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013-0799
  • E-ISSN2586-2073
  • KCI

'동해' 표기에 대한 계량적 분석

An Informetric Analysis on the Notation of East Sea Recorded in Academic Journals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P)1013-0799; (E)2586-2073
2015, v.32 no.1, pp.23-41
https://doi.org/10.3743/KOSIM.2015.32.1.023
한종엽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초록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에 나타난 ‘동해’ 관련 연구에서 ‘동해’ 표기유형별 특성을 계량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이 때 동해표기 유형은 ‘동해 단독’, ‘일본해 단독’, ‘병행표기’로 구분하였다. 분석을 위해 Web of Science DB에서 총 4,192편을 대상으로, 표기유형별 시계열 변화, 저자 소속국가별 표기유형, 연구주제의 차이, 피인용도, 연구협력 및 공저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동해’ 연구에서 ‘일본해 단독 표기’의 비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1990년대 이후 ‘동해 단독 표기’과 ‘병기’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었다. 또한 ‘동해’ 연구의 핵심국가는 ‘일본’, ‘러시아’, ‘한국’, ‘미국’, ‘중국’ 5개국이며, ‘일본해 단독 표기’의 경우 ‘일본’을 중심으로 ‘미국’, ‘러시아’, ‘중국’과 공동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며, ‘동해 단독 표기’와 ‘병기’는 ‘한국’ 연구자를 중심으로 ‘미국’, ‘일본’과의 연구의 비율이 높았다. 공저 네트워크는 ‘일본해 단독 표기’의 경우 하나의 “거대 구성집단”(Giant Component)을 형성하여 이(異) 집단 간의 협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동해 단독 표기’의 경우 소속기관을 중심으로 소규모의 연구그룹이 분산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동해 표기, 학술지, 계량정보학, 공저 네트워크, East Sea naming, scientific journal, informetrics, co-authorship network analysis

Abstract

This study worked on the qualitative analysis about nomenclature East Sea by the record type in researches related to East Sea shown in the scientific journals. Here in this study, the way of marking is classified as three: ‘sole notation of East Sea’, ‘sole notation of Sea of Japan’, and ‘simultaneous notation of both’. Based on a total of 4,192 selections from Web of Science DB, the analysis was followed up for change in time series by the notation type, notation type according to the nation that authors belong to, difference in research topic, impact factor, collaboration in research, and co-authorship network. The result turned out in this work that the sole notation of Sea of Japan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It also showed that the rates of sole notation of East Sea and simultaneous notation have kept increasing continuously since the 1990s. Hub nations regarding the research of East Sea is five including Japan, Russia, Korea, USA, and China. In the case of sole notation of Sea of Japan, active collaboration studies are performed in USA, Russia, and China with a focus in Japan. In the case of sole notation of East Sea and simultaneous use, the research rate is relatively high in USA and Japan with a focus in Korea. As to the co-authorship network in the sole notation of Sea of Japan, sort of a “giant component” among different groups has been set up and through which the collaborative works are actively underway.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research of sole notation of East Sea is dispersed into small groups on the base of relevant individual institution.

keywords
동해 표기, 학술지, 계량정보학, 공저 네트워크, East Sea naming, scientific journal, informetrics, co-authorship network analysis

참고문헌

1.

강동진. (2009). 국제 학술지에 발표된 연구 논문에서 동해의 표기 현황. Ocean and Polar Research, 31(1), 133-156.

2.

나미선. (2013). 독도박물관 소장 ‘해좌전도(海左全圖)’․‘신제여지전도(新製輿之全圖)’ 보존처리. 기록물 보존복원, 6, 5-15.

3.

서정철. (2013). 서양 고지도를 통하여 본 동해명칭을 둘러싼 한일 간의 경쟁. 한국고지도연구, 5(2), 5-17.

4.

심정보. (2013). 일본고지도에 표기된 동해 해역의 지명. 한국고지도연구, 5(2), 19-31.

5.

심정보. (2011). 세계 고지도의 동해 해역에 나타난 지명 병기의 사례 연구. 영토해양연구, 2, 6-29.

6.

이기석. (1998). 동해 지리명칭의 역사와 국제적 표준화를 위한 방안. 대한지리학회지, 33(4), 541-556.

7.

주성재. (2012). 동해 표기의 최근 논의 동향과 지리학적 지명연구의 과제. 대한지리학회지, 47(6), 870-883.

8.

Blondel, V. D.. (2008). Fast unfolding of communities in large networks. Journal of Statistical Mechanics: Theory and Experiment, 2008(10), -.

9.

United Nations. Draft report of the 10th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he Standardization of Geographical Names as adopted on Friday 10 August 2012.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