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013-0799
  • E-ISSN2586-2073
  • KCI

KESLI 컨소시엄 활성화를 위한 운영현황 및 요구분석

Operation Status and Needs Analysis for the Improvement of KESLI Consortium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P)1013-0799; (E)2586-2073
2013, v.30 no.1, pp.221-236
https://doi.org/10.3743/KOSIM.2013.30.1.221
이용구 (계명대학교)
박성재 (한성대학교)
김정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전자저널 컨소시엄 참여기관의 현황과 그들의 요구를 분석함으로써 KESLI 운영의 문제점과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참여기관을 대상으로 컨소시엄 선정 및 관리, 평가의 항목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응답한 179개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KESLI 참여기관은 장서개발정책, 편목, 이용자교육 및 평가방법에 대한 요구를 나타냈다. 따라서 KESLI는 참여기관의 요구를 반영하여 장서개발정책 마련을 위한 정책 예를 제공하고 편목의 간소화를 위한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기관에서의 이용자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교재 및 프로그램을 개발지원하며 평가방법 및 기술에 대한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keywords
KESLI, e-journal consortium,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selection criteria, cataloging, user education, evaluation, 전자저널 컨소시엄, 장서개발정책, 컨소시엄 선정기준, 전자저널 편목, 이용자교육, 평가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KESLI consortium by analyzing the status of participant organizations and their needs. A survey questionnaire including questions on consortium selection, management, and evaluation was distributed. The findings from the 179 responses indicate that the needs of the participants include issues related to the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the cataloging of e-journals, user education, and evaluation. Therefore, KESLI should provide the following: (1) examples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used for reference, (2) system development for e-journal cataloging, (3) materials and program guidelines for user education, and (4) education related to evaluation techniques for e-journal usages.

keywords
KESLI, e-journal consortium,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selection criteria, cataloging, user education, evaluation, 전자저널 컨소시엄, 장서개발정책, 컨소시엄 선정기준, 전자저널 편목, 이용자교육, 평가

참고문헌

1.

김혜련. (2000). 대학도서관에서의 전자저널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2.

박성재. (2013). AHP를 이용한 컨소시엄 기반 전자저널 업무의 요인별 중요도 분석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1), 229-247.

3.

윤만영. (2004). 대학도서관 전자저널의 수집 및 관리에 관한 연구.

4.

이란주. (2003). 전자저널의 효과적인 관리 및 이용자서비스에 관한 연구: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20(2), 135-156.

5.

이소연. (2008). 새로운 학술커뮤니케이션 환경과 미래형 전자저널 컨소시엄 운영모형 : KESLI를 중심으로.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39(1), 1-25.

6.

송영희. (2012). 디지털시대의 장서관리(3판):한국도서관협회.

7.

장덕현. (2008). 대학도서관 전자저널 평가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P대학교 기계공학 분야를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25(4), 165-184.

8.

정동열. (1999). 전자학술저널의 이용행태 분석에 의한 관리방안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3(3), 5-21.

9.

정영임. (2012). 컨소시엄 기반 전자저널 이용통계 수집 및 분석 개선 방안. 정보관리학회지, 29(2), 7-25. http://dx.doi.org/10.3743/KOSIM.2012.29.2.007.

10.

조순영. (2002). 해외 학술DB 공동활용을 위한 도입ㆍ지원 정책 개발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11.

한국도서관협회. (2010). 문헌정보학용어사전(개정판):계문사.

12.

Bertot, J. C.. (2004). Selecting evaluation approaches for a networked environment, In Planning and evaluating library networked services and resources:Libraries Unlimited.

13.

Chan, L.. (1999). Electronic journals and academic libraries. Library Hi Tech, 17(1), 10-16.

14.

Keating, L. R. II. (1993). Electronic journal subscriptions. Library Acquisitions : Practice & Theory, 17(4), 455-463.

15.

Nisonger, T. E.. (1997). Electronic journal collection management issues. Collection Building, 16(2), 58-65.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