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is study, we propose an approach of building a portal site that can offer integrated services for textbook through special librarie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previous related studies and investigated textbook portal construction sites domestically and abroad. Based on this research, we developed survey questions and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users of textbook libraries. As a result, the following projects are required for creating a textbook library: a comprehensive list of textbooks and other content construction, digitization projects of library holdings, collection and delivery of various textbook-related reference books, building a textbook database by topic, collecting and providing textbook-related research publications, a cooperation network with textbook-related organizations, and active promotion of portal sites.
교과서민원바로처리센터. http://www.textbook114.com.
교과서박물관. http://www.textbookmuseum.com.
교육과학기술부. (2008). 디지털교과서 검인정 체계 구축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2009). (-). 다양하고 질 좋은 교과서를 위한 미래형교과서 정책 토론회. 교육과학기술부.
국립중앙도서관 디브러리. http://www.dibrary.net.
김광용. (2000). 교과서 개발 Digital Library 설립 운영 연구. 한국교과서연구재단.
류해일. (2008). 교과서 질 향상 및 유통체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사이버교과서박물관. http://www.textlib.net.
서울시교육청. (2007). 교사의 관점에서 본 디지털교과서 기대효과 연구. 서울시교육청.
서울시교육청. (2007). 디지털교과서 표준화 방안 연구. 서울시교육청.
서울시교육청. (2007). 디지털교과서 활용에 따른 학습자 측면의 효과성 연구. 서울시교육청.
에듀넷. http://www.edunet.net.
최영복. (1998). 한국 교과서 목록 작성 및 그 수집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교과서연구소.
최진원. (2010). 디지털 교과서 도입에 대한 법률적 문제 -저작권법을 중심으로-. 정보법학, 14(1), 211-241.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디지털교과서 현장적용을 위한 연구학교 운영방안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장애우용 전자교과서 개발 방향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9). 디지털교과서 활용이 학생과 교사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AskKEDI. http://http://askkedi.kedi.re.kr.
Georg Eckert Institut Library. http://www.gei.de/en/library.html.
KICE교수학습개발센터. http://www.classroom.re.kr.
Open Textbook Library. http://open.umn.edu/opentextbooks.
School eBook Library. http://schoollibra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