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User studies, 검색결과: 368
초록보기
초록

지식관리 인프라의 구축에는 다양한 정보시스템간의 인터페이스와 통합이 필요하다. 특히 디지털도서관과 지식관리시스템은 조직 내·외부 지식의 유기적인 상호작용을 위해 통합적인 시각에서 구현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식관리의 주요 요소별로 두 시스템을 비교·분석하여 공통기반과 차이점을 도출하고 각각의 제한요소를 상호 보완할 수 있는 지식관리 통합모형을 제시하고자하였다. 정제된 외부지식을 적시적소에 공급하는 디지털도서관과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지식의 창출을 지원하는 지식관리시스템의 유기적인 연계와 통합은 지식관리의 성과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n interface or integration among various information system is needed to construct knowledge management infrastructure. Particularly, digital library and knowledge management system have to be implemented in the view of integration for activating interaction of organizational knowledge. So this study conducts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wo systems in the perspective of knowledge management key factors, and then explores the ways toward an integration model. The integration model is designed for activating user interface and consistent flow of knowledge. This model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ncrease the performance of knowledge management.

252
정혜경(KDI국제정책대학원대학교) ; 정은주(이화여자대학교) 2007, Vol.24, No.1, pp.187-208 https://doi.org/10.3743/KOSIM.2007.24.1.18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가치평가를 위한 새로운 접근방법을 모색하였다. 기존에 사용되던 가상가치평가법의 한계점을 지적하였으며, 아울러 이를 개선하기 위한 대안으로 Dissonance Minimizing(DM) 포맷을 적용한 가상가치평가법을 제시하였다. 가치평가의 도구로는 비용편익분석이 사용되었고 비용에는 서비스에 투입된 총 비용을, 편익에는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지불의사금액 (willingness to pay)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사례분석을 통해 ‘J 공공도서관’의 가치를 추정하여 DM 포맷이 공공도서관의 가치를 평가하는데 어떻게 사용되어지는지 보여주었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new approach to measuring the economic value of the public libraries, identifying and suggesting the modified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application. The modified CVM, which applied Dissonance Minimizing (DM) format, is presented as a new approach. A cost-benefit analysis is used as a tool to determine if the benefits of public libraries outweigh the cost incurred in providing the services. The benefits of public libraries are based on estimates of how much the user is willing to pay for the library services and costs are based on the prices of providing the services. A comparison between two methods are conducted in a case study in order to measure the economic value of 'J Public Library'. The study also conducts a case study to analyse the WTP value of the 'J Public Library' and demonstrates how public libraries approach the their local studies.

253
감미아(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지연(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23, Vol.40, No.1, pp.121-148 https://doi.org/10.3743/KOSIM.2023.40.1.12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우수한 성능의 메타데이터 속성 유사도 기반의 학술 문헌추천시스템’을 제안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조직에서 다루는 메타데이터의 활용과 계량정보학에서 다루고 있는 동시인용, 저자-서지결합법, 동시출현 빈도, 코사인 유사도의 개념을 활용한 문헌정보학 기반의 학술 문헌 추천기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실험을 위해 수집한 ‘불평등’, ‘격차’ 관련 총 9,643개의 논문 메타데이터를 정제하여 코사인 유사도를 활용한 저자, 키워드, 제목 속성 간의 상대적 좌표 수치를 도출하였고, 성능 좋은 가중치 조건 및 차원의 수를 선정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를 제시하여 이용자의 평가를 거쳤으며, 이를 이용해 기준노드와 추천조합 특성 분석 및 컨조인트 분석, 결과 비교 분석을 수행하여 연구질문 중심의 논의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는 저자 관련 속성을 제한 조합 혹은 제목 관련 속성만 사용하는 경우 성능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기법을 활용하고 광범위한 표본의 확보를 이룬다면, 향후 정보서비스의 문헌 추천 분야뿐 아니라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 대한 추천기법 성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cholarly paper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metadata attribute similarity with excellent performance. This study suggests a scholarly paper recommendation method that combines techniques from two sub-field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namely metadata use in Information Organization and co-citation analysis, author bibliographic coupling, co-occurrence frequency, and cosine similarity in Bibliometrics. To conduct experiments, a total of 9,643 paper metadata related to “inequality” and “divide” were collected and refined to derive relative coordinate values between author, keyword, and title attributes using cosine similarity. The study then conducted experiments to select weight conditions and dimension numbers that resulted in a good performance. The results were presented and evaluated by users, and based on this, the study conducted discussions centered on the research questions through reference node and recommendation combination characteristic analysis, conjoint analysis, and results from comparative analysis. Overall, the study showed that the performance was excellent when author-related attributes wer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title-related attributes. If the technique proposed in this study is utilized and a wide range of samples are secured, it could help improve the performance of recommendation techniques not only in the field of literature recommendation in information services but also in various other fields in society.

254
이다정(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석사과정) ; 이용정(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2019, Vol.36, No.4, pp.161-181 https://doi.org/10.3743/KOSIM.2019.36.4.161
초록보기
초록

사람들은 청소년기에 성적 지향이나 성 정체성에 대해 인식하기 시작하며, 청소년들은 성에 관한 민감한 건강정보 탐색을 위해 접근이 편하고 익명성이 보장된 지식검색 커뮤니티를 자주 이용한다. 본 연구는 지식검색 커뮤니티에 나타난 청소년들의 성 정체성에 관련된 질문과 답변을 바탕으로 그들의 정보탐색 행태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먼저, 그들의 정보 요구를 파악하고 그들이 공유한 질문에 제공된 답변들 가운데 채택된 답변과 비 채택된 답변의 특성을 비교하여 청소년들이 어떠한 답변을 선호하는지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의 대표적인 지식검색 커뮤니티인 네이버 지식iN에서 2016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3년간 채택된 답변과 비 채택된 답변으로 구성된 총 358세트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성 정체성에 관한 고민을 가진 청소년들은 성 정체성에 대한 정의나 혼란에 관한 정보 요구가 많았다. 이용자들이 채택한 답변에는 공감 및 긍정적인 느낌을 주는 요인들이 채택되지 않은 답변에 비해 많았으며, 반면에 채택되지 않은 답변에는 부정적인 요인들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 정체성이 확립되지 않은 청소년들이 가진 정보 요구와 정보탐색 행태를 분석하여 정보탐색 분야의 논의를 확장하고 건강정보 이용자의 정보 평가에 이용되는 인지적 및 감정적 모델을 검증했다는 데 학문적 의의가 있다. 또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소셜 미디어가 청소년에게 제공해야 할 성 정체성에 관한 효과적인 정보서비스에 대한 실질적인 함의를 제안한다.

Abstract

People begin to recognize sexual orientation or gender identity in adolescence, and adolescents frequently use an accessible and anonymous anonymity knowledge retrieval community to explore sensitive health information about gender. This study attempted to observe their information search behavior based on questions and answers about adolescents’ gender identity in the knowledge retrieval community. First, we wanted to examine their information needs and to investigate what factors they preferred to answer by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swers adopted with the non-adopted answers among the answers provided in the questions they shared. To this end, Naver, Korea’s representative knowledge search community. In Knowledge-iN, a total of 358 sets of data were analyzed, consisting of responses adopted over three years from January 2016 to December 2018. As a result, adolescents with concerns about gender identity demanded information about definition or confusion about gender identity. In the responses adopted by the users, the factors that gave empathy and positive feelings were higher than those that were not adopted, whereas the negative responses were higher in the unaccepted answ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the information needs and information search behaviors of adolescents with no established gender identity, expands the discussion in the information search field, and confirms cognitive and emotional models for information evaluation of health information users. Also,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propose practical implications for effective information services on gender identity that social media should provide to young people.

255
배경재(동덕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부교수) 2021, Vol.38, No.3, pp.199-214 https://doi.org/10.3743/KOSIM.2021.38.3.19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서 국내 공공도서관 노인서비스 현황을 파악하여 개선점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전국의 도시지역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수행한 결과 총 172개 도서관이 응답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공공도서관은 대체로 노인이용자의 중요성에 대해서 인식하고 있으나, 적극적인 대응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서관 장서 및 공간/시설에 대해 우선적으로 강화해야 할 영역은 큰활자․음성도서/정기간행물 장서 확충과 높은 서가의 책을 찾기 위해 직원에게 도움 요청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는 점으로 조사되었다. 도서관 서비스/프로그램의 경우 우선적으로 강화해야 할 영역은 사회참여 프로그램과 인문학 프로그램으로 분석되었다. 정보서비스 담당 사서들은 다른 노인서비스 기관과 차별화된 도서관만의 노인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노인세대의 계층을 세분화하고 보다 전문화된 서비스 및 프로그램을 기획하여야 한다는 의견을 개진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identifying the current state and improvements of the public library services for older adult in Korea. According to the online survey of public libraries in urban areas across the country, a total of 172 libraries responded. Research shows that public libraries generally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lderly users, but there are limitations in active efforts. The priority area for library collection and space/facilities was to be strengthened by the expansion of large type and voice books/periodical books, as well as the need to ask librarians for help to find books in high bookshelves. In the case of library services/programs, the areas that need to be strengthened first were analyzed as social participation programs and humanities programs. The librarians in charge of information services expressed their opinions that more specialized services and programs should be planned and subdivided for the elderly generation in order to provide older adults’ services unique to other older adults’ service institutions.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대구경북지역의 주요 대학도서관 중 전자정보실 또는 이와 유사한 자료실을 운영하고 있는 5개 대학의 전자정보실을 대상으로 담당자에 대한 설문조사와 면담을 바탕으로 운영상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인력과 규모 및 기기관련사항, 운영방법, 수행업무, 운영상의 문제점, 향후의 운영계획 및 장기발전방안에 관련된 현황을 분석하였다. 현황분석과 연구자의 전자정보실 업무수행경험을 바탕으로 전자정보실의 효과적인 운영 및 이용증진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현재 이 지역대학도서관의 전자정보실 현황은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으나, 그 실체에 대한 각 주체들의 공감대가 형성되지 못하였고, 전자정보실 자체의 종합적인 발전 목표 및 정책이 수립되지 못한 채 단기적인 계획 및 정책을 수립하고 운영되고 있다는 점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present conditions and operations of digital information rooms in the five selected university libraries located in Daegu and Kyoungpook area, with a special regard to the personnel, size of the room, facilities, collections, user instructions and public relations, and related tasks being done. It concludes with some suggestions and recommendations to improve the existing practices and the works in the room based on the result from this study.

257
김나름(연세대학교) ; 김태수(연세대학교) 2006, Vol.23, No.4, pp.69-87 https://doi.org/10.3743/KOSIM.2006.23.4.069
초록보기
초록

소설을 비롯한 문학작품에 대한 접근은 기술요소 중심이었고, 주제접근 역시 작품 속에 등장하는 소재, 인물명, 지명 등 형식 요소에 국한되어 왔다. 이러한 관행은 소설 주제의 본질을 놓친 것이며 미학적 경험을 추구하는 이용자의 주제요구를 반영하지 못한다. 이 연구에서는 소설 주제접근체계의 확장을 위해 상징 및 모티프의 개념과 주제접근점으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이와 함께 해당 용어사전을 정보원으로 활용하여 상징과 모티프 체계를 구성하고, 20세기 한국소설에 적용해 이용성과 한계점을 논하였다.

Abstract

The access to literary works, including fictions, has focused on descriptive elements, and the subject access has been confined to denotative elements such as the subject matter, name of character and geographical name, etc, which appear in the work. This practice will not lead to the essence of subject of fiction, and does not reflect the demand of users for the subject who pursue aesthetic experience. In this study, concepts of symbol and motif and their possibility to be used as subject access point are considered to enhance a subject access scheme. In addition, this study tries to build the scheme of symbol and motif by using the glossary as the source of information. The composed schemes are applied to 20th century Korean fictions and its usability and limits are discussed.

258
이두영(중앙대학교) ; 김희전(가톨릭대학교) 2003, Vol.20, No.2, pp.73-91 https://doi.org/10.3743/KOSIM.2003.20.2.073
초록보기
초록

1970년대 후반 북유럽을 중심으로 제조업 부문에서 시작된 서비스 품질 연구는 기업이 그들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하여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이게 되면서 활발해지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도서관도 예외는 아니어서 도서관의 경쟁력을 높이고 이용자들에게 보다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면의 모색이 어느 때보다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현실이다. 본 연구는 서비스 마케팅 분야의 대표적인 서비스 품질 평가 방법인 SERVQUAL과 SERVPERF를 적용하여 도서관의 서비스 품질을 평가하고 SERVQUAL과 SERVPERF중 어떠한 방법이 도서관 서비스 평가에 적합한 지를 평가하였다. 또한 서비스 품질과 이용자 민족간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Abstract

Research papaers on the service quality, which began with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 many Northern Europe at the end of 1970, have been found since the companies became much concerned about the level of services they offered. Libraries can not be an exception to this situation.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find a way to develop a competitive strategy to offer a high level of services to those who use libraries. The purpose of study to evaluate the quality of library services by applying "SERVQUAL" and "SERVPERF" of evaluating service quality and to determine which of these 2 methods is better in terms of measuring library services. The study also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ice quality and user satisfaction.

259
김희섭(경북대학교) ; 이세은(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 황혜경(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08, Vol.25, No.3, pp.339-355 https://doi.org/10.3743/KOSIM.2008.25.3.339
초록보기
초록

이 논문은 학술지가 지니는 다양한 속성들(내부적인 요소, 외부적인 요소, 그리고 요구론적 요소)이 학술지의 이용 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실증적 사례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사례연구의 방법은 웹 질문지법을 채택하였으며, K기관 원문서비스 이용자와 DDS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총 383개의 유효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학술지의 내부적인 요소(즉, IF, 학술지 가격, 사용언어)가 학술지 이용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술지의 외부적인 요소와 요구론적 요소는 학술지 이용가치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empirical case study is to explore what factors affect on the economic valuation of academic journals and to ascertain the degree of each impact. For this study, factor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internal factors, external factors and demand theory factors. The on-line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and 383 responded from individual users of and the persons in charge of the DDS(Document Delivery Servic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2.0 for Windows/PC.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exist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al factors of academic journals(i.e., Impact Factor, Cost, and Language) and economic valuation in terms of its use value.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은 북미 대학에서 한국학 장서 구축의 역사가 오래된 대학을 대상으로 그동안 구축된 한국학 장서의 현황 규모에 대한 적정성을 현장을 중심으로 객관적으로 조사 분석한 것이다. 장서와 이용자 그룹에 근거하여 ACRL 표준공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고, ARL 중앙값을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ACRL 기준에 따른 평가결과, 이 대학의 한국학 장서는 B 등급으로 평가되었고, ARL 비교치 결과에서도 비교 대상교 15개 중에서 중간정도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나서, 한국학 장서의 꾸준한 증가를 통해 한국학 교육과정 지원을 보다 충실히 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게 되었다.

Abstract

This paper evaluated the collection development of the Korean collection at the A university over the several decade. Compared against the ACRL standard Formula A, the result demonstrated that the Korean library collection is still needed to increase Korean collection to support Korean-related program and Korean community in the area. When we share western language materials in the library as the same area studies resources, we can evaluate Korean studies collection as Level B. Comparison with similar institutions (ARL comparisons) shows that the collection is the middle among 15 universities which provide Korean programs. The situation for Korean resources at the A university is needed to get more support from Korean institutes and Korean societies to keep up with the Korean collection for academics and regional community users as well.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