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PISA 2009 학업성취도에 대한 학교도서관 변인의 영향력 분석

Analysis of PISA 2009 Impacts of School Library Level Variables on Academic Achievement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P)1013-0799; (E)2586-2073
2014, v.31 no.3, pp.331-351
https://doi.org/10.3743/KOSIM.2014.31.3.331
박주현 (신가초등학교)
장우권 (전남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연구는 OECD PISA에 참여한 우리나라 학생, 학부모와 학교장의 설문자료와 읽기․수학․과학소양의 성취도를 분석하여 학교도서관변인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영향력과 책무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 학교도서관 교육을 개선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학생들이 독서를 즐겁게 생각할수록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높았다. 둘째, 가정에 책이 많고 이용할 수 있는 독서자원이 많을수록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높았다. 셋째,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 학교도서관을 방문할수록 학업성취도가 낮았다. 넷째, 학교도서관 직원이 부족할수록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낮았다. 즉 학교도서관 직원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다섯째, 독서 사교육에 대한 경험은 읽기․과학소양성취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여섯째, 독서가 좋아서 학교도서관에서 대출하는 것과 국어교과 관련 학교도서관 수업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PISA, PISA 2009, academic achievement, school library, private education of reading, 국제학업성취도 평가, PISA 2009, 학업성취도, 학교도서관, 독서 사교육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students’, parents of student, and school master’ survey materials and reading, math, and science knowledge performance based on OECD PISA 2009 Koreana data. Also, school library level variables grasped the impacts of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this study looked for suggestion to improvement, educational accountability and leverage of school library. The results, first, when they use reading more pleasantly thought, they achieve higher scores in academic performance. Second, when they use more books and reading resources in housekeeping, they achieve higher scores in academic performance. Third, when they were more visits school library for exploit internet, they achieve higher lower scores in academic performance. Fourth, when the member of the staff in the school library are more lack of people, they achieve lower scores in academic performance. Fifth, private education’s experience in reading have a negative influence in reading achievement and science achievement. Sixth, school library’s visiting and library application study about national language curriculum in the impacts of academic performance would not change statistical evaluation significantly.

keywords
PISA, PISA 2009, academic achievement, school library, private education of reading, 국제학업성취도 평가, PISA 2009, 학업성취도, 학교도서관, 독서 사교육

참고문헌

1.

권은경. (2009).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1), 451-469.

2.

김경희. (2010). OECD 학업성취도 국제비교 연구(PISA 2009)결과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3.

김기석. (2009). 학업성취도에 대한 학생과 학교 변인들의 효과 분석-PISA 2000, 2003, 2006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4.

김진숙. (2003). 학교도서관 평가 및 교육적 효과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5.

김혜숙. (2012). ICT 활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PISA 2009 한국 자료를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13(1), 1-22.

6.

박주현. (2014). PISA 2009에서 도서관방문이 독서태도 및 독서방법과 읽기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3), 169-191. http://dx.doi.org/10.4275/KSLIS.2014.48.3.169.

7.

박주현. (2014). 국내 학교도서관교육의 정책적 현안과 과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1), 299-328. http://dx.doi.org/10.4275/KSLIS.2014.48.1.299.

8.

송태민. (2013). 빅데이터분석방법론:한나래.

9.

이병기. (2012).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PISA)의 독서영역과 AASL의 21세기 학습자 기준 비교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3), 193-216.

10.

이지연. (2009). 학교도서관 이용과 학업 능력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11.

이지연. (2009). 학교도서관이 학교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4), 353-380. http://dx.doi.org/10.4275/KSLIS.2009.43.4.353.

12.

노승철. (2013). 고급통계분석론 : 이론과 실습:문우사.

13.

임영후. (2013). 고등학생의 과학성취도에 대한 학교 변인의 영향 : PISA 2009 자료를 중심으로.

14.

조지민. (2013). PISA 표집 설계에 따른 모수 및 분산 추정. 교육평가연구, 26(4), 875-896.

1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PISA 코드북 및 설문지. http://naea.kice.re.kr/prtl/cont/prov/international.do.

16.
17.

OECD. (2010). PISA 2009 results: What students know and can do: Student performance in reading, mathematics and science (Volume I):OECD Publishing.

18.

OECD. (2009). PISA data analysis manual. http://www.oecd-ilibrary.org.

19.

OECD. (2009). PISA 2009 assessment framework: Key competencies in reading, mathematics and science. http://www.oecd.org/pisa/pisaproducts/44455820.pdf.

20.

OECD. (2012). PISA 2009 technical report. www.oecd.org/pisa/pisaproducts/50036771.pdf.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