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013-0799
  • E-ISSN2586-2073
  • KCI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을 위한 이용자서비스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ing a Public Services Framework for the Regional Archives in Korea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P)1013-0799; (E)2586-2073
2008, v.25 no.3, pp.321-338
https://doi.org/10.3743/KOSIM.2008.25.3.321
장혜란 (상명대학교)
이명희 (원주시립도서관)

초록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이용자 서비스 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국내외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외국 지방기록관 웹 사이트를 통하여 이용자 서비스 사례를 조사·분석하였으며, 개방과 공유 그리고 참여의 개념을 가진 웹 2.0 기술과 기록관 응용사례를 탐구하였다. 분석결과를 기초로 하여 기본서비스, 확장서비스 I, 확장서비스 II, 상호작용서비스 등 4단계로 구성된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이용자 서비스 모형을 제안하였다. 단계별 모형은 고정된 것이 아니며 각 지방기록물관리기관에 따라 필요한 서비스를 선별하여 적용할 수 있다.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이용자 서비스 활성화를 위하여 지역사회 조사와 연구, 서비스 만족도에 대한 평가, 구체적인 서비스 지침의 제정 등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gional archives, archival records, public services, model, development, 지방기록물관리기관, 기록물, 이용자 서비스, 모형 개발, regional archives, archival records, public services, model, development

Abstract

To develop a public services framework for the promotion of the public records use of the regional archives in Korea, we analyzed the previous related studies and observed the public services of the renowned overseas regional archives through the we sites. Then, the web 2.0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 to archives services have been studied. Based on the analysis, a public services framework consisting of 4 phases such as basic services, extended services I, extended services Ⅱ, interactive services was developed. This framework of 4 phases is not a fixed universal system. Each of the regional archives would select the services they offer according to the budget, personnel, as well as the user community. Finally, community survey, user satisfaction evalu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specific service guidelines are suggested for the advancement of the public services.

keywords
regional archives, archival records, public services, model, development, 지방기록물관리기관, 기록물, 이용자 서비스, 모형 개발, regional archives, archival records, public services, model, development

참고문헌

1.

강대신. (2004). 중국․일본의 기록관리 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4(2), 92-117.

2.

곽건홍. (2006). 한국 국가기록관리의 이론과 실제:역사비평사.

3.

김종철. (2005). 日本의地方公文書館과地方記錄管理 ­文書館과歷史資料館의 설립과정을 중심으로 ­. 기록학연구, (11호), 215-254.

4.

박미성. (2008). Web 2.0 기술 적용 사이트 분석을 통한 도서관 정보시스템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1), 139-168.

5.

박찬승. (2000). 외국의 지방기록관과 한국의 지방기록 자료관 설립방향. 기록학연구, 1, 107-135.

6.

박춘배. (2005). 경기도기록원 설립에 관한 연구.

7.

서은경. (2006). 이용자 중심의 기록정보 활용 및 서비스 활성화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6(1), 65-92.

8.

안병우. (2004). 지방기록관 설립과 경기기록문화포럼의 활동. 영남학, 6, 159-190.

9.

안자영. (2008). 지방기록물관리기관 공동 설치 모형 연구.

10.

우수영. (2006). 기록정보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전자적 질의/응답 서비스 개선방안: 국가기록원을 중심으로.

11.

윤혜경. (2004).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조직구조 연구.

12.

이영숙. (2007). 공공기록물 정보서비스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7(2), 73-94.

13.

이원규. (2002). 한국 기록물관리제도의 이해:진리탐구.

14.

이해영. (2007). 기록정보서비스의 평가 및 개선 방향. 한국기록관리학회지, 7(2), 25-42.

15.

이혜원. (2007). 기록관 전시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16.

이희숙. (2004). 인터넷을 통한 기록관의 서비스 활동에 관한 연구: 교육․전시 활동을 중심으로.

17.

일본 가나가와현립공문서관(神奈川県立公文書館). http://www.pref.kanagawa.jp/osirase/02/0219.

18.

전현수. (2000). 지방기록보존소 설치운동과 대학의 역할. 영남학, 6, 219-244.

19.

정은진. (2007). 영구기록물관리기관 공공프로그램의 역할과 운영방안 연구. 기록학연구, (16), 259-304.

20.

중국 상하이시당안관(上海市档案馆). http://www.archives.sh.cn.

21.

지수걸. (2001).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기능과 역할. 기록학연구, 3, 3-32.

22.

총무처 정부기록보존소. (1998). 외국의 기록보존제도:총무처 정부기록보존소.

23.

최규명. (2007). 온라인 전시서비스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경남교육청 기록관을 중심으로.

24.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2008). 참여정부의 기록관리혁신: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25.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2008). 참여정부의 전자정부: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26.

행정안전부.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 2008.2.29. 법 률 제 8852호].

27.

행정안전부.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 2008.5.21. 대통령령 제20789호].

28.

행정안전부.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 2008.2.29. 법률 제8871호].

29.

행정자치부. (2005). 주요 외국의 기록관리 현황:국가기록원.

30.

행정자치부. (2007). 보존기록 공공서비스 표준:국가기록원.

31.

행정자치부. (2007). 2006년 정보공개연차보고서. 행정자치부.

32.

한국기록관리학회. (2008). 기록관리론:아세아문화사.

33.

한국기록관리학회. (2008). 기록학 용어 사전:역사비평사.

34.

한국인터넷진흥원. (2008). 2007년 하반기 정보화 실태조사 요약 보고서. 한국인터넷진흥원.

35.

황나리. (2006). 중앙행정기관 기록물의 이용에 관한 연구.

36.
37.

The California State Archives. http://www.sos.ca.gov/archives/archives.htm.

38.

Cook, Michael. (2002). 기록보존소의 기록관리:진리 탐구.

39.

Cox, Richard J.. (1992). Managing Institutional Archives: Foundational Principle and Practices:Greenwood Press.

40.

The Archives of Ontario. http://www.archives.gov.on.ca.

41.

Everglades Digital Library. http://cwis.fcla.edu/edl.

42.

Hampshire Record Office. http://www3.hants.gov.uk/archives.htm.

43.

Pederson, Ann E.. (1982). Archives and Manuscripts: Public Programs:SAA.

44.

The Polar Bear Expedition Digital Collections. http://polarbears.si.umich.edu.

45.

Picture Australia Potal. http://www.pictureaustralia.org.

46.

Pugh, Mary Jo. (2004). 기록정보서비스:진리탐구.

47.

Pugh, Mary Jo. (2005). Providing Reference Services for Archives and Manuscripts:SAA.

48.

Roe, Karthleen D.. (1988). Public Programs Managing Archives and Archival Institutions: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9.

Ruller, Thomas J.. (1997). Open all Night: Using the Internet to Improve Access to Archives: a Case Study of the New York State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The Reference Librarian, 56, 161-170.

50.

Ruth, Janice E.. (1988). Educating the Refer- ence Archivist. American Archivist, 51, 266-310.

51.

Salzmann, Katharien A.. (2004). Contact Us: Archivists and Remote Users in the Digital Age. The Reference Librarian, 85, 43-50.

52.

Schellenderg, Theodore R.. (2002). 현대 기록학 개론:진리탐구.

53.

The State Records of New South Wales. http://www. records. nswgov.au/staterecords.

55.

Yakel, Elizabeth. (2003). 아카이브 만들기:진리탐구.

56.

Yakel, Elizabeth. (2006). Inviting the User into the Virtual Archives. Archives and Manuscripts, 33(3), 159-163.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