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libraries, 검색결과: 588
361
노영희(건국대학교) ; 최원태(건국대학교) ; 윤다영(건국대학교) 2014, Vol.31, No.4, pp.69-102 https://doi.org/10.3743/KOSIM.2014.31.4.06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전문도서관의 활성화를 위해 교과서전문도서관의 서비스를 통합하여 제공할 수 있는 포털사이트의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교과서전문도서관 및 포털사이트 구축․운영 관련 선행연구 관련사례를 조사․분석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설문을 개발하여 교과서 관련 정보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교과서종합목록 및 각종 콘텐츠 구축, 소장자료의 디지털화 프로젝트 수행, 교과서관련 각종 참고자료 수집 및 제공, 주제별 교과서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교과서 관련 연구출판물의 통합수집 및 제공, 교과서 관련 기관과의 협력네트워크 구축, 포털사이트의 적극적인 홍보 등이 교과서관련 전문도서관의 활성화를 위해 요구되는 사업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In this study, we propose an approach of building a portal site that can offer integrated services for textbook through special librarie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previous related studies and investigated textbook portal construction sites domestically and abroad. Based on this research, we developed survey questions and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users of textbook libraries. As a result, the following projects are required for creating a textbook library: a comprehensive list of textbooks and other content construction, digitization projects of library holdings, collection and delivery of various textbook-related reference books, building a textbook database by topic, collecting and providing textbook-related research publications, a cooperation network with textbook-related organizations, and active promotion of portal sites.

362
장선화(서울경제신문 편집부) ; 한상완(연세대학교) 2004, Vol.21, No.3, pp.269-287 https://doi.org/10.3743/KOSIM.2004.21.3.269
초록보기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theoretical framework and practical methodology to extend the scope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y incorporating the usability evaluation of e-book, which has considerably increased in proportion in the digital library. By surveying e-book users an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rebuilding a set of usability evaluation factors for e-books is necessary to activate e-books in the digital libraries. This study inclusively presents a conceptual model of e-book usability evaluation and suggests guidelines for usability principles. 攀*** 본 연구는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의 일부를 요약한 것임.*** 서울경제신문 편집부 문화레저부 기자(india2121@empal.com)****연세대학교 문과대학 문헌정보학과 교수(swhan@yonsei.ac.kr) 논문접수일자 : 2004년 8월 19일 게재확정일자 : 2004년 9월 10일攀攀

Abstract

초록보기
초록

대학에서 효과적인 연구와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정보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찾아내고 평가하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한 정보활용교육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국내․외 단체와 학자들에 의해 제시된 정보활용능력 기준 및 모형과 정보활용교육 사례를 기초로 대학생을 위한 정보활용교육 교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정보활용교육은 1회성 교육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정규교과목으로 운영되어야 하며, 대학도서관 정보와의 연계 및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 그리고, 대학도서관 및 사서의 역할에 대한 전략적 측면의 고려를 위해 도서관 전문사서의 주도적 또는 협력적 역할이 필수적이다. 또한, 현 세대의 성향과 요구를 반영한 내용구성의 변화와 학생들의 주체적이고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방법적 측면의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which deals with the ability for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information, finding, evaluating, and using the information effectively is essential for the college members to do research or learn effectively. This study intended to suggest the lecture program for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based on information literacy standards and models suggested by the organizations and scholars domestic and foreign as well as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cases.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should be adopted as a regular curriculum to overcome one time event’s limit. Besides, the professional librarians must involve as a role either leading or cooperative in running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in order to relate the library resources with the education and use them effectively. Finally, when it comes to the strategic aspect of the college library and the librarians’ role, the professional librarians’ leading or cooperative role is also essential. Additionally, analysis shows that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needs to be reorganized in contents so that it reflects the college students’ patterns to use information and their needs. Lastly, it needs to be thought over in how to lead the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course independently and voluntarily.

364
백지원(이화여자대학교) ; 정연경(이화여자대학교) 2014, Vol.31, No.1, pp.31-51 https://doi.org/10.3743/KOSIM.2014.31.1.03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의 이용자 접근 및 검색 시스템 기능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국내외 주요 주제명표목표의 주제명 접근 및 검색 방식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둘째, 포커스 그룹 인터뷰와 검색 시스템 분석을 통해 주제명 접근, 이용 방식과 절차 등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의 이용 현황 및 검색 시스템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셋째, IFLA의 국가 서지 주제 접근 지침과 FAST의 적용 사례에 나타난 주제 접근 도구의 발전 방향 및 국내외 사례의 시사점 등을 바탕으로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의 검색 시스템 개선안을 기능, 인터페이스, 질의, 부가 서비스 등 4가지 부문으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uggest several improvement strategies for the access and retrieval system of National Library of Korea Subject Headings (NLKSH). For this purpose, first of all, the access and retrieval systems in five selected subject headings were examined. Second, focus group interviews and system analysis were conducted to reveal the current condition and suggest the future development strategies. Third, IFLA’s Guidelines for Subject Access in National Bibliographies and FAST application cases were analyzed to suggest implications on the improvement strategies. Upon these analysis,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access and retrieval systems of the NLKSH were proposed in four areas as follows: functionalities, interfaces, queries, and other front-end features.

365
권소담(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사서) ; 남영준(중앙대학교) 2018, Vol.35, No.4, pp.263-284 https://doi.org/10.3743/KOSIM.2018.35.4.263
초록보기
초록

대학도서관은 구성원이 교육과 연구를 수행하는 데 있어 필요수적인 자료를 선정하여 구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용자의 정보 요구를 장서 개발에 반영하는 방법으로 희망도서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10년간의 장기적 관점에서 희망도서 신청 과정과 결과를 분석하였다. 희망도서는 단행본에 대한 강력한 정보 요구이기 때문에 주제 분야별 이용자의 정보 요구 패턴을 파악할 수 있었다. 대학 구성원으로서 이용자는 전공하는 학문 분야에 대해서는 전공 도서를 선정하면서도 다른 주제 분야의 교양 도서를 적절히 선정하여 장서 구성에 기여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희망도서는 소수의 이용자에 의해 선정이 이루어지지만 도서관 전체 이용자의 정보 요구를 충족시키고 있어 효율적인 장서 개발 정책으로 운용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Abstract

Academic libraries need to select and purchase essential collections to support students and faculty in education and research. Therefore, libraries reflect patrons’ information needs on collection development through patron purchase requests. This study analyzed the pattern and efficiency of patron purchase requests in a longer-term perspective; for over a decade. Patron purchase requests show different tendencies depending on academic characteristics, which enabled libraries to identify the users’ information needs in various subjects. Typically users contributed to collection development by expressing information needs in their fields of study through purchase requests. In the meantime, users in certain fields showed interest in other subject areas besides their own to select general books on various topics. Through this study, it became evident that a major portion of library collections were affected by active purchase requests from a small number of users. However those books were proven to be in demand in terms of effectiveness. Patron-driven acquisition is being implemented as an effective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366
노동조(상명대학교) ; 남민석(성균관대학교) 2013, Vol.30, No.3, pp.229-247 https://doi.org/10.3743/KOSIM.2013.30.3.22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에서 주제전문사서제에 의한 도서선정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하여 주제전문사서제도가 도입되기 이전과 이후에 선정된 개별 도서에 대한 대출 현황을 조사하여 그 효과성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조사대상이 된 S대학교 도서관에서 주제전문사서제도를 도입한 2005년 9월을 기점으로 이전과 이후 3년씩 총 6년 동안에 선정된 도서 186,435권에 대한 총 대출 현황(622,213권)을 t-test와 ANOVA를 통하여 검정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주제전문사서제의 도입 이후에는 사서에 의한 도서선정의 비율이 높아졌다. 둘째, 주제전문사서제의 도입 이전과 비교하여 도입 이후에는 교수와 사서에 의해 선정된 국외서에 대한 대출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셋째, 주제전문사서제의 도입 이전과 비교하여 도입 이후에는 교수가 선정한 도서에 대한 대출 횟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한 학문분야가 많아진 반면, 학생이 선정한 도서는 대출 횟수가 유의미하게 감소한 분야가 많았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ituation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book selection by the subject professionals in a academic library. In this, some circulation statistics before and after introduction to subject specialists were compared. Moreover, by using Minitab and t-test, ANOVA among other statistical techniques, 186,435 books selected 3 years before September 2005 and after 3 years and 622,213 circulation statistics about those books in ‘S’ University Library were compared and analy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fter introduction to the subject librarian, the proportion of books selected by librarians were increased. (2) After introduction to subject reference librarian, the foreign books selected by the faculty and the librarian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3) By academic field, the academic fields of the books selected by the facult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ut the academic fields of the books selected by the student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367
이호신(한성대학교 디지털인문정보학 트랙) ; 정경희(한성대학교 디지털인문정보학 트랙) 2020, Vol.37, No.3, pp.107-131 https://doi.org/10.3743/KOSIM.2020.37.3.107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최근 신설된 저작권법 제35조의 4와 동법 시행령의 관련 규정을 디지털도서관의 구축과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는지 점검하기 위한 것이다. 「저작권법」 제31조와 제50조를 비롯한 관련 규정과 선행연구에서의 논의들을 살펴보면서 법률 개정이 이루어지게 된 배경과 필요성을 이해하였다. 그리고 나서 신설된 법령의 구체적인 내용을 법률과 시행령, 문화체육관광부령을 두루 참조하여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아울러 「저작권법」 제31조와 제50조와의 비교를 통하여 신설된 조항의 특징과 의의, 한계와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그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네 가지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Article 35-4 of the Copyright Act and the relevant regulations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same law to the construction and service of digital library. The background and necessity of the revision were understood by examining the related regulations and discussions in previous studies, including Articles 31 and 50 of the Copyright Act. Then, the detailed contents of the provision were analyzed by referring to the laws, enforcement decrees, and ordinance of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n addition, through comparison with Articles 31 and 50 of the Copyright Act, the characteristics,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is provisions were analyzed. Based on this, we proposed four way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vision.

368
남영준(중앙대학교) ; 양지안(중앙대학교) 2010, Vol.27, No.3, pp.307-323 https://doi.org/10.3743/KOSIM.2010.27.3.307
초록보기
초록

정보환경의 변화에 따라 도서관과 웹 검색엔진의 차별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용자들은 인터넷의 자원과 학술데이터베이스의 자원을 혼동하고 있다. 특히 구글스칼라와 같은 상업용 검색엔진의 검색속도와 조작 편의성이라는 상대적 장점 때문에 학술데이터베이스가 갖고 있는 학술적 가치와 신뢰성에도 불구하고 이용자는 구글스칼라를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구글스칼라가 갖는 장점을 반영한 메타서치시스템의 특성과 가치를 인터페이스 측면과 전자정보원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이러한 새로운 검색채널로서 메타서치시스템과 이와 연계된 링크리졸버를 이용하는 대학도서관의 이용통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구글스칼라와 차별화될 수 있는 도서관만의 특징인 이용자 이용행태 패턴과 주제별 전자정보 이용행태를 도출하여 전자정보 서비스의 방안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조사하였다.

Abstract

The amount of online scholarly information rapidly expands in numerous resources, while user behavior demands single search box interface like Google Scholar. Despite scholarly values of e-resources libraries provide, users consider Google Scholar as the most efficient research tool attracted by its speed, simplicity, ease of use, and convenience. Characteristics of Metasearch System compared with Google Scholar are analyzed from perspectives of the interface and e-resource. Based on usage statistics of Metasearch System along with a link resolver in one academic library, e-resource accessibility patterns and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of subject-specific areas are investigated for electronic information services.

369
오경묵(숙명여자대학교) ; 장윤금(숙명여자대학교) 2006, Vol.23, No.2, pp.185-206 https://doi.org/10.3743/KOSIM.2006.23.2.185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은 우리나라에서 문헌정보학 교육과 연구 분야에서의 활동과 실적을 조사 및 정리해 보고, 이 분야 발전을 위하여 앞으로의 방향을 모색해보는데 연구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 문헌정보학 분야에서의 주요 이슈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1) 국내 문헌정보학과들은 교과과정을 꾸준히 재구성 중에 있다 2) IT 교육을 강화해나가고 있다 3) (주제)전문직 사서를 배출하기 위하여 학부과정에서 복수전공 과정을 도입하고 있다 4) 연구영역에서 활발한 분야는 도서관경영, 정보조직, 정보학 등으로 나타났다 5) 최근 들어 연구 분야가 다양화되고 있는데 정보검색, 기록관리, 출판 분야로 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y and issues of the LIS field in Korea in order to identify problems of the current librarian education & research areas and provide a new direction for development in this field. As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e issues in the department of LIS are found as follows: 1) the LIS departments are restructuring their curriculums 2) the departments are strengthening IT education 3) the foundation for producing professional librarians with area expertise is established by double major programs 4) most popular research areas are library management, organization of information, information sciences etc. 5) the research areas have been diversified as well including information search, record management and publishing.

초록보기
초록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에서는 디지털 패러다임에 적합한 디지털 정보자원을 구축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디지털 보존에 힘써왔지만, 아직까지 본격적으로 연구되고 논의되지 않고 있다. 디지털 보존은 인쇄매체 보존 방법과 상이하게 다르므로 디지털 정보자원의 안정성과 기능성을 최대한 확보,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존전략을 강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디지털 정보자원의 보존기술인 매체재생, 매체변환, 포맷변환, 정보전환, 에뮬레이션 기술의 대학도서관에서의 사용정도와 대학도서관의 디지털 정보관리 담당자들이 생각하는 각각의 보존 기술에 대한 위험가능성과 위험영향력을 조사하여 위험관리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가장 빈번히 사용하되 있는 기법은 포맷변환이고 전혀 사용하지 않고 있는 기법은 에뮬레이션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위험이 발생할 확률과 데이터 손실 영향력이 가장 낮은 방법은 매체재생인 것으로 판명되었고 가장 높은 것은 에뮬레이션 기법과 정보전환으로 나타났고 사서들은 디지털 보존활동을 전문적으로 수행할 전담 담당자가 없는 경우 위험발생 확률이 제일 높을 것으로 보았다.

Abstract

University libraries have developed digital information resources for digital services and have tried to preserve valuable digital information. Because digital preservation raises challenges of a fundamentally different nature which we added to the problems to preserving traditional format materials, it is necessary that preserving digital resources must be discussed and researched actively. This study conducts risk management for exploring preserving technologies and assessing tools. It is found that most university libraries have used format conversion frequently and do not use the emulation technology. It is also found that medium refreshing has the lowest risk probability and isk impact, but information migration and emulation technology have the highest in the risk probability and in the risk impact individually and the absence of full-time professional staff causes high risk.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