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013-0799
  • E-ISSN2586-2073
  • KCI

우리나라 공공기관 행정감시자의 정보추구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Information Seeking Conducted by Surveillants Against the Public Sector Organizations in Korea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P)1013-0799; (E)2586-2073
2009, v.26 no.4, pp.249-276
https://doi.org/10.3743/KOSIM.2009.26.4.249
임진희 (한국국가기록연구원)
이준기 (연세대학교)

초록

이 연구는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한 행정감시자들이 국정감사와 정보공개 청구 등의 설명책임 메커니즘을 통해 공공정보를 추구하는 절차와 그 과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공기관에 대해 직업적으로 행정감시 활동을 수행하는 국회의원 보좌관, 시민사회단체 활동가, 언론 기획탐사보도팀의 전문리서처 등의 정보추구자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심층 인터뷰와 참여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근거이론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여 행정감시자들의 공공정보 추구절차를 정의하였으며, 추구과정에 연관된 56개의 개념, 17개의 범주, 6개의 상위범주를 도출한 후 각 범주들이 추구과정에 미치는 영향의 범위에 따라 배경요인, 상황요인, 절차 상의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이 연구는 그동안 다뤄지지 않았던 행정감시자의 정보행동모형을 구성했다는 점에서 이론적 공헌이 있으며, 행정감시자의 공공정보 추구과정에서 나타나는 독특한 양상을 질적 자료를 통해 의미있는 개념을 범주화했다는 점에서 방법론적 의의가 있으며, 행정감시자 집단에게 공공정보 추구 전략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공공기관에게 행정감시자들의 정보요청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 요건의 기초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실무적 공헌이 있다.

keywords
정보추구행동, 설명책임 메커니즘, 공공정보, 국정감사, 정보공개, 질적 연구,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accountability mechanism, public information, national assembly inspection, information disclosure, qualitative research,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accountability mechanism, public information, national assembly inspection, information disclosure, qualitative research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ormation-seeking procedure of surveillants against public sector organizations in Korea. The surveillants used accountability mechanisms such as National Assembly Inspection and information disclosure to find out information they wanted. Examples of such group include social activists, professional supervisors, aides of the National Assembly congressman and the press members. Using data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tive observations, we studied their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and factors that affect the procedure.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we first generated 56 concepts, 17 categories and 6 super-categories about the participants' feeling, experiences and perception related to their information seeking. Then we developed a factor model among those generated concepts. The main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a) the results provide a useful guidance for the public information seekers b) we draw the requirements for enhancing public sector organizations'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s

keywords
정보추구행동, 설명책임 메커니즘, 공공정보, 국정감사, 정보공개, 질적 연구,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accountability mechanism, public information, national assembly inspection, information disclosure, qualitative research,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accountability mechanism, public information, national assembly inspection, information disclosure, qualitative research

참고문헌

1.

김 갑 선. (2005). 정보추구행태 모형의 연구 경향. 정보관리학회지, 22(4), 235-254.

2.

김갑선. (2006). 임신부의 정보추구 경험- 정보추구의 구조와 과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1), 13-37.

3.

김나원. (2009). 의사들의 의료정보추구행태에 관한 탐구. 정보관리학회지, 26(3), 435-449.

4.

박상필. (2005). NGO학-자율․참여․연대의 동학:아르케.

5.

사공복희. (2003). 정보추구행태모형의 비교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0(1), 93-119.

6.

서은경. (1995). 이용자 정보추구 모형에 관한 메타 적 연구 (25-28). 제2회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7.

서인석. (2008). 국정감사 실무매뉴얼:새로운 사람들.

8.

윤정옥. (2004). 맥락에 따르는 정보추구 : 대학생의 과제 관련 정보탐색의 내용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5(2), 199-218.

9.

윤태범. (2001). 부패방지를 위한 사회역량의 강화와 시민단체(NGO)의 역할. 지방정부연구, 5(1), 71-92.

10.

이란주. (1996). 이용자 측면의 다양한 정보원 선택 요소에 대한 고찰 (127-130). 제3회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11.

이제환. (2004). 在日韓人의 일상적 정보요구와 정보추구-關西지역 거주 한인을 중심으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3), 221-248.

12.

이제환. (2008). 在美韓人의 정보행태 - 중서부지역 거주자를 중심으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2), 39-63.

13.

이제환. (2009). 성격적 특성과 정보행태의 관계 - 대학 신입생을 사례로 하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2), 161-182.

14.

장선화. (2005). 취재환경 변화에 따른 기자의 정보추구행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3), 165-182.

15.

정진식. (2000). 이용자의 정보추구행동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17(3), 193-212.

16.

홍기철. 硏究者의 時間壓迫感에 따른 情報琛素行態에 관한 硏究.

17.

Byström, K. (1995). Task complexity affects information seeking and use. Inform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31(2), 191-213.

18.

Charmaz, K. (2003). Qualitative Psychology: A Practical Guide to Research Methods:Sage Publications.

19.

Creswell, J. W. (2006).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traditions:Sage.

20.

Dervin, B. (1992). From the mind's eye of the user: the sense-making qualitativequantitative methodology in Qualitative research in information management:Libraries Unlimited.

21.

Johnson, J. D. (1997). Cancer-related Information Seeking:Hampton Press.

22.

김양우. (2006). 웹 검색어 선택과정에서의 이용자 불확실성의 유형:자연과학연구자들의 정보탐색환경에 대한 고찰. 정보관리학회지, 23(2), 287-309.

23.

Leckie, Gloria J. (1996). Modeling the Information Seeking of Professionals: A General Model Derived from Research on Engineers, Health Care Professionals, and Lawyers: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4.

이지연. (2008). The Analysis of the Information Users' Needs and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정보관리학회지, 25(2), 127-141.

25.

Mason, J. (2002). Designing qualitative research in Qualitative Researching:SAGE Publications.

26.

Maxwell, J. A. (1996). Qualitative research design: An interactive approach:Sage Publications.

27.

Meijer, A. J. (2003). Trust this document! ICTs, authentic records and accountability. Archival Science, 3, 275-290.

28.

Robson, C. (1993). Real world research:Oxford.

29.

Strauss, A. L.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Sage.

30.

Wilson, T. D. Models in information behaviour research.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