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libraries, 검색결과: 588
231
정혜경(KDI국제정책대학원대학교) ; 정은주(KDI 국제정책대학원) 2006, Vol.23, No.1, pp.121-138 https://doi.org/10.3743/KOSIM.2006.23.1.12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학술지 평가를 위한 경제성 분석 모형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이용한 사례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모형은 비용요소에 구독비용뿐만 아니라 제본, 주문, 그리고 클레임 등의 관리에 소요되는 총 비용을 포함하였으며, 편익요소에는 이용 빈도만을 다루었던 기존의 평가 모형과는 달리 유용성을 포함하여 종합적인 분석모형을 제시하였다. 유용성은 학술지가 기관의 성격에 맞게 유용하게 활용되었는지에 따라 등급으로 평가되도록 고안되었다. 이 모형은 최근 연구에 가장 중요한 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는 웹 기반 전자 학술지의 통계를 토대로 측정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KDI 국제정책대학원 도서관을 대상으로 한 사례분석에서 이용자의 연구 성과물에 활용된 학술지는 가장 높은 등급인 3점을 부여하였으며, 전문 다운로드나 검색에 활용된 학술지는 각각 2점과 1점을 부여하였다. 사례분석은 분석 결과 상위 20위에 포함되어 있는 학술지의 편익이 전체의 75%를 차지하며, 이용자의 유형별 학술지 이용 행태에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이 모형은 특히 전문 도서관의 사서들이 학술지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기본 틀을 제공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derive an economic analysis model for journal evaluation and conducts a case analysis based on the model. Total costs are calculated and include administrative fees (such as binding, ordering, claiming, etc.) and subscription costs. The model quantifies qualitative benefits to users, a utility that combines usage data that has also been evaluated in the existing economic analysis models. The model is designed to tallly the usage statistics of the web-based electronic journals, which have become important resources for research. Rankings are assigned based on how items are utilized to the goal of the mother institution. In the case study based on the KDI School Library, the highest ranking of 3 was assigned to journals that patrons used for citation in their outputs. For journals that were used background information, i.e. full text downloading or browsing, each was assigned ranking of 2 and 1,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top 20 journals provided 75% of the entire library utility, showing different user behaviors among different cohorts. We expect that the model makes it possible for librarians to measure the value of journals. It can provide a basic tool for journal selection, particularly in special libraries with custom needs.

232
김희정(국제백신연구소(IVI)) 2010, Vol.27, No.2, pp.117-127 https://doi.org/10.3743/KOSIM.2010.27.2.117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In this study, the author examined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research trends in abroad and Korea from the perspective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A was used to collect research data in abroad from 2007 to 2010 (a total of 225 research articles). Korean studies were investigated using DBPIA to compare research trends. Content analysis results based on subject category show that research in abroad increased consistently and electronic resources and collection-related subjects were frequently studied. In Korea, the electronic resources and collection-related research proportion was also high, and much research was done in the areas of bibliometrics. However,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researches did not increase in Korea between 2000 and 2010.

233
김성진(Syarcuse University, USA) ; 정동열(이화여자대학교) 2006, Vol.23, No.2, pp.21-37 https://doi.org/10.3743/KOSIM.2006.23.2.021
초록보기
초록

학문의 지식체계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일련과정으로 밀접하게 상호연관된 이론개발 및 이론활용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전제 하에,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연구논문의 이론개발 및 이론활용 사례의 양적/질적 측면을 조사함으로써 문헌정보학의 이론적 기반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세부주제영역에 따른 이론개발 및 이론활용 연구의 특성에 주목함으로써 문헌정보학의 이론적 기반 형성에 기여한 세부주제영역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84년부터 2003년에 출판된 1,661편의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22개의 세부주제영역 중에서 정보이용탐색, 정보검색, 도서관경영, 학술커뮤니케이션 영역이 이론개발과 이론활용의 모든 측면에 가장 큰 기여를 한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제영역별로 생산된 논문 수에 따른 이론적 연구의 비율을 살펴보았을 때, 계량정보학과 전문직 영역에 대한 연구가 매우 이론적인 특성을 보였다. 이 외에 각 세부주제영역별로 사용된 이론을 분석하였을 때, 일부 세부주제영역 간에 유사한 이론적 기반을 공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Based upon the assumption that both theory building and theory use are intertwined to construct a cohesive body of knowledge in the filed,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state of theoretical framework by examining the number and the quality of theoretical articles by subfield. Theoretical article is characterized as an incident in which in which the author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r the use of theory in his/her own paper. Theoretical incidents were identified by a content analysis of 1,661 articles in four LIS journals from 1984 to 2003.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four subfields, such as information seeking/use, information retrieval, library management, and scholar communication had great contributions to both theory building and theory use. Also, two research areas such as bibliometrics and professionals are very likely to be theoretical. Further, the analysis of the name of theories used by subfields could give an insight into the understanding of how the theoretical frameworks of each subfield are related.

234
김성혁(숙명여자대학교) ; 김진숙(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2006, Vol.23, No.2, pp.129-145 https://doi.org/10.3743/KOSIM.2006.23.2.129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은 초중등 학교도서관의 전자책 적정 구매 모델을 제안하기 위하여 전자책의 특성, 전자책 가격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그리고 가격결정모델과 구매방법에 대한 사례조사, 환경, 정부의 역할 등을 연구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전자책 구매를 위한 적정 모델을 제안하였고, 제안된 모델의 현실적 활용을 위해 공청회, 전국교육청 학교도서관 담당자 및 전문가 등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Abstract

This paper is studied in order to develop the models that are appropriate for the procurement of electronic books at the school libraries. To develop the model, the following factors were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an electronic book, the factor analysis that affect the electronic book price, use case, environment, the role of government for the price decision model and procurement method. The models were proposed based on the above analysis and review. In addition, the proposed models reflect various opinions that the school libraries can apply.

초록보기
초록

도서관 상호대차에 의한 원문복사서비스는 정보를 공동 이용하여 이용자의 정보요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한 진보된 형태의 서비스이다. 현재 상호대차에 의한 원문복사서비스의 면책 적용에 관해서는 해석이 분분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Fax 및 Ariel 시스템을 이용한 원문복사의 저작권 문제에 관한 법적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상호대차에 의한 원문복사서비스에 관한 국제적인 면책 적용의 동향을 검토하였다. 우리 현행저작권법에 입각한 원문복사서비스의 면책 적용에 대한 해석들을 분석하였고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원문복사서비스와 관련한 현행 저작권법상의 도서관 면책 규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법적 개정방안과 그 조문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가 제시한 법적 개정 방안은 2005년 또는 향후 도서관 면책 규정의 개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document delivery service is an advanced service to satisfy information need of end-user by the cooperative utilization of information. At present there are various interpretation on library exemption of the document delivery service by interlibrary loa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a legal pla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library exemption dealing with the document delivery service by Fax and Ariel system. The study examined the international trends on library exemption related to the document delivery service in foreign copyright laws, analyzed the library exemption related to the document delivery service in the present Korean copyright law, and pointed out the problems of the present library exemption. As the result of this analysis, the study suggested a revised plan of the present Korean copyright law in order to provide regulation of library exemption dealing with the document delivery service by interlibrary loan. Thus the revised plan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providing the regulation for the future of library exemption in Korea.

236
김보일(한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홍렬(전주대학교) 2021, Vol.38, No.4, pp.25-46 https://doi.org/10.3743/KOSIM.2021.38.4.025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작은도서관의 활성화 및 내실화 측면에서의 평가를 통해 작은도서관 운영의 질적 수준을 향상하고 자생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현행 작은도서관 평가지표 분석, 국내외 작은도서관 관련 평가지표 분석, 국내 타 관종 평가지표 분석, 작은도서관 운영자 및 관련 단체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의견수렴 등을 통해 작은도서관 평가체계 및 지표를 개선하여 제안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된 작은도서관의 평가체계는 단위 작은도서관을 대상으로 하는 트랙 1과 기초지방자치단체 평가하는 트랙 2로 구분된다. 작은도서관의 평가지표는 트랙 1 작은도서관에 대하여 통계를 통해 확인되는 지표는 생략하고 단순화하였으며, 작은도서관 운영에 따른 도서관 경영, 도서관 인프라, 도서관 서비스의 3개 평가영역, 8개 평가항목, 10개 평가지표 100점으로 구성된 정량평가와 20점 총 120점으로 된 정성평가로 구성하였다. 트랙 2 기초지방자치단체의 평가지표는 정성평가 없이 작은도서관 정책 수립 및 시행과 작은도서관 지원 등에 관하여 도서관 경영, 도서관 인프라의 2개 평가영역, 4개 평가항목, 5개 평가지표 100점으로 구성된 정량평가로 구성되어 있다.

Abstract

This study proposed the improvement in the evaluation systems and indicators of small libraries, by analyzing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the current small libraries, domestic and foreign ones and domestic other institutions, and gathering opinions from managers of them and experts belonging to related groups, in order to enhance the management quality of small libraries and strengthen the independence of them, based on the evaluation on the activation and substantiality of them. The evaluation systems proposed by this study is divided into Track 1 evaluating small libraries and Track 2 evaluating local governments.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small libraries was simplified by eliminating the indicators found from the statistics of Track 1 (small libraries). Track 1 consists of three evaluation areas in regard to the management of small libraries, such as library management, infrastructures and services, 8 evaluation items, 10 evaluation indicators, quantitative (a total of 100 points) and qualitative (a total of 120 points) evaluation. Track 2 consists of 2 evaluation areas in regard to the establishment and enforcement of small library policies and the support for small libraries, such as library management and infrastructures, 4 evaluation items, 5 evaluation indicators and quantitative evaluation (a total of 100 point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이용자에게 효율적인 도서관 및 정보이용안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하여, 도서관 FAQ의 구조적 특성과 질의내용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FAQ의 접근단계와 환경변화에 따른 안내항목을 제안하였다. 또한 도서관이용법과 관련된 도서내용과 FAQ질의 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새로이 추가되거나 강화되어야 할 내용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서관 이용에 관한 FAQ의 작성과 관련하여 포함되어야 할 사항의 결정은 물론 도서관 정보이용 교재개발 등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library users with the effective way of use on academic library and its collec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menu structure and question contents appearing at the FAQs of academic library Website were analyzed. And also, guidelines for effective use of a university library via FAQ at different access stages were propose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help both a Web designer to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efficient library FAQs and a creator of a library use guidebook.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녹색도서관을 인증함에 있어 도서관의 친환경성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개발하여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녹색도서관 관련 문헌 및 사례조사를 통해 도서관 녹색요소를 추출하였으며, 평가요소에 대한 도서관 직원들의 인식을 설문조사하였다. 최종적으로 11개의 평가영역, 31개의 평가항목, 135개의 평가지표를 가진 녹색도서관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11개의 평가영역은 토지이용 및 교통, 에너지 및 환경오염 방지, 재료 및 자원, 물순환 관리, 유지관리, 생태환경, 실내환경, 도서관 자원, 친환경 교육프로그램 및 캠페인, 직원 및 운영, 전산화 등이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propose the evaluation indicators to evaluate the eco-friendliness of the library, when certified as the eco-friendly Green Libraries. To do this, we extracted the green library components through an analysis of the green library literatures and case studies, and surveyed the perceptions of the library staffs about the assessment factors. Finally, we developed the green library evaluation index with 11 evaluation areas, 31 evaluation items, and 135 evaluation indicators. The 11 evaluation areas are as follows; Land use and transportation, energy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materials and resources, water cycle management, maintenance management, ecological environment, the indoor environment, the library resources, the eco-education programs and campaigns, the staff and operations, and the computerization.

239
정대근(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노영희(건국대학교) 2018, Vol.35, No.4, pp.51-75 https://doi.org/10.3743/KOSIM.2018.35.4.05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서비스 품질 평가 도구인 LibQUAL+를 활용하여 특화서비스를 제공여부에 따른 도서관 서비스 품질의 차이를 통해 공공도서관 특화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서비스 수준에 대한 평가 결과 특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과 그렇지 않는 도서관 차이에 최소수준 및 인식수준에 있어 차이가 나타났으며, 기대수준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정도는 특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 그렇지 않는 도서관 보다 적정성 갭 및 우위성 갭에서 대부분 높은 이용자 인식을 나타내고 있어,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은 특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이 그렇지 않는 도서관 보다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confirm the perception of the users for the public libraries specialized service through the difference in library service quality according to the availability of specialized services by utilizing ‘LibQUAL+’ that is a service quality assessment tool. As a results, there is difference in the minimum and perceived levels between libraries that provide assessment result specialized services for service levels and those that did not.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expected level. The degree of service showed generally higher user perception in the Adequacy Gap and Superiority Gap than libraries that do not offer specialized services. Therefore, the users of public libraries recognize that libraries that offer specialized services are better served than libraries that do not.

240
정혜경(KDI국제정책대학원대학교) ; 정은주(이화여자대학교) 2007, Vol.24, No.1, pp.187-208 https://doi.org/10.3743/KOSIM.2007.24.1.18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가치평가를 위한 새로운 접근방법을 모색하였다. 기존에 사용되던 가상가치평가법의 한계점을 지적하였으며, 아울러 이를 개선하기 위한 대안으로 Dissonance Minimizing(DM) 포맷을 적용한 가상가치평가법을 제시하였다. 가치평가의 도구로는 비용편익분석이 사용되었고 비용에는 서비스에 투입된 총 비용을, 편익에는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지불의사금액 (willingness to pay)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사례분석을 통해 ‘J 공공도서관’의 가치를 추정하여 DM 포맷이 공공도서관의 가치를 평가하는데 어떻게 사용되어지는지 보여주었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new approach to measuring the economic value of the public libraries, identifying and suggesting the modified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application. The modified CVM, which applied Dissonance Minimizing (DM) format, is presented as a new approach. A cost-benefit analysis is used as a tool to determine if the benefits of public libraries outweigh the cost incurred in providing the services. The benefits of public libraries are based on estimates of how much the user is willing to pay for the library services and costs are based on the prices of providing the services. A comparison between two methods are conducted in a case study in order to measure the economic value of 'J Public Library'. The study also conducts a case study to analyse the WTP value of the 'J Public Library' and demonstrates how public libraries approach the their local studies.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