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013-0799
  • E-ISSN2586-2073
  • KCI

문화원의 향토자료 관리 실태분석

The Analysis of the Investigation the Actual Conditions on the Management of Native Local Data of Cultural Center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P)1013-0799; (E)2586-2073
2008, v.25 no.3, pp.297-320
https://doi.org/10.3743/KOSIM.2008.25.3.297
문정희 (전남대학교)
장우권 (전남대학교)

초록

시대적으로 역사적 기록물과 지역의 향토자료가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향토자료의 수집과 체계적인 관리가 절실한 상황에서 현재 수집된 자료들이 어떻게 관리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 글의 목적은 향토자료를 생산하고 관리하는 지방문화원의 향토자료 관리 실태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그 결과 나타난 문제점을 토대로 바람직한 향토자료 관리를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지방문화원에서 향토자료 관리는 열악한 인력과 재정적인 문제로 향토자료의 체계적인 자료수집과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또한 지자체의 향토자료의 인식의 정도가 달라 문화원마다 향토자료 관리정도의 편차가 심하며, 문화원의 발간사업이 지역민의 생활보다는 지역 권력사에 치중되어 풍부한 지역사를 담지 못하거나 이를 교육과 문화콘텐츠 제작에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native local data, native local data management, cultural center, local cultural center, cultural content, native local data, native local data management, cultural center, local cultural center, cultural content, 향토자료, 향토자료관리, 문화원, 지방문화원, 문화콘텐츠

Abstract

Although the native local data is being deemed important in the age where historical records are regarded as important, currently it is hard to find out detailed actual state of local data, because it is now being collected and managed by many institutions and individuals. This study is aimed at surveying the current state of management of native local data possessed by local cultural center, one of institutions that produce and manage local data, and suggesting a desired alternative idea of cultural center for management of native local data, through the problems found by the research. As the result, the current state of data management of the local cultural center are as follows: First, local data management in the local cultural center as the problem in poor surroundings and a financial question get local data-related education make systematic data collection and management unavailable. Second, local data depends on the extent of its awareness of it, each and every cultural center shows a significant deviation in the extent of execution of local data-related project. Third, even though the publication business of the cultural center is being lively executed, it attaches importance to the history of local authority rather than to the residents’ life, and it should not be supplemented in applying it to education and production of cultural contents.

keywords
native local data, native local data management, cultural center, local cultural center, cultural content, native local data, native local data management, cultural center, local cultural center, cultural content, 향토자료, 향토자료관리, 문화원, 지방문화원, 문화콘텐츠

참고문헌

1.

강순애. (2006). 한국의 지방사 디지털아카이브의 구축과 통합 및 이용에 관한 연구. 서지학연구, (34), 5-35.

2.

강진갑. (2000). 21세기 정보화 시대 인터넷 鄕土誌 편찬에 대하여. 향토사연구, 12, 75-81.

3.

지방문화원의 운영 실태와 개선 방안.

4.

국사편찬위원회. (2003). 현장조사와 정리를 위한 근현대 지방사료 창 열기. 한국사연구지원 보고 자료집, 7, -.

5.

김미향. (2004). 지방역사기록물 수집의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6.

김병인. (2002). 지방사 연구에 있어서 자료 의 활용방안에 대한 새로운 모색:기념비를 통한 구림마을의 장기사적 재구성 을 중심으로. 호남문화연구, 30, 181-188.

7.

송정숙. (2004). 지방 자료관리 현황과 전망 (-). 기록관리학회학술발표논문집.

8.

양상숙. (1997). 고문서, 고서, 향토자료의 수 집 및 정리에 대한 지역도서관의 역할 : 제주지역 향토자료의 수집을 중심으로 (-). 한국도서관협회 제35회 전국도서관 대회 주제발표 논문집.

9.

염미경. (2002). 근현대 지방사자료의 정리현 황과 활용방향 : 광주․전남지방을 중심으로. 호남문화연구, 31, 97-120.

10.

옥승현. (2006). 문화원의 발전방향에 관한 조사 연구.

11.

유재춘. (2002). 지역사 자료의 수집, 정리 실태와 개선방안 : 강원도 지역을 중심으로. 강원 문화사연구, 7, -.

12.

이남희. (2000). 향토사자료의 전산화 과정과 그 효용성. 향토사연구, 12, 57-68.

13.

이덕일. (2006). 한국사의 생산, 유통, 소비, 그 현황과 과제. 역사와경계, 59(59), 353-366.

14.

이진민. (2003). 공공도서관에서의 향토/지역자 료 운영에 관한 연구.

15.

이해준. (2001). 지역학의 범주와 향후 연구. 안동학연구, 3, 361-379.

16.

이현식. (2002). 지역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인천학연구, , 1-16.

17.

장대원. (1976). 도서관자료의 수집보존. 도서관, 31(2), -.

18.

장윤희. (2004). 대학기록물수집정책에 관한 연구 : 한신대학교 역사기록물 중심으로.

19.

전명혁. (2005). 기록과 역사­ 역사서술에서 기록물과 사료, 역사이론의 관계 ­. 기록학연구, (11호), 123-143.

20.

정주연. (1998). 향토자료의 효율적 관리방안.

21.

정현태. (1991). 공공도서관의 향토자료개발에 대한 연구.

22.

지수걸. (2002). 지방자치와 지방기록관리 (27-36). 제2회 기록학심 포지움자료집. 한국기록관리학회.

23.

최희진. (2005). 지방역사기록물 수집정책 연구.

24.

하용태. (1964). 향토자료의 수집정리 소고. 도서관문화, 5(10), 18-.

25.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0). 2000년도 문화기반 시설 운영평가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6.

국사편찬위원회. http://history.go.kr.

27.

인천학 연구원. http://www.isi.or.kr.

28.

전국문화원연합회. http://www.kccf.or.kr.

29.

한국문화관광연구원. http://www.kcti.re.kr.

30.

한국학 중앙연구원. http://www.aks.ac.kr.

31.

호남문화 연구소. http://homun.or.kr.

32.

강진문화원. http://gangjin.kccf.or.kr.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