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검색어: libraries, 검색결과: 34
초록보기
초록

국외의 선행연구들에서 도서관이 온라인 학습 모델의 발전에 발맞추어 도서관 이러닝 플랫폼을 운영하고 이를 분석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수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도서관 서비스나 교육의 온라인화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은 인지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시하는 연구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공공도서관에서 온라인 교육의 지속적인 운영을 위해 실제 활용할 수 있는 이러닝 플랫폼을 제안하고 이의 설계지침 도출 및 이를 반영한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방법으로 래피드 프로토타입(Rapid Prototyping) 방법론을 적용하였으며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교육용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Moodle LMS를 선정하여 1차 설계지침을 도출하고 이를 적용하여 1차 도서관 이러닝 플랫폼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한 전문가와 이용자의 타당도와 신뢰도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평가 내용을 반영하여 총 4개의 주요 기능, 8개 세부 기능, 39개의 세부 지침으로 구성된 최종 설계지침과 도서관 이러닝 플랫폼의 프로토타입을 확정하였다.

Abstract

International research has actively explored and analyzed the implementation of e-learning platforms by libraries in response to the advancement of online learning models. In contrast, within Korea, while the significance and necessity of online library services and education are acknowledged, there remains a paucity of studies providing detailed methodologies for their implementation.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practical e-learning platform for public libraries, detailing design guidelines and developing a prototype. Utilizing the Rapid Prototyping methodology, this study reviewed theoretical backgrounds and prior research, selecting Moodle LMS for initial design guideline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were assessed by experts and users.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s, the final design guidelines and prototype of the e-learning platform for libraries were established. The final guidelines consist of four main functions, nine detailed functions, and forty specific instruction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정보 리터러시 교육과정인 ‘도서관과 정보생활’과 국내외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를 비교 분석하여, 정보 리터러시 기반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용 범위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정의 공통 영역과 학습 요소를 추출하고,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과의 내용 매핑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중학교 과정에서는 정보 활용, 창작 및 공유, 디지털 윤리 영역에서 일치점을 보였으나, ‘도서관과 정보생활’에서는 ICT 활용, 소통 및 협업 역량이 언급되지 않았다. 고등학교 과정인 ‘미디어와 정보생활’에서도 ICT 활용과 소통 및 협업 역량은 여전히 제한적으로 다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정보 리터러시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리터러시의 수용 범위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연구 결과는 향후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 개정 시 디지털 리터러시 영역의 적용 범위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ntent structures of the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Library and Information Life’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digital literacy curricula to discuss the scope of digital literacy integration based on information literacy. Common areas and learning elements were extracted from domestic and international digital literacy curricula and mapped against the ‘Library and Information Life’ curriculum. Results showed that while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aligned in information literacy, creation and sharing, and digital ethics, ‘Library and Information Life’ did not mention ICT utilization,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competencies. The high school ‘Media and Information Life’ curriculum also addressed ICT utilization,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competencies in a limited manne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proposing a concrete discussion on the scope of digital literacy integration based on information literacy. The findings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determining the scope of digital literacy application when revising the ‘Library and Information Life’ curriculum in the future.

김현희(명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명예 교수) ; 김용호(부경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명예 교수) 2024, Vol.41, No.1, pp.261-282 https://doi.org/10.3743/KOSIM.2024.41.1.26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 도서관의 콘텐츠를 탐색하는 동안 이용자의 암묵적 적합성 피드백을 활용하여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해 뇌파 기반 및 시선추적 기반 방법들을 제안하고 평가해 보았다. 이를 위해서 32명을 대상으로 하여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데이터를 활용하여 뇌파/시선추적 실험들을 수행하였다. 제안된 방법들의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딥러닝 기반의 인공지능 방법들을 경쟁 기준으로 사용하였다. 평가 결과, 주제에 적합한 동영상과 이미지(얼굴/감정)를 선택하는 데에는 뇌파 컴포넌트 기반 방법들(av_P600, f_P3b)이 높은 분류 정확도를 나타냈고, 이미지(객체)와 텍스트(신문 기사)를 선택하는 데에는 인공지능 기반 방법 즉, 객체 인식 기반 방법과 자연언어 처리 방법이 각각 높은 분류 정확도를 나타냈다. 끝으로, 뇌파, 시선추적 및 인공지능 기술에 기반한 디지털 도서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한 지침 즉, 암묵적 적합성 피드백에 기반한 시스템 모형을 제안하고, 분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미디어별로 적합한 뇌파 기반, 시선추적 기반 및 인공지능 기반 방법들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proposed and evaluated electroencephalography (EEG)-based and eye-tracking-based methods to determine relevance by utilizing users’ implicit relevance feedback while navigating content in a digital library. For this, EEG/eye-tracking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32 participants using video, image, and text data. To assess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methods, deep learning-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iques were used as a competitive benchmark. The evaluation results showed that EEG component-based methods (av_P600 and f_P3b components) demonstrated high classification accuracy in selecting relevant videos and images (faces/emotions). In contrast, AI-based methods, specifically object recognition an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showed high classification accuracy for selecting images (objects) and texts (newspaper articles). Finally, guidelines for implementing a digital library interface based on EEG, eye-track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have been proposed. Specifically, a system model based on implicit relevance feedback has been presented. Moreover, to enhance classification accuracy, methods suitable for each media type have been suggested, including EEG-based, eye-tracking-based, and AI-based approaches.

노연주(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AI융합교육전공, 영통중학교 사서교사) ; 유지원(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AI융합교육전공 부교수) 2024, Vol.41, No.1, pp.439-463 https://doi.org/10.3743/KOSIM.2024.41.1.439
초록보기
초록

최근 학교도서관은 교과융합수업을 실행하고 수업 콘텐츠를 개발하는 역할을 요구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융합교육 플랫폼의 역할이 가능하도록 학교도서관의 독서 활동과 인공지능 교육을 융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중학교 수업에 적용한 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은 인공지능 주제와 연관된 독서 활동을 통해서 인공지능의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고, 인공지능 교육용 도구를 활용하여 생활 속 문제 상황을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창의적 문제해결 함양을 목표로 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18차시(6회기)로 개발하였고, 2022학년도 경기도 A중학교의 학교도서관 자유학기 주제선택 수업에 참여하는 1학년 36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사전-사후 차이를 대응표본 t-test로 수행한 결과, 인공지능 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을 수강한 학습자의 수업 태도와 독서 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교도서관과 연계한 인공지능 융합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demand for school libraries to take on the role of curriculum convergence and content development. This study purposed to develop a program that integrates reading activitie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education in a middle school library as a platform for convergence education. The program aimed to enhance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by integrating an understanding of AI concepts and principles through reading activities related to AI topics. The program, comprising 18 sessions (6 modules), was implemented with 36 first-year students at A Middle School, Gyeonggi-do, in 2022. After implementation, a paired-sample t-test reveal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I learning self-efficacy and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Participants also showed positive attitudes toward class engagement and reading activities. Implications for AI convergence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school libraries were discussed.

홍명아(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박사과정) ; 심원식(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24, Vol.41, No.3, pp.33-61 https://doi.org/10.3743/KOSIM.2024.41.3.033
초록보기
초록

OA 출판의 확산과 더불어 학술생태계에 큰 변화가 나타났고 그 중심에 부실 학술지 이슈가 있다. 대학도서관 사서들은 부실 학술지 문제에 대응하고 연구자를 지원하는 학술생태계의 중요한 구성 요소 중 하나이다. 그러나 국내외에서 대학도서관 사서들이 실제로 부실 학술지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국내의 대학도서관 사서들이 부실 학술지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는 탐색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2024년 4월 10일부터 5월 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78명의 응답을 수집하였다. 계량적인 데이터 분석 결과, 국내의 대학도서관 사서들은 부실 학술지와 관련해 다양한 인식 수준을 가지고 있었으며, 군집분석 결과 서비스 준비 및 의향 측면에서 잠정적으로 4개의 집단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도서관이 부실 학술지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도서관과 연구자 간의 협력 강화 및 사서들에 대한 재교육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부실 학술지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자 한 최초의 연구로서 학문적 의의를 가지며, 향후 대학도서관이 부실 학술지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Abstract

The emergence of Open Access (OA) and other changes to the academic publishing ecosystem have made the prevalence of predatory journals a significant concern. Academic librarians play a crucial role in the academic environment that protects researchers and takes action against predatory journals. Nonetheless, there isn’t many research that looks into how academic librarians view and handle predatory journals. This study aims to give an exploratory analysis of the overall perceptions of predatory journals among university librarians in South Korea.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academic librarians between April 10 and May 1, 2024, and 78 respondents’ answers were examined.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opinions among South Korean academic librarians on predatory journals are not all uniform. Based on their readiness and willingness to supply services, the respondents could be roughly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cluster analysis. The study affirms that training librarians and improving cooperation between academic libraries and researchers are critical prerequisites for the advancement of services aimed at predatory publications. We anticipate that this study, which is the first of its type to explore how academic librarians in South Korea see predatory journals, will be a valuable starting point for university libraries as they plan and offer services related to predatory journals in the future.

이지원(대구가톨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 이성숙(충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2024, Vol.41, No.1, pp.367-387 https://doi.org/10.3743/KOSIM.2024.41.1.36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새로운 표준과 규칙의 제정이 이루어지고 또한 향후 예고되어 있음으로 큰 변화의 과정을 거치고 있는 목록학에 있어 그동안 연구가 거의 없었던 해외 연구들의 최근 동향과 지적 구조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 이후 14년간 발행된 논문 680편을 수집한 후, 이로부터 전처리를 거쳐 추출한 1,942개의 저자 키워드를 분석해보았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외 목록학 연구는 2017년 이후 주목할만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었다. 둘째, 상위빈도 연구주제는 편목, 메타데이터, RDA, 대학도서관, 전거 제어, 링크드 데이터, FRBR, 목록, LCSH, 도서관, 온라인목록이었다. 셋째, 연구주제들은 크게 도서관 목록의 전통적인 부분과 관련된 것과 최근 들어 더욱 활발하게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주제인 전거제어와 협동편목, RDA, 링크드데이터와 관련된 2개의 군집으로 나눌 수 있었고, 이를 14개 소군집으로 세분하여 분석하였다. 넷째, 키워드 군집 14개의 성장지수와 표준 성과지수를 살펴본 결과, 하나의 군집을 제외하고는 학문 분야의 성장의 측면에서 모두 성장을 나타내는 수치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향후 국내 학계와 현장을 위한 목록의 발전 양상 예측하기 위한 기초자료 및 관련 교육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cent trends and intellectual structure of international research in the field of catalog, which is undergoing a major change due to the enactment of new standards and rules and the anticipated future. For this purpose, we collected 680 articles published in the 14 years since 2010 and analyzed 1,942 author keywords extracted from them after preprocessing. The main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overseas cataloging research has seen notable growth since 2017. Second, the most frequent research topics were: cataloging, metadata, RDA, university libraries, authority control, linked data, FRBR, catalog, LCSH, libraries, andonline cataloging. Third, the research themes were divided into two clusters, one related to the traditional aspects of library cataloging and the other related to the more recently discussed topics of authority control, cooperative cataloging, RDA, and linked data, which were further subdivided into 14 subclusters. Fourth, we looked at the growth index and standard performance index of the 14 keyword clusters and found that all but one cluster showed growth in terms of discipline growth.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be used as a basis for predicting the future development of inventories for Korean academia and the field and for related education.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문헌 검토를 통해 글로벌 학술 커뮤니케이션과 학술지 국제화의 현 상황과 과제를 논의하였다. 글로벌 학술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학술지 국제화를 정의하고, 지식의 보편성, 포용성 및 서지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과 연구 커뮤니티 주도의 글로벌 학술커뮤니케이션에 장애가 되는 현황을 논의하였다. 특히, 영어와 서구권 중심의 글로벌 학술 커뮤니케이션, 글로벌 대형 상업 출판사의 독점적 주도,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이 학술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 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건전한 글로벌 학술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비과금 오픈 액세스(Diamond OA) 및 리파지토리 기반 오픈 액세스(Green OA) 출판 모형과 다언어 학술 정보 시스템의 구축을 제안하였다. 또한, 국제적, 국가적 협력과 정책 개발, 대학 도서관 및 도서관 연합체의 역할, 연구자, 대학, 학술 단체의 인식 제고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글로벌 학술 커뮤니케이션 환경의 포용성과 다양성을 확장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discusses the current state and challenges of global scholarly communication and the internationalization of scholarly journals. This study defines journal internationalization from the viewpoint of global scholarly communication and examines how the pursuit of knowledge universality, inclusiveness, and bibliodiversity, as well as scholar-led global scholarly communication, are being impeded. It proposes no-fee OA and repository-based OA journal publishing models and the development of multilingual scholarly information systems as a means to foster healthy global scholarly communication. Additionally, the study discusses the significance of international and national support and policy development, the roles of university libraries and library consortia, and the awareness of researchers, universities, and learned societies in promoting global scholarly communication.

이현아(전남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장우권(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24, Vol.41, No.2, pp.317-351 https://doi.org/10.3743/KOSIM.2024.41.2.317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을 이용한 중․장년층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이 중․장년층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해 G 지역에 거주하는 40~64세의 중․장년층 19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통계 패키지 SPSS 27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 방법은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사후 검증으로 Duncan 방법, 회귀분석 등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이 중․장년층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이 향상될수록 중․장년층의 삶의 만족도가 높아졌다. 둘째, 전체 조사 대상자의 성별, 학력, 직장 여부, 월 평균 수입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은 내가 하는 일(학업이나 업무 활동 등)에 영향을 미쳤고, 최종학력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은 삶의 만족도에서 여가 및 문화생활에 영향을 미쳤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impact of digital literacy skills of middle-aged and older people using public libraries on their life satisfaction.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192 middle-aged and older people aged 40 to 64 living in area 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27 program. The analysis methods in this study includ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for post-hoc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igital literacy competency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and older adults; as their digital literacy skills improve, their life satisfaction increases. Second, digital literacy competency varies based on gender, education level, employment status, and average monthly income, influencing their engagement in activities such as study or work. Additionally, higher levels of digital literacy competency, as determined by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positively affect life satisfaction, leisure activities, and cultural life.

김지수(한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석사) ; 정유경(명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24, Vol.41, No.3, pp.309-330 https://doi.org/10.3743/KOSIM.2024.41.3.3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국내외 연구지원서비스에 대한 주요 연구 주제를 파악하고 비교․분석함으로써 향후 국내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결과, 오픈 액세스와 대학도서관의 연구지원서비스, 교육과 관련된 주제들이 나타났으며, 국내에서는 12개, 국외에서는 15개의 주요 연구주제들이 추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오픈 액세스 분야에서는 디지털 기술, 데이터 관리, 대학도서관의 연구 데이터 관리, 디지털 연구지원서비스 등에 대한 심층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도서관과 관련해서는 디지털 연구지원서비스를 세부 유형별로 분석하는 연구, 연구 데이터 관리와 관련한 정보 전문가의 역할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미래 연구방향성에 대한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국내 연구지원서비스 연구를 수행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nd compare the primary research topic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support services through topic modeling. The analysis revealed 12 major topics in domestic studies and 15 in international ones. Th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in-depth research on digital technology in open access, data management, research data management in university libraries, and digital research support services. Furthermore,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has been identified to analyze specific types of digital research support services and to explore the evolving role of information professionals in research data manage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mprehensively analyzes existing research and provides guidance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한상은(성균관대학교 사서교육원 강사) ; 도슬기(한성대학교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조교수) 2024, Vol.41, No.1, pp.509-536 https://doi.org/10.3743/KOSIM.2024.41.1.5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소규모의 디지털 아카이브인 국채보상운동 디지털 아카이브의 개인과 단체 전거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메타데이터 AP를 개발하는 것이다. 도서관과 기록관의 개인/단체 메타데이터 표준, 구축 사례 및 지침을 분석하여 설계 원칙과 핵심적인 메타데이터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국채보상운동 개인/단체명 시소러스 데이터, 위키데이터 연계 메타데이터 모델과 매핑하여 최종적으로 식별영역 10개 요소, 내용영역 14개 요소, 관계영역 8개 요소, 통제영역 4개 요소를 도출하였다. 소규모의 기관에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단순 구조 스키마를 적용하였고, 상호운용성을 위해 DublinCore, SKOS 스킴을 참고하여 스키마를 제안하였고 실제 데이터를 토대로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데이터 관리의 중요성은 알지만, 실제적인 적용이 어려운 기관에서 전거데이터 관리 체계를 마련하고자 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tadata AP for managing the person and organization name authority data in the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 Digital Archive, a small-scale digital archive. The design principles and core metadata elements were derived by analyzing person/ organization(group or corporateBody) metadata standards, implementation practices, and guidelines of libraries and archives, and mapped to the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 person/organization name thesaurus data and the Wikidata Linked Metadata Model, resulting in 10 elements in the identification area, 14 elements in the content area, 8 elements in the relationship area, and 4 elements in the control area. A simple structure schema was applied so that it can be applied even in small organizations, and for interoperability, the schema was proposed with reference to DublinCore and SKOS schemes, and the applicability was confirmed based on actual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basis for institutions that recognize the importance of data management but have difficulty in applying it in practice, when they want to prepare a system for managing their own authority data.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