD. In the record management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datasets, the need to reproduce the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the dataset has been discussed but not specifically presented.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user interface is a property to be preserved from the perspective of Significant Properties, proposes a method to effectively reproduce the user interface, and provides an example of actual verification.

197
박용부(PAX자료정보연구소) ; 김태수(연세대학교) 2011, Vol.28, No.3, pp.83-101 https://doi.org/10.3743/KOSIM.2011.28.3.083
초록보기
초록

국제 표준인 ISO 15489와 관련코드에 따르면 공공조직이든 민간조직이든지를 막론하고 안정적인 기록물 분류체계를 구현하게 하는 기능 분류 사용을 권고하고 있다. 기업에서도 이를 따라 업무 수행 기록물을 분류․축적하여 검색․활용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은 기업 성장을 위해서 중요하다. 따라서 기업의 기록물 분류체계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분류기준이나 개발 방법론 연구 및 모형의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기업 3개 회사와 중소기업 4개 회사 등 총 7개의 종합건설기업의 기록물 분류체계 사례연구를 통하여 분류체계의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사례연구를 통하여 도출한 분류원칙을 정리 종합하여 핵심적인 건설기록물 분류기준을 제시하고, 건설기록물 분류체계 모형을 도출하기 위하여 대기업 사례기업의 본사조직 및 프로젝트조직의 대분류 및 중분류 항목 구성을 상호 비교하면서 표준적인 본사조직 및 프로젝트조직 기록물 분류 항목을 도출하는 과정을 기술하고 그 결과로 개발된 건설기록물 분류체계 모형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international standards, ISO 15489 and Family Code, recommend using functional classification method both in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In this study mad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etails of classification systems through case studies on records classification systems of a total of seven comprehensive construction companies in Korea including three large corporations and four small and medium-size businesses.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r the direction of developing construction records classification system and its methodology. By summarizing classification standards derived from these case studies, key construction records classification standards were presented.

초록보기
초록

지식경영을 도입함에 있어서 조직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지식 공유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구성원들의 동기유발 방식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지식 기여에 대한 공정한 평가와 적절한 보상체계의 수립은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지식경영을 도입한 국내 기업체 및 전문 연구기관에서의 지식 기여에 따른 평가와 보상과 관련한 문헌분석 및 실제 사례분석을 토대로 지식 기여에 대한 바람직한 평가 및 보상 모형, 즉 가설을 설정하였다. 아울러 설정된 가설을 토대로 한국원자력연구소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전문 연구기관에서의 지식 기여에 대한 평가 및 보상에 대한 구성원들의 반응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지식경영을 도입하고자 하는 전문 연구기관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When we introduc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n our organization, first of all, we need to change the way of motivating the members so as to voluntarily activate knowledge sharing activity. For this, it is very important to establish fair evaluation and adequate reward system about knowledge contribution. In this study, I hypothesized a desirable evaluation and reward model for knowledge contribution on the basis of analysis of documents and cases concerning them in domestic enterprises and R&D institutes that adopted knowledge management. Also, I took a survey to analyze the response of the members of KAERI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about the evaluation and reward for knowledge contribution. I expect that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very usefully in R&D institutes that want to introduce knowledge management.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한국에서 SCIE 논문을 가장 활발하게 발표하고 있는 분야인 재료공학과 대학교수 449명이 2006년부터 2010년까지 발표한 SCIE 논문수와 피인용 횟수를 측정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체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논문수가 많은 교수가 피인용 횟수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 외국의 선행연구 결과와 유사하였고, 논문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교수의 직급, 출신학부, 재직 대학의 소재지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피인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인적 특성 가운데 출신학부가 있었고, 환경적 특성으로 재직 대학의 소재지가 서울인지 지방인지에 따라 피인용 횟수에 뚜렷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장기적으로 국내 SCIE 논문의 피인용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피인용을 촉발할 수 있는 기초 연구에 보다 많은 지원을 해야 하고, 대학과 연구비 지원기관의 연구성과 평가에 피인용 횟수도 포함시키는 등 평가방식도 보완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pointed the factors affecting the number of articles and citations in material science which is the most active publishing disciplinary in South Korea. This was conducted by gathering the information on SCIE which had been published by 449 Korean professors in material science from 2006 to 2010. One of the results was that the professors who had published more papers received more citations than those who did not, reconfirming former studies abroad. It was observed that the factors majors impacting on the number of papers may be their academic positions, educational backgrounds (particularly undergraduates), and places of work. The number of citations was affected by the authors’ undergraduate and their locations of the work. This study suggested a need for more supports on basic researches by universities and funding bodies and an amendment of performance measures to include the number of citations.

200
장윤금(숙명여자대학교) 2005, Vol.22, No.4, pp.197-220 https://doi.org/10.3743/KOSIM.2005.22.4.19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이 교수연구지원을 위해 기여하는 서비스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대학도서관이 대학의 교수연구지원을 위해 그들의 정보요구에 부합되는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 가를 알아보며, 대학도서관 웹사이트를 이용한 학술연구정보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과 로드맵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재 국내 대학도서관 평가기준에 따라 변화되어 온 대학도서관 발전의 문제점과 이로 인한 대학도서관의 교수연구지원서비스의 한계점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국내외의 12개 대학 도서관의 교수연구지원서비스 활동을 개관하고 분석함으로써 국내 대학도서관의 보다 진취적인 교수연구지원 서비스를 위한 벤치마킹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서비스 전략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교수 연구지원을 위한 고객관계관리(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CRM) 서비스 전략이라고 할 수 있는 일대일, “mass-personalized services”를 제시함으로써 대학도서관의 “one-stop service execution wheel”을 토대로 한 교수연구지원 서비스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faculty research support systems in university libraries, assess their service performance for faculty research, and suggest the need and roadmap for new service development. We perform in-depth analyses of not only the current university library evaluation criteria as part of the overall university evaluation criteria, but also ten university libraries in the United States and two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Thorough benchmarking studies reveal the problems of the current university library evaluation criteria in its advances and limitations of current faculty support service systems. Especially this research suggests to develop a one-stop service execution wheel for the roadmap for the faculty research support system which is based on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CRM) for one-to-one, mass- personalized services to the faculty.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