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problems by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 based on the legal requirements among Saemaul mini-libraries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are like these. There were 154 Saemaul mini-Libraries. Of them, the rate of Small-Libraries which satisfied the requirements of a municipal library to the Library Act was 0%(0) in part of building floor space, 1%(1) in part of a reading room, 40%(59) in part of the data in a library and 31%(45) in the number of books to be supplemented per year. Mini-library which satisfied as the requirements for a small-scale public library was 37%(58) in part of the floor space, 66%(101) in part of a reading room, and 73%(112) in part of data in a library. 50%(77) of the mini-library was open more than 5 days per week. 52% (80) Mini-libraries was open for more than 5 hours per day. mini-library with permanent professionals(librarians) was only 1%(2). Mini-libraries of 99%(152) were non-professional workers(no librarians). For the average budget per year, 81%(127) spent less than 10 million won. 5%(5) received government subsidies. The mini-library of 74%(114) spent less than 5 million won on average for purchasing materials. Most of mini-libraries didn’t meet the requirements of small-scale libraries to be private libraries or public libraries. It was also found that mini-libraries had various features on the location.
김태승. (2008). 문고를 이용한 공공도서관 확충방안에 관한 연구: 안성시 문고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논문집, 38, 1-18.
김세훈. (2006). 작은도서관 분관시스템 구축방안. 국립중앙도서관.
김영신. (2002). 봉사거점으로서 동사무소문고의 활성화 방안 연구-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1), 5-24.
김홍렬. (2010). 전북지역 작은도서관의 현 단계와 기능 확대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1), 77-98.
남영준. (2006). 작은도서관(문고 포함)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 국립중앙도서관.
네이버 사전 홈페이지. http://dic.naver.com/.
박미라. (2010). 작은도서관 운동의 현 단계와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 제17회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대구가톨릭대학교.
박상희. (2007). 주민자치센터 문고의 현 단계와 발전 방안 연구: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박송이. (2010). 작은도서관의 효과적인 운영방 안에 관한 연구: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새마을운동중앙회. (1999). 한국의 새마을운동. http://saemaul.com/center/www/caups/down/issue/새마을운동(국문).pdf.
엄대섭. (1963). 마을문고의 설립과 활용: 3000 원짜리 마을도서관 운동. 地方行政, 12(111), 104-109.
엄대섭. (1966). 마을문고 활동. 도서관, 108, 14-15.
윤영대. (1984). 새마을 문고가 농촌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과 문제점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새마을 연구, 3, 31-49.
이만수. (2006). 독서교육과 문고지도자의 역할. 독서문화연구, 5, 1-17.
이용남. (2000). 마을문고 운동의 초기 전개 과정에 관한 연구: 운동형성 배경에서부터 1967년까지를 중심으로 하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4(4), 27-47.
이용남. (2002). 마을문고운동 추진 전략과 형태에 대한 분석적 고찰 -새마을 운동 체제로의 통합 이전까지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1), 91-109.
이재희. (2008). 작은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민관 협력 방안에 관한 연구.
임지혜. (2003). 고려시대 왕실문고에 관한 고찰.
전재봉. (1984). 새마을문고의 구성요소에 대한 실태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11, 211-240.
정병창. (1994). 서울시 새마을 이동도서 관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제1회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경기대학교.
문화체육관광부. (2011). 도서관정보정책 기획단, 2011년 도서관 및 독서 정책 대국민 업무보고:문화체육관광부.
황준호. (2006). 작은도서관 리모델링 참고자료:건축도면:국립중앙도서관 작은도서관진흥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