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청각장애 대학생들의 도서관 이용행태와 정보요구를 파악하여, 그들에게 적절한 도서관 서비스 프로그램 등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수립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각장애 대학생에게 설문조사와 면접을 실시, 총 155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그 데이터를 빈도분석, 교차검증, t-검증, 일원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청각장애 대학생의 성별, 학년, 장애등급, 출신학교, 학과, 사용 보장구에 따라 도서관 이용형태(정보수집의 어려움, 도서관 이용횟수, 도서관 이용목적, 도서관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 전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하였다. 그리고 청각장애 대학생의 사용 보장구의 종류, 출신학교, 장애등급에 따른 정보요구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사용 보장구에 따른 정보요구(최신 자료 확충, 이용자 교육홍보, 수화통역사, 홈페이지 개선, 열람환경개선)는 전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출신학교에 따른 정보요구(이용자 교육홍보, 수화통역사 배치)와 장애등급에 따른 정보요구(이용자 교육홍보, 열람환경 개선)에서도 일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This study looks into how hearing-impaired college students use libraries and what their information needs are in order to prepare basic materials which would be applied for developing a library service program and others proper enough to be used by the hearing-impaired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the study gathered data from a total of 155 hearing-impaired college students through a survey and interviews and a frequency analysis, a cross validation, a t-test and a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ata. At the end of its research,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hearing-impaired college students’ gender, years, degrees of disability, schools, specialties and prosthetic appliances would mak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ow the students use the libraries. In addition, the study took a look into differences in the hearing-impaired college students’ information needs caused by types of the students’ prosthetic appliances, schools and degrees of disability and found out that these types of the prosthetic appliances the students use would significantly affect every category of their information needs. The study now also understands that both the schools and the degrees of disability would mak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 few categories of the information needs, and the former influences education and promotion targeting users and arrangement of sign language interpreters while the latter affects education and promotion targeting users and improvements in browsing environments.
국립중앙도서관. (2008). 청각장애인 지식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중장기적 발전 계획.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2013). 청각장애인을 위한 거점도서관 운영 모델 개발. 국립중앙도서관.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학 용어사전.
김영욱. (2009). 청각장애아동 교육의 이해:학지사.
미래창조과학부. (2014). 2013 장애인 정보격차 실태조사. 한국정보화진흥원.
박정식. (2013). 고등교육 환경에서의 전환 활동이 발달장애대학생의 직업능력과 학업능력에 미치는 효과. 지적장애연구, 15(2), 81-103.
보건복지부. (2013). 청각․언어장애인(농아인)의 의사소통 접근성 강화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옥정달. (2005). 국내 청각장애관련 학위논문 현황분석.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6(1), 37-56.
옥정달. (2014). 청각장애대학생의 직업의식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3(3), 155-176. http://dx.doi.org/10.15870/jsers.2014.09.53.3.155.
윤중오. (2013). 청각장애인을 위한 직업훈련 영역별 교수-학습 모형 개발. 장애와 고용, 23(2), 81-118. http://dx.doi.org/10.15707/disem.2013.23.2.004.
윤희윤. (2013). 장애 대학생의 도서관 서비스 만족도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2), 5-24. http://dx.doi.org/10.4275/KSLIS.2013.47.2.005.
이준우. (2009). 청각장애인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 정책 방안. 도서관, 64(1), 28-52.
조혜전. (2012). 국내 공공도서관의 청각장애인 서비스 지침 개선에 관한 연구.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43(2), 223-244. http://dx.doi.org/10.1633/JIM.2012.43.2.223.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4 장애인 통계.
와타나베 오사무. (2012). 聴覚障害者への図書館サービス. http://dl.ndl.go.jp/view/download/digidepo_8697423_po_h24kouza_09.pdf?contentNo=17&alternativeNo=.
ASCLA. (1996). Guidelines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for the American Deaf Community. http://www.ala.org/ascla/asclaourassoc/asclasections/lssps/lspdhhf/lspdhhf.
IFLA. (2000). Guidelines for Library Services to Deaf People. http://www.ifla.org/files/assets/hq/publications/professional-report/62.pdf.
Moores, D. F.. (1996). Education the Deaf: Psychology, principles and practices:Houghton Mifflin Company.
WHO(World Health Organization) Deafness and hearing loss.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300/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