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에 관심 있는 대한민국 국민 누구나 우리 역사에 쉽게 접근하여 재미있게 배울 수 있으며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역사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 서비스 구축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시맨틱 웹 구축을 통해 정보의 공유 및 재활용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링크드 데이터를 통해 구체화되고 있다. 기존의 전문연구자 중심의 원문 DB구축에서 탈피하여 일반인도 쉽게 이해하고 이용할 수 있는 대중적 콘텐츠 구축은 여러 기관, 포털, 그리고 일부 개인을 중심으로 구축되고 있으나 정보 공유 및 활용성 측면에 대한 고려 없이 개별적으로 중복 구축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문사료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정보공유 및 연결을 통한 정보유통 체계를 확보하여 웹상의 다양한 데이터와의 연결로 풍부한 정보제공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방안으로 LOD 기반 한국사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구축을 제안하였다.
Anyone curious to easily access and learn Korean history has become interested in Korean history data bases, which will provide accurate and reliable historical information. Furthermore, user demands for information sharing and reusability, available through setting up a semantic web, have been increased, which have taken the shape of linked data. Efforts have been made to construct public data bases containing readily usable contents a user can understand and utilize with ease. They have been produced by several organizations, portal sites, and individuals, trying to deviate from existing mainstreams - expert-based text data bases. A problem with those data bases is that they have not considered such vital factors as the sharing and utilizing of information as a whole. This study suggests a LOD-based Korean history contents implementation system, providing rich information environment by way of multi-dimensional web-data connections. In doing so, this system has tried a historic information circulation service system which is based on information sharing and connecting.
김수영. (2012). 모바일 웹 서비스에 기반한 문화 콘텐츠의 활용: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의 사례를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29(3), 31-59. http://dx.doi.org/10.3743/KOSIM.2012.29.3.031.
김평. (2011). Linked data와의 연계를 위한 URI 관리서비스 (83-84). 2011년도 한국인터넷정보학회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김평. (2010). Linked data 연계를 위한 SKOS 기반 용어 온톨로지 모델 링 (456-458). 한국콘텐츠학회 2010 춘계종합학술대회.
노동조. (2011). 도서관 3.0 기반 서비스에 대한 대학도서관 사서의 인식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8(4), 263-278.
노영희. (2010). 도서관 3.0의 개념과 서비스 모형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7(4), 283-307.
노영희. (2012). dCollection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2), 247-271.
류한조. (2009). 기록 콘텐츠 개발 모형에 관한 연구 - 건축 문화재 기록을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9(1), 221-248.
박경환. (2008). 기록유산을 활용한 전통문화콘텐츠 개발― ‘조선시대 使行文化 콘텐츠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국학연구, 1(12), 313-342.
박옥남. (2012). 기록물 전거통제 기반 Linked Data 구축에 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2), 5-25.
박지영. (2012). 링크드 데이터 방식을 통한 서지 정보의 확장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9(1), 231-251. http://dx.doi.org/10.3743/KOSIM.2012.29.1.231.
설문원. (2012). 로컬리티 기록콘텐츠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2), 317-342.
오삼균. (2011). 도서관 링크데이터(Library Linked Data) 현황분석과 통합 LLD 설계 및 확산방향에 대한 고찰.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4), 331-351.
유영준. (2012). SKOS를 이용한 신학 시소러스의 온톨로지로의 변환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3), 143-163.
윤소영. (2013). 공공데이터 활용을 위한 링크드 데이터 국가 연계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0(1), 259-284. http://dx.doi.org/10.3743/KOSIM.2013.30.1.259.
이은영. (2011). 교육용 기록정보콘텐츠 개발 절차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29(29), 129-173.
정효숙. (2011). 일반인을 위한 링크드 데이터생성 시스템 개발 및 활용.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4(2), 47-59.
조명대. (2010). 도서관에서의 Linked Data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1), 181-198.
현문수. (2013). 지역사 인물 콘텐츠 개발을 위한 연구 : 박기종 사례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36(36), 195-231.
홍일영. (2012). 지리정보의 Linked Data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도학회지, 12(1), 141-150.
Berners-Lee, T.. (2006). Linked data: Design issues. http://www.w3.org/DesignIssues/LinkedData.html.
Berners-Lee, T.. (2009). Presentation on linked data in TED conference. http://www.ted.com/talks/tim_berners_lee_on_the_next_web.html.
Heath, T.. (2011). Linked data: Evolving the web into a global data space:Morgan & Claypool Publishers.
Library of Congress Subject Headings. http://id.loc.gov/authorities.
National Library of Sweden. http://www.kb.se/engl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