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users, 검색결과: 42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최근 5년간 미국에서 발표된 도서관학 및 정보과학 분야 학위논문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PQDT Global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된 1,016편의 박사학위 논문을 수집하여 각 논문의 관련 학문 분야를 나타내는 분야명들을 추출하고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분야명 간의 관계와 네트워크 전반에 걸쳐 다른 분야들과 관계가 있는 전역중심성이 높은 분야명을 파악하는 것과 동시에 군집분석을 통해 연관성 높은 분야명들이 어떠한 군집을 형성하는지, 각 군집 안에서 지역중심성이 높은 분야명들은 어떤 것들인지 살펴보았다. 103개 핵심 분야명 키워드를 이용한 네트워크 분석 결과 최근 5년간 미국의 도서관학 및 정보과학 분야 박사학위 논문의 관련 학문분야로는 컴퓨터 관련 분야, 교육 관련 분야, 커뮤니케이션 관련 분야 외에도 다양한 이용자 집단에 관한 연구와 정보시스템 관련 분야 등을 포함하여 26개의 군집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6개 군집들 중 정보과학을 중심으로 하는 군집에는 컴퓨터 관련 학문 분야명들이 다수 포함되었고, 도서관학을 중심으로 하는 군집에는 대부분 교육 관련 분야명들이 포함되었으며, 그 외에도 이용자 연구와 관련하여 특정 이용자 그룹과 관련된 젠더연구 분야나 정보시스템과 관련하여 경영학, 지리학, 의공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와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Abstract

The study examines the research trends of doctoral dissertations in Library Science and Information Science published in the U.S. for the last 5 years. Data collected from PQDT Global includes 1,016 doctoral dissertations containing “Library Science” or “Information Science” as subject headings, and keywords extracted from those dissertations were used for a network analysis, which helps identifying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the dissertations. Also, the analysis using 103 subject heading keywords resulted in various centrality measures, including triangle betweenness centrality and nearest neighbor centrality, as well as 26 clusters of associated subject headings. The most frequently studied subjects include computer-related subjects, education-related subjects, and communication-related subjects, and a cluster with information science as the most central subject contains most of the computer-related keywords, while a cluster with library science as the most central subject contains many of the education-related keywords. Other related subjects include various user groups for user studies, and subjects related to information systems such as management, economics, geography, and biomedical engineering.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보다 효율적인 정보서비스를 위한 주제화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및 제시한 주제화 모형의 구성과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대학도서관의 운영 패러다임은 논리성보다는 실용성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대학도서관의 효율적인 공간 활용, 장서 구분 및 서비스를 위해서는 ‘주제화’가 가장 바람직하다.주제화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해결이 선행되어야 한다.셋째, 대학도서관의 효율적인 정보서비스를 위한 주제화 모형으로는 ‘광역형 주제화 모형’을 제시할 수 있다. 1) 광역형 주제화의 공간모형은 중앙도서관의 경우 대학생을 위한 ‘학부전용도서관’으로 운영하고, 각각의 주제도서관은 연구를 위주로 하는 교수와 대학원생을 위한 ‘연구도서관’으로 운영하는 방안이다. 2) 광역형 주제화의 장서 모형은 중앙도서관(학부전용도서관)의 경우 학부생들의 과제 및 학습관련 자료를 제공하고, 각각의 주제도서관은 연구를 위한 서지 및 정보제공에 치중하는 방안이다. 기능적 업무담당사서를 배치하고, 주제도서관은 주제담당사서와 기능적 업무담당사서 그리고 주제와 연관이 있는 학과의 대학원생을 조교나 보조학생으로 확보해 서비스를 주제별과 이용자별로 차별화하는 방안이다.

Abstract

Second, the necessity of adopting subject divisional plan is to secure enough subject librarians and large space. These necessities must be fulfiled prior to adopting th e subject divisional plan. rvice of university library is 'wide-area subject divisional plan model'.1) In the case of central library, the space model of wide-area subject divisional plan is programed as undergraduate library for the undergraduate students. And each subject libraries is operated as research 2) In central library, the collection model of wide-area subjec t divisional plan is practiced as ofering reference and general education centered data for undergraduate students' study. And each subject libraries is furnished with research papers, recent journals, and various ma 3) The human resource model of wide-area subject divisional pla n is aplicated by aranging apropriate librarians at the right place. In the case of central library, the reference librarians and librarians who educate the users and take charge of function are set in to hel Subject library needs to secure subject librarians, librarians who take charge of function, and graduate students who are related to the subject as student assistant. T hen it is possible to discriminate reference service by subjects and users.

283
김은진(한국법제연구원 기록물관리전문요원) ; 구정화(한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22, Vol.39, No.4, pp.159-189 https://doi.org/10.3743/KOSIM.2022.39.4.15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인류의 자산이자 중요기록물인 세계기록유산의 홍보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초기 연구로, 국내 세계기록유산의 웹사이트를 통한 온라인 홍보현황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세계기록유산의 홍보의 의미를 정의하고 문헌연구를 통해 현황 분석을 위한 기준을 도출하였다. 홍보활동 분석영역을 홍보내용, 홍보유형, 홍보매체으로 나누고 세부 홍보항목과 내용을 설정하였다. 도출된 분석기준을 바탕으로 국내 세계기록유산을 소장 관리하고 있으며 온라인홍보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11개 기관의 21개 웹사이트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내용을 바탕으로 첫째, 세계기록유산의 홍보내용에는 보존가치와 활용가치가 상호 강조되어야 하며 둘째, 이용자 세분화를 통한 홍보가 이루어져야 하며 셋째, 관련 기록유산을 통합하거나 연결하는 시스템 및 서비스 구축하여 기록유산에 대한 이용자의 접근성을 높여야 하며 끝으로, 세계기록유산 홍보 관련 지침 또는 매뉴얼을 마련해야 할 것을 개선방안으로 제언하였다.

Abstract

The research aims to recommend strategies to promote PR activities of ‘the Memory of the World(MoW)’ on the websites. To achieve the goal,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current conditions of online PRs of the MoW in S. Korea by developing the standards/elements for analysis. The research examined the two main concepts of MoW and extracted the three core standards/elements for evaluating current online PRs of MoW through reviewing earlier studies: contents of PRs, ways of PRs, and features of media. The research examined PR activities on the 21 websites of 11 institutions which manage MoW in South Korea. The research found the significant features of the online PRs and suggested detailed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online PRs of MoW: first, it is required to emphasize the values of both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MoW equally.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PRs of MoW by using the way of ‘user segmentation’. Third, it needs to develop the unit systems and/or services to integrate with related documentary heritages so that users can access documentary heritages effectively and efficiently. Finally, it is required to develop the guidelines or/and manuals to conduct and promote the PRs of the MoW by providing specific directions and methods of publicities.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Emerging Web 2.0 services such as Twitter, Blogs, and Wikis alongside the poorly- structured and immeasurable growth of information requires an enhanced information organization approach. Ontology has received much attention over the last 10 years as an emerging approach for enhancing information organization. However, there is little penetration into current syst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ontology implementation and methodology.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limitations of traditional information organization approaches are addressed and emerging information organization approaches are presented. Two ontology data models, RDF/OW and Topic Maps, are compared and then ontology development processes and methodology with topic maps based medical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are addressed. The comparison of two data models allows users to choose the right model for ontology development.

285
박성재(Florida State University) ; Bradley Wade Bishop(University of Kentucky) 2011, Vol.28, No.2, pp.159-175 https://doi.org/10.3743/KOSIM.2011.28.2.159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valuate the navigability of three web-based mapping applications and to suggest how to improve the navigability of all web-based mapping applications. With these purposes, this study conducted a web-based survey congruent with a think aloud and systematic observation for individual participants, followed up by a focus group with all participants. Based on the findings, recommendations are proposed for web-based mapping applications that include a standard click and drag panning function in mapping applications, a scaled zooming option, increased text for icons and buttons, and other potential changes to computer hardware for increased navigability in these applications. By improving the navigability of web-based mapping applications, the learning time may be reduced for each application and the speed at which users’ geographic information needs are met will be quicker.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is exploratory study describes the social bookmarking perceptions and behaviors of students in university courses. Although an emerging discussion regarding the value of social bookmarking tools exists, how users adopt tools in practice is not well known. Students were asked to utilize the bookmarking tool del.icio.us to store information relating to course projects. They were also asked to comment how they employed del.icio.us for course projects. The study analyzed student perceptions and behaviors when using social bookmarking tools for university coursework. The study noted that the use of tags, notes, and networking within these social bookmarking tools remained less active and social bookmarking services in Web 2.0 as shared collaboration, shared communities, and vertical search were less present. Utilizing social bookmarking tools to facilitat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includes the activities of information use, information re-use, and mobility.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최근 열린 정부 데이터에 대한 다차원 척도, 모델 개발 연구가 시작되고 있으나, 도서관에서는 관련 연구가 부족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도서관에 적용할 수 있는 오픈 데이터 품질측정 모델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모델개발과 모델평가 두 단계로 수행하였다. 모델개발은 델파이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모델평가는 도서관 오픈 데이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모델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측정하였다. 모델개발은 델파이 기법을 적용하여 총 4차례 수행하여 3개 차원, 18개 요인, 133개 측정요소로 구성된 모델을 도출하였다. 모델평가는 델파이 기법으로 완성한 모델을 도서관 오픈 데이터 이용자인 국내․외 사서, 개발자, 오픈 데이터 활동가를 대상으로 적합성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모델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당초 18개 요인, 133개 측정요소는 15개 요인, 54개 측정요소가 타당성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도는 차원별, 측정요인별로 모두 기준치인 0.6 이상의 결과를 보여주고 있어 높은 신뢰도를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평가를 통한 이용자 타당도, 신뢰도 분석으로 전문가가 구성한 평가모델은 현장에서 즉시 활용될 수 있을 정도로 정제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draws on the current momentum to diversify open government data research through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model development. It formulates a quality assessment model applicable to library open data,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paucity of such research in the field. The model was developed using the Delphi method and verified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on the basis of a survey administered to library open data users. The results of the fourth round exhibited an average of 4.00 for all measured elements and a minimum validity of .75, rendering the model appropriate for use in quality assessments of library open data. The convergence and stability results provided by the expert panel fell below .50, confirming that there was no need to conduct further surveys in order to establish the validity of the Delphi method. The model's reliability likewise garnered results of .60 and above in all three dimensions. This Model completed with the input of the Delphi panel was put through a verification process in which library open data users such as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brarians, developers, and open data activists reviewed the model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model scored low on validity on account of its failure to load all measure factors and elements pertaining to the three dimensions. Reliability results, on the other hand, were at 0.6 and above for all dimensions and measured elements.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특정 주제 분야의 핵심적이고 전역적인 연구 동향을 제공하는 연구지원 정보서비스 개발을 위해 SPLC(Search Path Link Count) 분석을 적용할 때, 데이터의 범위와 인용빈도 설정에 대하여 탐험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Web of Science에서 검색된 RGB LED 분야의 2,318개 논문과 20,109개 상위 인용논문으로 5개의 데이터셋을 구성하였다. 각 데이터셋에서 히스토리오그래프와 SPLC 네트워크를 인용빈도 임계치를 변화시키면서 28개 주요 연구 동향 네트워크를 추출하여, 인용문헌의 포함여부와 인용빈도 임계치 설정이 SPLC 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특정 기관 소속 연구자들에게 SPLC 네트워크에 포함된 198개 주요 논문 리스트를 제공하고 피드백을 받음으로써, 전역적 연구 동향이 개인 연구자의 정보 요구에 부합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분석 대상에 상위 인용문헌 포함 여부와 인용빈도임계치에 따라 추출되는 SPLC 네트워크가 변화되었으나, 일정 인용빈도임계치값에서는 수렴하였다. 그리고 개인 연구자의 정보 요구는 SPLC를 통해 제공된 전역적 연구 동향과 출판년도의 차이는 있지만 대체적으로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나, 인용문헌을 포함하여 인용빈도임계치를 변화시키는 SPLC 분석을 통해 개인 이용자가 원하는 전역적 연구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이 탐색적 연구에서 제안된 방법을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ata coverage and citation threshold for analyzing SPLC(Search Path Link Count) as a main path of a historiograph of a certain topic in order to provide ‘core’ papers of global research trends to a researcher affiliated with a local R&D institution. 5 datasets were constructed by retrieving and collecting 2,318 articles on RGB LED on Web of Science published from 1990-2013 and 20,109 articles which cited these original 2,318. The SPLC analysis was performed on each dataset by increasing the threshold of citation counts, and the changes and resilience of the 28 extraced networks were compared. The results of user feedback on 198 unique core papers from 28 SPLC networks received from LED researchers affiliated with a Korean government-sponsored research institution were also analyzed.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nodes in each SPLC network in each dataset were differentiated by the citation counts, while the changes in the structure of SPLC networks were slight after the networks’ citation counts were set at 40. Additionally, the user feedback showed that personalized research interest generally matched to the global research trends identified by the SPLC analysis.

289
문성빈(연세대학교) ; 이미경(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김판준(연세대학교) 2009, Vol.26, No.1, pp.321-350 https://doi.org/10.3743/KOSIM.2009.26.1.32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전국적으로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 구축사업이 완료된 이후 약 5년이 경과한 현 시점에서 디지털자료실의 운영 현황을 조사․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디지털 자료실의 활성화와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그 결과, 무엇보다도 인프라 측면의 보완 및 개선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의 향후 운영 방안으로는 크게 디지털자료실 통합운영체계 구축과 디지털자료실 기능 다변화를 추진하여야 한다. 먼저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의 운영실태 조사 내용과 활성화 전략을 다각도로 검토한 결과, 현 시점에서는 디지털자료실에서 가능한 부문을 위주로 최대한 통합하여 운영하는 것이 최선의 대안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의 기능 다변화는 기존의 디지털자료실 기능에 다양한 유형의 원자료 및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정보의 제작뿐만 아니라 교육 기능, 참고정보서비스 기능, 온라인/오프라인 커뮤니티 형성 및 정보공유 활성화 기능 등을 추가 또는 강화하여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향후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은 단순한 인터넷 정보의 접근 및 이용을 위한 장소에서 사서와 이용자, 이용자와 이용자간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는 물론 정보나 지식의 공유 및 협력활동을 위한 온라인/오프라인 공간으로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methods for utilizing digital room in public library and its efficient operation by analyzing the status quo of the digital rooms in public libraries, which had been built nation-widely about 5 years ago. It is found that it is urgent to supplement and improve the infrastructure of them. It is also required to build multi-functional digital rooms and an integrated operational system for digital rooms. Implementation of an integrated operational system, first of all, for applicable sections of digital room may be the best alternative. The multi-functional digital rooms can be built, which, in addition to its traditional function, can include a variety of original information resources and function of information creation using application programs, as well as functions such as education, information services, online/offline community creation, and activating information sharing. In the future, the digital rooms in public libraries must play a significant role as online/offline spaces, which are not the places for use and access to internet information resource, but for information/knowledge sharing and collaborative activities. It also must provide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librarians and users as well as among users themselves.

290
장보성(국립중앙도서관 자료개발과) 2015, Vol.32, No.1, pp.297-316 https://doi.org/10.3743/KOSIM.2015.32.1.29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청각장애 대학생들의 도서관 이용행태와 정보요구를 파악하여, 그들에게 적절한 도서관 서비스 프로그램 등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수립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각장애 대학생에게 설문조사와 면접을 실시, 총 155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그 데이터를 빈도분석, 교차검증, t-검증, 일원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청각장애 대학생의 성별, 학년, 장애등급, 출신학교, 학과, 사용 보장구에 따라 도서관 이용형태(정보수집의 어려움, 도서관 이용횟수, 도서관 이용목적, 도서관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 전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하였다. 그리고 청각장애 대학생의 사용 보장구의 종류, 출신학교, 장애등급에 따른 정보요구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사용 보장구에 따른 정보요구(최신 자료 확충, 이용자 교육홍보, 수화통역사, 홈페이지 개선, 열람환경개선)는 전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출신학교에 따른 정보요구(이용자 교육홍보, 수화통역사 배치)와 장애등급에 따른 정보요구(이용자 교육홍보, 열람환경 개선)에서도 일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Abstract

This study looks into how hearing-impaired college students use libraries and what their information needs are in order to prepare basic materials which would be applied for developing a library service program and others proper enough to be used by the hearing-impaired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the study gathered data from a total of 155 hearing-impaired college students through a survey and interviews and a frequency analysis, a cross validation, a t-test and a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ata. At the end of its research,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hearing-impaired college students’ gender, years, degrees of disability, schools, specialties and prosthetic appliances would mak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ow the students use the libraries. In addition, the study took a look into differences in the hearing-impaired college students’ information needs caused by types of the students’ prosthetic appliances, schools and degrees of disability and found out that these types of the prosthetic appliances the students use would significantly affect every category of their information needs. The study now also understands that both the schools and the degrees of disability would mak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 few categories of the information needs, and the former influences education and promotion targeting users and arrangement of sign language interpreters while the latter affects education and promotion targeting users and improvements in browsing environments.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