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013-0799
  • E-ISSN2586-2073
  • KCI

도서관 빅데이터 서비스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ing of Big Data Services in Public Library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P)1013-0799; (E)2586-2073
2015, v.32 no.2, pp.63-86
https://doi.org/10.3743/KOSIM.2015.32.2.063
표순희 (성균관대학교 정보관리연구소)
김윤형 ((주)기술과가치)
김혜선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김완종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초록

본 연구는 최근 많은 이슈가 되고 있는 빅데이터를 도서관 분야에 적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도서관 빅데이터의 활용 가치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에 대한 수요자의 요구 분석을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빅데이터 서비스 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도서관 빅데이터의 개념과 내용 및 가치 등을 고찰하고, 도서관 빅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수요 분석을 바탕으로 도서관 빅데이터 서비스 모형을 개발하였다. 서비스 모형 개발을 위해 도서관 빅데이터의 유형에 따라 활용 가능한 도서관 빅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수요자의 요구를 다양한 방법으로 도출하였다. 수요자의 요구 분석은 도서관계 연구자 및 현장 사서와의 심층인터뷰, 표적집단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이하 FGI), 사서 및 이용자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이를 바탕으로 총 16개의 도서관 빅데이터 서비스 모형을 정의하고, 서비스의 필요성, 시급성, 개발 가능성을 고려해 최종적으로 사서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와 이용자 도서 추천 및 독서이력 관리 서비스 모형을 개발하였다.

keywords
공공도서관, 빅데이터, 빅데이터 서비스, public library, big data, big data service, big data value

Abstract

Big data refers to dataset whose size is beyond the ability of typical database software tools to capture, store, manage, and analyze. And now it is considered to create the new opportunity in every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of big data services in public library for improved library services. To this end, analysed the type of library big data and needs of stockholders through the various methods such as deep interview, focus group interview, questionnaire. At first step, we defined the 16 big data service models from interview with librarians, and LIS professions. Second step, it was considered necessity, timeliness, possibility of development. We developed the final two services called on ‘Decision Support Services for Public Librarians’ and ‘Book Recommendation Services for Users.’

keywords
공공도서관, 빅데이터, 빅데이터 서비스, public library, big data, big data service, big data value

참고문헌

1.

강만모. (2012). 빅 데이터의 분석과 활용. 정보과학회지, 30(6), 25-32.

2.

교육과학기술부. (2012). 스마트 국가구현을 위한 빅데이터 마스터 플랜. .

3.

김서. (2013). 빅데이터 도서관 활용사례: KAIST도서관 웹로그분석시스템을 중심으로. KSLA bulletin, 5, 45-52.

4.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14).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4~2018).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5.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정보정책기획단. (2013). 2012 공공도서관 건립․운영 계획 수립 지원을 위한 웹 시스템 개발 결과 보고서.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정보정책기획단.

6.

배동민. (2013). 빅데이터 동향 및 정책 시사점. 정보통신정책연구, 25(10), 37-74.

7.

송민. (2014). 빅데이터 시대, 도서관의 도전과 변화 (-). 도서관 분야 빅데이터 활용 세미나 발표 자료집.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8.

이성신. (2011).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공공도서관 마케팅. 정보관리학회지, 28(3), 179-195.

9.

이정미. (2013). 빅데이터의 이해와 도서관 정보서비스에의 활용.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4), 53-73.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3.24.4.053.

10.

최성곤. (2012). 미래 지식 서비스를 위한 빅데이터 처리의 기술적 요구사항. 한국정보기술학회지, 10(3), 5-10.

11.

한국정보화진흥원 빅데이터연구센터. (2012). 빅데이터로 진화하는 세상: big data 글로벌 선진사례. 한국정보화진흥원.

12.

홍승필. (2012). 빅데이터 기반 개인정보보호 기술수요분석. 한국인터넷진흥원.

13.

Centre for Economics and Business Research. (2012). Data equity: Unlocking the value of big data. http://www.sas.com/offices/europe/uk/downloads/data-equity-cebr.pdf.

14.

Gartner. (2012). The importance of big data: A definition. http://www.gartner.com/doc/2057415/importance-big-data-definition.

15.

Mckinsey Global Institute. (2011). Big data: The next frontier for innovation, competition, and productivity. http://www.mckinsey.com/insights/business_technology/big_data_the_next_frontier_for_innovation.

17.

Villars, R. L.. (2011). Big data: What it is and why you should care. White Paper. http://sites.amd.com/us/Documents/IDC_AMD_Big_Data_Whitepaper.pdf.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