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libraries, 검색결과: 588
451
남태우(중앙대학교) 2010, Vol.27, No.1, pp.289-319 https://doi.org/10.3743/KOSIM.2010.27.1.289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은 ALA 인증 문헌정보학교를 분석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현재 ALA 인증위원회로부터 인증받은 석사과정 문헌정보학교는 57개교이다. 57개교가 기본 데이터이며, 이 정보원을 이용하여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즉, 개교 연대, 개교시 학문명칭, 어떤 시기에 학과가 가장 많이 개설되었는지, 학문의 개정명칭, 어떤 학위과정의 프로그램 등이 개설되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여기에서 얻은 결과를 한국의 문헌정보학의 교육의 향상성과 그 방향을 결정하는데 타산지석으로 삼고자 하였다.

Abstract

The Council of the ALA has designated Committee on Accreditation to be responsible for the execution of the accreditation program of the ALA and to development and formulate standards of education for graduate program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tudies leading to master's degree. The vast majority of employers require an ALA-accredited master's degree for professional positions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refore, graduating from an ALA-accredited program enhances your career mobility and provides greater flexibility in the types of jobs for which you qualify. ALA-accredited master's programs can be found at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the United States, Canada, and Puerto Rico.

452
최형욱(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최예진(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남소연(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18, Vol.35, No.2, pp.89-114 https://doi.org/10.3743/KOSIM.2018.35.2.089
초록보기
초록

학문 분야의 연구 동향 변화에 대한 연구는 해당 분야의 세부 연구주제와 구조에 대한 파악뿐만 아니라 시간 흐름에 따른 변화 모습을 관찰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2003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에 등재된 문헌정보학 분야 학술지 중 인용지수가 가장 높은 3종에 개제된 논문의 한국어 저자키워드를 대상으로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수행하였다. 시계열 분석을 위해 15년의 연구 기간을 5년 단위로 누적하여 2003년~2007년, 2003년~2012년, 2003년~2017년으로 구분하였고, 기간별로 출현빈도 10회 이상의 저자키워드를 선정하여 분석하고 이를 시각화하였다. 분석 결과, 2003년~2007년 기간의 지적구조는 총 25개의 키워드로 구성된 8개의 영역이 확인되었으며, 2003년~2012년 기간의 지적구조에서는 총 76개의 키워드로 구성된 3영역 17 군집이 확인되었다. 또한, 2003년~2017년 기간의 지적구조는 총 132개의 키워드로 구성된 6영역 32군집으로 나타났다. 누적 기간별 종합 분석 결과, 한국의 문헌정보학 분야는 지난 15년간 기간별로 새로운 키워드가 포괄적으로 추가되었으며, 세부 주제 역시 세분화 되어 점차 세분화되고 확장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Research on changes in research trends in academic disciplines is a method that enables observation of not only the detailed research subject and structure of the field but also the state of change in the flow of time.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observe the changes of research trend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ield in Korea, co-word analysis was conducted with Korean author keywords from three types of journals which were listed in the Korea Citation Index(KCI) and have top citation impact factor were selected. For the time series analysis, the 15-year research period was accumulated in 5-years units, and divided into 2003~2007, 2003~2012, and 2003~2017. The keywords which limited to the frequency of appearance 10 or more, respectively, were analyzed and visuali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during the period from 2003 to 2007, the intellectual structure composed with 25 keywords and 8 areas was confirmed, and during the period from 2003 to 2012, the structure composed by 3 areas 17 sub-areas with 76 keywords was confirmed. Also, the intellectual structure during the period from 2003 to 2017 was crowded into 6 areas 32 consisting of a total of 132 keywords. As a result of comprehensive period analysis,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over the past 15 years, new keywords have been added for each period, and detailed topics have also been subdivided and gradually segmented and expanded.

453
최상희(대구가톨릭대학교) ; 이재윤(명지대학교) 2018, Vol.35, No.4, pp.125-140 https://doi.org/10.3743/KOSIM.2018.35.4.125
초록보기
초록

대출데이터는 대학도서관에 축적된 중요한 데이터로서 도서관 장서개발이나 서비스 개선에 활용될 수 있는 중요한 데이터이다. 이 연구는 대출빈도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대출관련지수를 비교분석하여 지수별 특성을 파악한 후 도서관 운영에 적용할 수 있는 타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A 대학도서관의 10개 단과대학별 대출데이터를 대상으로 비교분석한 지수는 대출빈도, 대출엔트로피, 대출 h-지수, 대출주제차별지수 등 총 4개의 지수이다. 이 지수들을 적용하여 단과대학별 대출현황을 분석하였고 단과대학별로 나타나는 대출주제의 특성을 표하는 각 지수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출 엔트로피는 여러 대학이 공통으로 선호하는 주제를 표현하는 성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출주제차별지수는 특정대학에서만 특화되어 대출되는 주제를 표현하는 성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Circulation data is a key data set of academic libraries in terms of collection development and service improvemen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irculation measures and their feasibility. This study collected the circulation data of 10 colleges in a university and analyzed 4 measures based on the circulation data: circulation frequency, circulation entropy, circulation h-index, and circulation divergence. These measures are to present the circulation topics of each college. This study identified that circulation entropy tends to present general topics which are popular for many colleges, but circulation divergence tends to present specific topics which are preferred by a specific college.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측면에서 국외 독서 및 독서교육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의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문헌정보학 분야 국외 데이터베이스(LISTA)의 통제 키워드와 DDC 23판을 검토하여 독서 및 독서교육 관련 주요 연구 영역을 설정하였다. 둘째, 문헌정보학 분야 국외 데이터베이스(LISTA)에서 검색한 지난 100년(1914년~2014년) 동안의 독서 및 독서교육 관련 학술논문(2,115편)을 대상으로 지적구조 분석을 적용하여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셋째, 이러한 연구동향 분석의 결과에 기초하여 독서 및 독서교육 분야의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research areas and trends of reading (reading instruction) abroad in the respect of LIS, and suggest future research tasks. First, I reviewed the controlled keywords in SU field of LISTA database and the entries of DDC 23, and identified the research areas of reading and reading instruction in overseas. Second, I analysed the research trends of this field by applying a intellectual structure analysis on 2,115 research articles (1914~2014) retrieved from a representative database in the area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TA).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analysis, I suggested the future research tasks of this field in the domain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초록보기
초록

컴퓨터와 정보통신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터넷의 활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가상공간에서 중요 매체가 되는 웹사이트의 기능과 역할은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웹사이트에 대한 올바른 수준 평가는 웹사이트의 구축과 운영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많은 선행 연구에서 웹사이트 평가요소가 사용자의 만족도와 재방문에 대한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웹사이트 평가요소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대학도서관의 웹사이트 평가요소를 디자인, 콘텐츠, 사용자 인터페이스, 신뢰감, 운영관리라는 5 가지 항목으로 선정하였고, 사용자 만족과 재방문 의도를 내생 변수로 한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가설을 설정한 다음, 실증 연구를 통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 사용자 만족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가장 영향을 받으며, 재방문 의도는 콘텐츠와 사용자에 대한 신뢰감에 영향을 받는다. 하지만 대학도서관의 웹사이트는 사용자 만족과 재방문 의도 간에는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단정할 수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s time goes by, the function and role of website become more important. Therefore, it is very critical to evaluate and improve continuously the website to the purpose. Many previous studies show that some website evaluation factors will influence the user satisfaction and revisit to the website. The website evaluation criteria from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university library website evaluation were classified into five assessment criteria which are design, contents, user interface, reliability, and site management. In the results, some significant suggestions were found out. User satisfaction is seriously affected by user interface, and user's intention to revisit is influenced by contents and reliability, but there may not be a close connection between them. Besides, the evaluation method in this study may be applicable to the new website-improving approach of website administrators and researchers.

초록보기
초록

듀이십진분류법(DDC)은 문헌분류체계로 도서관에서 뿐만 아니라 인터넷자원을 분류하는 기반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DDC가 주기적이며 지속적인 용어 확장을 통해 최신성과 실용성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반면, 한국십진분류법(KDC)은 비정기적인 개정 주기로, 용어의 최신성과 실용성이 떨어진다. KDC가 도서관뿐만 아니라 인터넷자원 분류에도 활용 가능하기 위해서는 실용적인 분류 항목명이 반영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자원의 디렉토리 분류체계와 KDC에서 사용하고 있는 분류항목명을 비교 분석하고 KDC에 추가할만한 분류항목명을 확장 제안하였다. 네이버, 야후, 교보문고, 아마존의 디렉토리 분류체계에서 음식문화 분야의 용어를 분석하였으며, 다른 분류체계를 참조하여 KDC로의 적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KDC에 추가적인 분류항목명이 필요한 분야는 식품위생, 음료기술, 식품공학, 식품과 음료, 식사 및 식탁차림, 주방, 식당 공간이었으며 부족한 항목명은 음식 관련 용어 및 한식 관련 요리명이 주를 이루었다. 본 연구를 통해 KDC의 부족한 항목명과 적용방안을 제시함으로써 KDC가 도서관과 인터넷자원 분류에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Abstract

Library classification system is based upon academic disciplin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classify for Internet resources due to its lack of up-to-datedness and practicality. Especially, headings of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need to reflect practical aspects and it should be also developed for classification of web based resourc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structures of directory classifications in Internet resources and to suggest additional headings of KDC as a practical library classification as well as a classification system for internet resources. Directory classification systems of Naver, Yahoo, Kyobo Internet book store, Amazon were selected and their food and culture subject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The headings of KDC were compared to them and new possible headings were suggested with reference of NDC and DDC in the area of food and culture. This study provided a way of developing KDC for a classification system for Internet resources as well as library materials.

457
오세훈(광운대학교) ; 이두영(중앙대학교) 2005, Vol.22, No.1, pp.167-189 https://doi.org/10.3743/KOSIM.2005.22.1.16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정보학 연구자들의 연구 논문과 이곳에 인용된 문헌을 조사, 분석하여 우리나라 정보학의 연구 동향을 밝힌 것이다. 이를 위해 조사 대상 학술지를 정보관리학회지로 선정하였고, 조사 대상 기간은 1984-2004년(창간호-제21권 제3호)이다. 조사 대상 학술지에 발표된 연구 논문과 이곳에 인용된 외국 문헌정보학 문헌의 주제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는 먼저 정보학의 주제 영역을 설정하였고, 연구 논문 302편의 주제 및 간행 시기별 분포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인용된 외국 문헌정보학 문헌 3,270편과 타 학문분야 문헌 2,492편의 주제 및 연령을 각각 조사, 분석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trend of research in the field of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For this purpose, the study analyzed the subject of each citing and cited articles appear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02 original articles appeared in the journal from 1984 to 2004 were analyzed. 3,270 foreign literature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ield being cited in the original articles and those 2,492 cited foreign literatures of other field the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ere analyzed by subject, by publication year, and by citing age.

458
강재연(예일여자고등학교 사서) ; 김기영(연세대학교) 2019, Vol.36, No.3, pp.37-60 https://doi.org/10.3743/KOSIM.2019.36.3.03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교육현장에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는 실행연구(action research)를 통해 학교도서관 관점에서 독서방법이 조합된 독서전략이 고등학생의 읽고 이해하는 능력에 어떤 교육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독서전략이 청소년의 독서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부가요인으로 독서태도의 변화가 텍스트 이해력과 관계성을 가지는지 확인하였다. 특히 독서조합의 긍정적 시너지 효과는 텍스트 이해력의 성취와 독서태도의 변화라는 독서성과로 이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텍스트 이해력과 독서태도 변화 간의 정적 관계가 확인되어 향후 청소년의 텍스트 이해력의 향상을 위한 독서태도의 효과적인 변화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Abstract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reading strategy, which is a combination of reading methods on high school students’ reading ability were investigated using action research methodology in order to provide practical support in educational fields. Also, the effects of reading strategies on adolescents’ reading attitude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ext comprehension and change of reading attitudes were investigated. This study is unique for its adoption of reading method combinations as reading strategie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reading in terms of text comprehension. Also, this study is meaningful in dealing with the cognitive abilities of high school students.

초록보기
초록

현대는 정보센터에서 제공하는 정보서비스의 품질을 고객이 요구하는 수준으로 제공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한 시스템 경영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제적인 품질경영시스템인 ISO 9000 인증제도의 이론적 검토를 통하여 ISO 9000 인증제도와 인증 추이를 조사하였다. 아울러 이를 정보센터에서 ISO 9000 품질경영시스템의 도입에 대한 조직 구성원들의 인식도를 설문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정보센터에서 ISO 9000 품질경영시스템 인증제도에 대한 인식제고와 향후 ISO 9000 인증제도의 도입시 필요한 사항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Abstract

Modern stage must offer to the level which the customer requests the quality of the information service to offer from the information center. We are the one view which needs new system management around the process serving this. This study accomplished theoretical review of ISO 9000 as International Quality Management System. investigated the trend for change of ISO 9000 certification systems. We analyzed the recognition level of members about the introduction of ISO 9000 quality management systems in the information center. The level up of recognition about ISO 9000 quality management system certification systems was the low in the information center. Hereafter, We grasped the subject of ISO 9000 certification systems which the introduction needs. We reviewed ISO 9000 family which the Library and Information center possible apply and presented the requirement 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center with the process to need for a Quality Management System certification.

초록보기
초록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활용한 연구가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03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네트워크 분석 논문 총 2,187건을 대상으로 계량서지적 분석과 내용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는 살펴보면, 논문 생산에 있어서 교육학, 학제간연구, 컴퓨터학, 문헌정보학, 행정학, 경영학 등의 우위를 확인할 수 있다. 학술지 단위로 보면, 메가 학술지의 강세가 나타난다. 그러나 피인용 기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행정학, 문헌정보학, 교육학의 영향력을 뚜렷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저자 단위로 분석한 결과 역시 언론정보학, 행정학, 문헌정보학의 우위를 확인할 수 있다. 파악된 1,537명의 저자 중에서 극소수의 저자가 활발한 연구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연구자 저변 확대의 필요성도 확인할 수 있다. 내용분석의 결과를 살펴보면, 논문을 데이터셋으로 하여 가중/비방향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네트워크 형태로 나타났다. 노드는 단어, 링크는 동시출현으로 표현되는 것이 보편적이며, 분석을 위해서는 KrKwic, UCINET, NetMiner, NetDraw의 활용이 가장 두드러졌다.

Abstract

Research in various academic fields using network analysis techniques has been conducted and grown. This study performed bibliographical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on a total of 2,187 network analysis papers published in journals from 2003 to 2021.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ields of Pedagogy, Interdisciplinary Research, Computer Scienc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ublic Administration, and Business Administration were higher in terms of the number of research papers. From the perspective of journal, mega-journals were indicated as the most productive journals. However, when looking at the impact based on the number of citations, the strength of Public Administratio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Pedagogy is clearly reveal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y authors can also confirm the higher impact of Journalism, Public Administration Science, an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Of the 1,537 authors identified, very few authors are active in research, confirming the need to expand the researcher base. The results of content analysis showed that the weighted and non-directional network was the most common network type with using the research papers as a data set. Generally nodes are expressed as words and links are expressed as relationship. For network analysis, the use of KrKwic, UCINET, NetMiner, and NetDraw is the most prominent.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