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libraries, 검색결과: 588
211
곽지영곽지영(법원도서관 사서) 2023, Vol.40, No.3, pp.143-162 https://doi.org/10.3743/KOSIM.2023.40.3.14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법원도서관 법마루 도서대출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용자 대출 패턴을 파악하고 분석 결과를 향후 이용자 서비스에 반영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2022년 법마루의 소장 도서는 212,608권이었으며, 법률서가 73%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 대출은 일반서가 83%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주제별 이용계수를 살펴보면 문학 분야가 5.85로 가장 활발히 이용되고 있었고 법학 분야가 0.23으로 가장 저조하게 이용되고 있었다. 상호대차의 경우, KERIS 가입 회원기관과 대한변호사협회 모두 제법 분야, 민법 분야, 사법소송절차 분야 순으로 대출 비율이 높았다. 다만, 법학계인 KERIS 가입 회원기관이 실무계인 대한변호사협회에 비해 더 다양한 주제 분야의 법률서를 대출하고 있었다. 법률정보의 접근권 향상을 위해 법마루 대국민 대출서비스를 시행했지만 실제로는 열람 공간의 이용이 높았고, 대출 역시 일반서의 비중이 월등히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법마루 대출 서비스 홍보 강화 및 개인화 서비스 제공, 도서대출 규정 정비 온라인서비스 강화 및 협력네트워크 구축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Beopmaru, Supreme Court Library of Korea, circulation data to identify user lending patterns and proposed a plan to reflect the analysis results in future user services. In 2022, Beopmaru's collection of books was 212,608, with law books accounting for 73%. However, general books accounted for 83% of actual circulation. Looking at the usage coefficient by topic, the literature field was the most actively used at 5.85, and the law field was the least used at 0.23. In the case of interlibrary loan, both KERIS member institutions and the Korean Bar Association had the highest loan ratios in the legal field, civil law field, and judicial litigation procedure field, in that order. However, member institutions affiliated with KERIS, a legal academic community, were lending law books on a wider range of subject areas than the Korean Bar Association, a practical organization. To improve access to legal information, the Beopmaru public service was implemented, but in reality, the use of reading space was high, and the proportion of general books loaned was much higher. In order to improve this, it seem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promotion of Beopmaru loan services, provide personalized services, improve book lending regulations, strengthen online services, and establish a cooperative network.

212
윤설리(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 ; 김기영(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2024, Vol.41, No.1, pp.163-187 https://doi.org/10.3743/KOSIM.2024.41.1.16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사서교사와의 협력 독서교육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협력 독서교육을 위해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가 해야 할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지역 초등학교 9개 학교, 교사 1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한 자료의 데이터 코딩과 데이터 선별 과정을 거쳐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도서관의 도서관 역할, 이벤트 역할 인식은 초등학교 교사가 협력 독서교육에서 효과를 기대하며, 사서교사(사서)가 전문성이 있다고 인식했다. 하지만 초등학교 교사의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역할 인식은 협력 독서교육의 기대효과와 필요성을 낮게 인식했으며 사서교사(사서)의 전문성도 낮게 인식했다. 본 연구는 협력 독서교육 방안과 그 안에서 사서교사의 전문성을 어디에 두어야 할지를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school library’s role and the teacher- librarian expertise that enables collaborative reading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Furthermore, it develops strategies that the school library and teacher-librarians should undertake for collaborative reading education.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survey 176 teachers in 9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do. As a result,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school library’s role and event role perception would positively impact the expected effects of collaborative reading education inten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suggestions are offered for collaborative reading education and where teacher-librarian expertise is placed.

213
노동조(상명대학교) ; 안인자(동원대학교) ; 노영희(건국대학교) ; 김성진(인하공업전문대학 비서과) 2009, Vol.26, No.2, pp.43-63 https://doi.org/10.3743/KOSIM.2009.26.2.043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Recently in Korea, the need has increased for the systematization of the qualifications of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who have both knowledge and work experience on specific sub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omestic situation of subject special library services as well as the education backgrounds or work experience of current subject librarians in Korea. At the end, the study attempts to suggest an appropriate framework for the qualification system establishment and operation in Korea based on the supply and demand analysis of domestic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214
김다해(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기영(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09, Vol.26, No.3, pp.89-110 https://doi.org/10.3743/KOSIM.2009.26.3.08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근래 국내 대학도서관에서 도입이 가시화되고 있는 주제전문서비스를 마케팅의 한 분야인 고객관계관리(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CRM)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실제로 이 서비스가 대학도서관의 이용자, 특히 교수진들과의 관계에서 수행하는 역할과 이를 통한 마케팅의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비스의 실무자인 주제전문사서들과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와 서비스 대상자인 교수이용자와의 개별 심층 면접법을 실시하였으며, 또한 대학도서관의 교수이용자와의 관계의 유지 및 심화를 위한 주제전문사서의 요건을 함께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주제전문서비스의 목적과 특성을 이용자 및 CRM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In this research, we attempt to discuss about the subject reference service from a marketing point of view, especially from a perspective of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CRM), and examine how this service actually functions to build the relationships with users of academic libraries, especially with faculty members. To carry out the research,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subject specialists, and also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faculty members. In addition, we also discuss about characteristics of subject specialists which affect the relationship with the faculty members in a college environ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discussed purposes of and characteristics in subject reference service from user' viewpoint and the perspective of CRM.

215
박자현(연세대학교) ; 송민(연세대학교) 2013, Vol.30, No.1, pp.7-32 https://doi.org/10.3743/KOSIM.2013.30.1.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의 연구동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문헌정보학 주요 학술지인, 정보관리학회지, 한국문헌정보학회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한국비블리아학회지의 1970년도부터 2012년도까지 발표 논문 초록을 수집하여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기반의 토픽 모델링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토픽모델링 실험에서 도출된 연구주제를 문헌정보학 주제분류표와 비교․분석한 결과, ‘정보학’영역의 디지털도서관, 이용연구, 인터넷, 전문가시스템, 계량정보학, 자동화, 정보검색, 정보시스템, ‘도서관 서비스’영역의 정보서비스, 도서관 유형별 서비스, 이용자 교육/정보리터러시, 서비스 평가, ‘문헌정보학 기초’영역의 도서관과 사회, 전문성, ‘자료조직’영역의 분류, 편목, 메타데이터, ‘도서관 경영’영역의 도서관 평가, 장서개발/관리, ‘서지학’영역의 고서지, ‘도서관 체제’영역의 도서관 및 정보정책, ‘출판’영역의 도서/출판, ‘기록관리학’영역의 하위주제 등과 연결할 수 있었다. 또한 가장 많은 연구주제가 발견된 학문영역은 정보학과 도서관서비스로 나타났다. 둘째, 문헌정보학의 주요 연구주제에서 도서관 유형별 서비스 및 평가, 인터넷, 메타데이터의 연구주제는 상승세를 보였으나, 도서, 분류, 편목, 고서지에 관한 연구주제는 하강세를 보였다. 셋째, 학술지를 구분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정보관리학회지는 도서관에 관한 연구주제보다 정보학에 관한 연구주제가 많이 출현하였고, 한국문헌정보학회지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한국비블리아학회지는 도서관에 관한 연구주제가 정보학에 관한 주제보다 많이 나타났다.

Abstract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is to identify the topic trend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To this end, we collected titles and abstracts of the papers published in four major journals such a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and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during 1970 and 2012. After that, we applied the well-received topic modeling technique, Latent Dirichlet Allocation(LDA), to the collected data sets. The research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Comparison of the extracted topics by LDA with the subject heading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hows that there are several distinct sub-research domains strongly tied with the field. Those include library and society in the domain of “introduction to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ofessionalism,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in the domain of “library system,” library evaluation in the domain of “library management,” collection development and management, information service in the domain of “library service,” services by library type, user training/information literacy, service evaluation, classification/cataloging/meta-data in the domain of “document organization,” bibliometrics/digital libraries/user study/internet/expert system/information retrieval/information system in the domain of “information science,” antique documents in the domain of “bibliography,” books/publications in the domain of “publication,” and archival study. The results indicate that among these sub-domains, information science and library services are two most focused domains. Second, we observe that there is the growing trend in the research topics such as service and evaluation by library type, internet, and meta-data, but the research topics such as book, classification, and cataloging reveal the declining trend. Third, analysis by journal show that 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information science related topics appear more frequently than library science related topics whereas library science related topics are more popular in the other three journals studied in this paper.

초록보기
초록

최근 대학도서관은 물리적 장소로서 전통적인 도서관의 역할과 전자자원을 효율적으로 서비스 할 수 있는 가상도서관의 역할을 모두 수행해야 할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이에 대학도서관은 위기와 기회를 동시에 내포하고 있는 대학도서관의 미래를 적극적으로 설계하는 도구로서 전략적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대학도서관의 전략적 계획의 실행 문서를 비교, 분석하여 그 내용을 형식적 요소와 내용적 요소로 구분하고 전략적 계획 문서에 포함되어야 할 최소한의 요소를 권고하였다. 아울러 UMI, OULS, UBCL, USL 등 선진 대학도서관의 최근 전략적 계획 문서의 사례를 통하여 사명과 비전, 전략 등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아직 전략적 계획의 작성이 일반화되지 않은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에 전략적 계획 수립을 위한 방향 제시와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Abstract

University libraries have been facing challenges to accomplish both roles of traditional libraries as physical places and virtual libraries which service electronic resources effectively. University libraries need to establish a strategic plan as a positive tool for designing the future of university libraries addressing threats and opportunities at the same time. This study suggested the core elements be involved in strategic plans of university libraries through comparatively analyzing the actual documents of strategic plans of academic libraries in America, England, Canada and Australia. These strategic plans were divided into formal elements and content elements.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ed the latest strategic plans of academic libraries such as UMI, OULS, UBCL, and USL. As a result of research, this study provided the directions and basic materials in order to establish strategic planning at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217
최재황(경북대학교) ; 곽승진(충남대학교) ; 배경재(LG상남도서관 기획운영팀장) 2009, Vol.26, No.3, pp.335-353 https://doi.org/10.3743/KOSIM.2009.26.3.335
초록보기
초록

RFID 시스템이 1990년대 말에 처음으로 도서관에 도입된 이래, 13.56MHz 주파수를 활용하는 HF 시스템과 900MHz 주파수를 활용하는 UHF 시스템에 대한 논란도 계속하여 확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HF RFID 시스템과 UHF RFID 시스템의 특징을 분석하고, 도서관 현장에서 적용되는 실제 상황에서의 장단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도서관의 RFID 시스템 도입현황과 국내의 대표적인 4개의 도서관 RFID 시스템의 도입사례(HF, UHF 각각 2개 도서관)를 분석하였다. 또한 HF RFID 시스템과 UHF RFID 시스템의 기능적 특징, ISO/DIS 28560에서의 주파수 논의, 각 시스템의 공급자 및 사용자 의견도 조사되었다.

Abstract

Since libraries first used RFID systems in the late 1990's, there is growing debate about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HF and UHF RFID systems. This study tries to explore practical issues in HF and UHF RFID systems especially in the areas of system characteristics and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ffecting technology implementation to librari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of RFID systems in Korean libraries, and analyzes the best practices of four libraries(two libraries in HF and two libraries in UHF respectively). Also, this study describes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HF and UHF RFID systems, debates on frequencies in ISO/DIS 28560, and the opinions of both manufacturers which provide RFID systems to libraries and librarians who use HF and UHF RFID systems in their librarie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분야에서 지리정보시스템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미국 플로리다주 Lake 카운티 도서관 이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논의하였다. GIS의 다양한 기능 중에서 지오코딩, Thiessen 다각형, 밀집도, 버퍼, 이동거리의 측정 등의 툴들을 이용하여 도서관 이용자 정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도서관 이용자의 위치나 분포형태에 대한 이해를 얻을 수 있었고 도서관 서비스 지역을 설정함으로써 도서관 서비스 계획수립을 위한 토대를 마련할 수 있었다. 또한 Thiessen 다각형이나 버퍼를 통해 이동거리가 도서관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과 동시에 보다 현실적인 도서관 이용자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Abstract

Using the library users' data in Lake County Public Library Systems, Florida, US, this study discussed how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can be applied in LIS fields. These data were analyzed with such GIS functions as geocoding, Thiessen polygon, density, buffer, and distance measurement. Results indicate that findings from a study of these functions allowed for, not only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geographic locations of library users and user’s library activity patterns, but also for the ability to identify library market areas for future library service planning. Additionally, results from a study of the Thiesen polygon and buffer functions indicated the distance impact on library use. Regarding the travel distance of library users, the measurement of distance using road networks was suggested.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교사의 특성 변인에 따른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도가 학교도서관의 정보․교육서비스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역할 활성화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분석 결과 사서교사는 업무수행에서 상사 및 동료와의 대화와 면담 등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과 수평적 커뮤니케이션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별, 경력, 학교 급 등 사서교사의 특성 변인에 따라서 이용자 교육, 도서관활용수업, 독서교육 프로그램 및 정보활용교육 운영 방식 등에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비공식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교과연계도서목록 제공이 증가하고 있으며, 수평적 커뮤니케이션이 정보활용교육을 활성화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교도서관 운영과 관련된 공동체 구성원에게 학교도서관의 비전과 목적을 알리고 책임과 역할을 분명히 하기 위해서는 수평적 커뮤니케이션 수단인 협조문, 위원회, 협의회 등을 활성화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여야 한다. 또한 비공식 커뮤니케이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사서교사의 리더십 개발, 동료교사에 대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위한 마케팅 전략 수립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of teacher librarians on the informational and educational service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f the school libraries' educational rol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eacher librarians have preferred informal communication by conversation and face-to-face talk with superiors or co-workers and horizontal communication during their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eacher librarians, such as career, gender and school levels, have influential effect on user education, library- assisted instruction, reading and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The more teacher librarians felt satisfaction of the informal communication, the more textbook-related reference lists are offered. Horizontal communication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However, teacher librarians should utilize cooperative statements, committees and councils and actively participate in those horizontal communication methods to share the vision and aims of school libraries with the larger school community. Teacher librarians also should put more efforts into developing their leadership role and marketing strategies in order to overcome the weaknesses of informal communication.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디지털도서관의 통합포털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모형을 개발하는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모형개발을 위해 먼저 도서관 포털에 대한 이론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그런 다음 5 가지의 주요 사례를 선정하여 포털의 주요한 특성을 구분하고, 도서관 포털이 갖추어야할 기본요건을 정의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 운영을 준비하고 있는 국립디지털도서관을 기반으로 국내 환경에 적합한 포털 서비스의 모형을 정의하고, 기본이 되는 검색과 참여 서비스의 구성요소를 제안하게 된다.

Abstract

This article describes a new proposal that is aimed at the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portal model of digital library. For this purpose, some of definitional issues for library portal are reviewed. And then, some of the more significant examples of library portals are scanned, with comments on major features that constitute the basic requirements of library portal development. Nextly, a new proposal of library portal model and basic components of search/participation services which can be defined as a integrated library services is presented.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