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비이용, 검색결과: 492
231
김은자(일본 규슈대학부속도서관 연구개발실 연구원) ; 남준낭(일본 규슈대학부속도서관 특별연구원) 2009, Vol.26, No.3, pp.395-415 https://doi.org/10.3743/KOSIM.2009.26.3.395
초록보기
초록

건축물로서의 도서관을 설계하고 나서, 이용자들이 사용하기 편리한 공간은 어떤 곳일까 하는 테마는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은 과천정보과학도서관을 이용한 이용자의 행동조사결과를 근거로 하여 도서관내의 공간배치 재구성을 제안하였다. 이것은 도서관이용자의 만족도 향상을 목표로 한 도서관 마케팅 관점에서 볼 때 큰 의의가 있다. 다음으로는 일본규슈대학부속도서관(중앙 도서관)의 도서관 이용자 테이블 이용 상황을 조사한 결과를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는 도서관 공간배치에 관하여 제언하였다.

Abstract

It is very important for libraries to provide their patrons with spaces that are used comfortably. In this paper, first we propose some improvement plans for space organizations of Gwacheon Public Library based on its patrons' behavioral research. It has a big meaning from the view of library marketing, which aims at improving patrons' satisfaction. Then we investigate how study tables are used based on the data taken at Kyushu University Library in Japan. Finally we put some proposals on libraries' space organization based on these investigation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J교육대학교 기록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기록정보서비스에 대한 인식 및 경험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서비스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아카이브 매트릭스 프로젝트(Archival Metrics Project)에서 대학기록관의 기록정보서비스를 평가하기 위해 개발한 이용자 설문지를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이용자들의 기록관에 대한 인식, 이용현황, 직원에 대한 평가, 시설 및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47명에 대한 이용자 설문 결과와 기록연구사와의 면담결과를 바탕으로 기록관의 서비스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users’ perceptions of and experiences about archival reference services in a university archive. The study uses the Researcher Survey provided by the Archival Metrics Project to understand users’ perceptions about the university archive and users’ satisfaction level of facilities and servi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mong 47 users and the interview with the archivist working in the university archive, this study suggests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archival reference service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저작권법의 도서관 예외규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국내 규정의 개선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 일본, 영국, 호주, 미국의 저작권법에서 도서관 예외규정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용자를 위한 복제물 제공, 보존을 위한 복제, 상호대차를 위한 복제, 도서관자료의 디지털화를 위한 복제 등이 대표적인 예외규정이었으나 그 세부 조건은 국가마다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저작권법의 도서관 예외규정에서 미공표저작물 및 구하기 힘든 저작물과 정기간행물에 대한 이용자용 복제의 분량 재조정, 제한된 조건하에서 이용자에게 디지털 복제물을 전송, 자체 보존용 복제가 가능한 조건 마련, 상호대차 근거규정 마련, 디지털화 대상범위 제한과 이용범위 확대 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provisions for library exceptions in copyright law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the revision of provision in the Copyright Act of Korea.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provisions for library exceptions in several countries’ copyright law including Korea, Japan, UK, Australia and USA. This study found that the most common issues in library exception provisions are providing reproduction for users, reproduction for preservation, reproduction for interlibrary loan and digitization of library collections but the conditions for each issue are quite different. The suggestions for the revision of the library exceptions in the Copyright Act of Korea are as follows: changing the amount of reproduction of unpublished works, of works which cannot be obtained at a fair price and of periodicals for users, the transmitting digital reproduction to the user under limited conditions, preparing conditions for reproduction for preservation in libraries, preparing the applicable provisions for reproductions for interlibrary loans and for the limitation of works to be digitized and extending their use at the same time.

234
김영주(한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권선영(한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22, Vol.39, No.3, pp.217-240 https://doi.org/10.3743/KOSIM.2022.39.3.217
초록보기
초록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요소가 중요해지면서 메타버스가 사회적 주목을 받게 되었고, MZ세대는 공공도서관의 주 이용 세대가 되었다. 이러한 흐름에 비추어 볼 때, 공공도서관의 주 이용자인 MZ세대를 위한 서비스를 도입할 필요가 있으며, 사회적 발전에 맞춘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MZ세대를 중심으로 설문조사와 반구조화 면담을 통해 메타버스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후, 공공도서관에서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메타버스 적용에 대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의 결과에 따라 본 연구에서 제언한 공공도서관의 메타버스 도입을 위한 방향은 첫째, 메타버스에 대한 기초적인 교육과 정보 제공 둘째, 소통을 바탕으로 한 커뮤니티를 장점으로 한 서비스의 제공. 셋째,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프로그램의 제공 넷째, 메타버스에 대한 사서들의 전문성 향상을 통한 사서에 의한 서비스가 제공. 다섯째, MZ세대를 위한 서비스 제공이다.

Abstract

As non-face-to-face elements became important due to COVID-19, the metaverse received social attention, and the MZ generation became the main users of public libraries. In light of this trend,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services for the MZ generation, the main users of public libraries, and to provide services tailored to social development.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the metaverse through questionnaire surveys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centered on the MZ generation, and then proposed a method for applying the metaverse to users in public librari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direction for the introduction of the metaverse in public libraries was suggested.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basic educat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metaverse.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services that take advantage of the community based on communication. Third, a program that is not constrained by time and space should be provided. Fourth, services by librarians should be provided by enhancing the librarians’ expertise on the metaverse. Fifth, services for generation M must be provided.

초록보기
초록

DLS(Digital Library System)는 학교도서관 관리자(사서교사)와 최종 이용자(일반교사 및 학생)에게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교육인적자원부에서 개발한 학교도서관 정보시스템이다. DLS는 현재 15개 시도교육청에 설치되어 있으며, 시도교육청 관내의 초중등학교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DLS는 서비스를 개시한지 2년 이상이 지났기 때문에 이용 실태와 현황을 분석하여 향후 학교도서관 관리자, 학생 및 교사를 대상으로 이용실태와 요구사항을 조사하여 향후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DLS(Digital Library System) have ben established by Ministry o Resources Development for providing the application services to each school library managers(teacher librarian) and front end users such as student s and teachers. DLS's are separately operated by 15 major metropolitan or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o cover all elementary, midle and high schols in Korea. There is a necess current status of DLS because it's system after starting a service 2 years passed. This study suggested to improvements strategies of DLS by survey from teac her librarian, subject teacher, students of 308 schools.

236
박지연(이화여자대학교) ; 김정은(대외경제정책연구원) ; 민윤경(포스코경영연구소) 2010, Vol.27, No.1, pp.249-267 https://doi.org/10.3743/KOSIM.2010.27.1.249
초록보기
초록

h-지수는 개인의 연구성과를 측정하는 지표로 지수의 강건성과 계산의 용이성 등이 인정되면서 이를 보완하는 다양한 변형지수들이 연구되었으며, 이 지수들을 이용하여 연구자 개인의 영향력 평가는 물론, 저널, 학과, 대학, 연구소 등 기관단위 평가를 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h-지수를 이용한 기관단위의 평가 방법으로는 기관 h-지수, 평균 h-지수, 메타 h-지수 등 세 가지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국내 10개 경영대학을 대상으로 h-지수 및 변형지수들의 특징 및 상관관계를 살펴 본 후, 위의 세 가지 방법을 모두 적용하여 각 방법론을 비교 분석하였다.

Abstract

The h-index is a new tool for measuring research outputs based on citation and many variants of h-index have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weaknesses of h-index. The h-index and its variants can be applied to institutional evaluation in three different ways. We worked out 447 practical cases of professors from 10 business schools and examined h-index and its variants. And then we compared three evaluation methods of research institution based on the h-index and its variants.

237
심원식(성균관대학교) ; 김성환(성균관대학교) 2007, Vol.24, No.4, pp.153-171 https://doi.org/10.3743/KOSIM.2007.24.4.15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이용이 매우 활발한 국내 학위논문의 원문 검색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개발한 커리어넷의 학과정보 분류체계를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 운영하는 RISS에 포함된 학위논문 정보에 적용한 것이다. 연구 결과 커리어넷의 학과정보 분류체계는 최근 3년간 국내에서 생산되거나 이용된 학위논문을 분류하는데 비교적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3개년 동안의 학과분류별 논문생산량과 논문이용량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학과분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suggests that improvement of theses and dissertations retrieval can be made by applying appropriate academic department classification. We applied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KRIVET)'s department classification to these and dissertations being serviced by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KERIS). The results show that the chosen classification appropriately represents diverse academic department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theses and dissertations either published or used within the recent three year period. The study also makes a number of suggestions that will facilitate the application of an academic department classification to a live system.

238
이두영(중앙대학교) ; 황혜전(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2, Vol.19, No.4, pp.322-348 https://doi.org/10.3743/KOSIM.2002.19.4.32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무선인터넷의 개념 및 특성을 고찰하고 도서관 무선인터넷 서비스의 국내외 현황과 이용자들의 이용실태 및 요구사항 등을 분석하였다. 도서관 무선인터넷 서비스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도서관의 전략적인 계획 및 홍보, 학생들의 선호하는 유형의 무선인터넷 서비스의 우선 도입, 무선인터넷 요금과 직관되는 무선인터넷 접속 시간을 줄이기 위한 서비스 메뉴의 엄선, 그리고 마지막으로 대학 당국의 일관성 있는 재정 지원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and measure the ways to activate the use of wireless internet services in university libraries. For this, 1 reviewed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wireless internet and investigated both local and foreign cases on wireless internet service of university libraries, library users'''' usage status, and their demands. Based on the case study and survey results, I suggest the strategic consideration and active publicity of university libraries, the introduction of the services students more prefer, the development of differentiated menus from ordinary wire internet services, and the consistent financial support of the university authority.

239
유종덕(경기대학교) ; 최은주(경기대학교) 2011, Vol.28, No.1, pp.123-144 https://doi.org/10.3743/KOSIM.2011.28.1.12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학문의 지적 구조를 분석하는 새로운 분석기법인 저자프로파일링분석과 전통적인 분석기법인 저자동시인용분석을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국내 연구환경에 맞는 지적 구조 분석 방법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인용색인을 이용하지 않고 학문의 지적 구조를 분석할 수 있는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저자프로파일링분석을 통하여 새로운 지적 구조 방법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대상 학술지는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를 대상으로 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compared Author Profiling Analysis(APA) to Author Co-Citation Analysis (ACA). The former is a new analytic technique on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a science whereas the latter is a traditional analytic techniqu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ppropriate methods to analyze intellectual structure of a science in the Korean research environment.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adopted APA using Text Mining for analysis on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a science rather than relying on citation index in order to determine a potential utility of the new analytic technique that can identify the intellectual structure.

240
김정희(세종연구소 자료전산팀) ; 김태수(연세대학교) 2009, Vol.26, No.3, pp.69-87 https://doi.org/10.3743/KOSIM.2009.26.3.069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국내 전문도서관을 대상으로 서비스 품질 차원 변수들의 이용자 만족도에 대한 상관성, 상대적 영향력, 차별적 영향력을 분석하여 이용자 만족도의 결정요인을 찾아내고, 이를 근거로 전문도서관의 이용자 만족도를 증대시키기 위한 경영개선의 실질적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괴리이론을 이용한 설문조사 결과 전문도서관 이용자들의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인식은 최소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서비스 품질 차원의 변수들과 만족도 영역간의 영향력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근거로 이용자 만족도를 효율적으로 증대시키기 위한 경영개선의 우선순위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Abstract

By exploring plausible relations between factors of service quality and user satisfaction, this study has derived significant determinants of user satisfaction. Based on the analytical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practical measures to enhance user satisfaction of special libraries. If we determine the priority order of three dimensions of service quality depending on specialized areas of special libraries, and revise the items of higher correlations with user satisfaction, then we could effectively and efficiently level up user satisfaction of special libraries.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