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013-0799
  • E-ISSN2586-2073
  • KCI

공공도서관 사서 전문직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for Librarians in Korean Public Libraries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P)1013-0799; (E)2586-2073
2015, v.32 no.3, pp.237-260
https://doi.org/10.3743/KOSIM.2015.32.3.237
오해연 (한국학술정보(주))
김기영 (연세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사서의 전문직성에 대한 공공도서관 사서와 도서관 이용대상자 간의 인식 차이 및 실태를 브랜딩 및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사서와 도서관 이용대상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공공도서관 및 공공도서관 사서 전문직 특성, 전문직으로서의 공공도서관 사서 각각의 브랜드에 대해 공공도서관 사서와 도서관 이용대상자 간의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은 활발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의 개선을 위해 도서관 이용대상자를 대상으로 한 공공도서관 및 사서의 직업윤리, 사회적 사명감, 개인적 신념 특성 보유와 관련된 외부 브랜딩과 사서를 대상으로 한 전문직으로서의 사서 및 업무 몰입도, 전문성 특성 보유와 관련된 내부 브랜딩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keywords
공공도서관, 공공도서관 사서, 도서관 이용대상자, 전문직, 인식, public library, librarians in public libraires, library user, professionalism, perception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of librarians in public libraries and difference in that regard between librarians and library users in terms of branding and brand communication. To achieve this goal, a series of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questionnaire survey of librarians in public libraries and library users. The results showed that brand communication between public librarians and library users is inactivated for each element. Therefore, they need external branding that relates to the public libraries and librarians characteristics in professionalism for library users and internal branding that relates to librarian’s professionalism and the expertise of librarians so as to improve brand communication further.

keywords
공공도서관, 공공도서관 사서, 도서관 이용대상자, 전문직, 인식, public library, librarians in public libraires, library user, professionalism, perception

참고문헌

1.

강윤정. (2006). 도서관 조직구조가 대학원생의 도서관 이용행태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

구본영. (2002). 문헌정보학 전문직의 정체성과 미래의 전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3), 93-113.

3.

권해경. (2013). 국내 영 캐주얼 브랜드 광고에 나타난 브랜드 이미지에 관한 연구. 복식, 63(4), 143-157. http://dx.doi.org/10.7233/jksc.2013.63.4.143.

4.

김기영. (2008). 전문직으로서의 사서직 논의를 위한 이론적 접근.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1), 313-333.

5.

김기영. (2014). 공공도서관 이용자의 다문화서비스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5(3), 77-100.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4.25.3.077.

6.

김용근. (2002). 한국 사서직의 전문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3(4), 283-306.

7.

김정희. (2013). 지방정부의 내부 마케팅과 리더십이 구성원의 장소 브랜딩에 미치는 영향.

8.

김지영. (2001). 대학도서관의 정보기술 환경과 이용자의 정보기술 이용능력이 이용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9.

김하야나. (2014). 공공도서관 비이용 요인에 관한 연구: 이용자, 이용 중단자, 비이용자를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31(3), 201-226. http://dx.doi.org/10.3743/KOSIM.2014.31.3.201.

10.

김헌식. (2006). 전문직으로서의 사서직에 관한 연구. 혜천대학 논문집, 32, 233-258.

11.

金惠璘. (1993). 유치원 교사들의 교직전문성 인식과 역할수행.

12.

김혜선. (1994). 사서직 윤리에 관한 연구.

13.

남태우. (1988). 사서직의 전문직성. 문헌정보학보, 3(2), 21-43.

14.

박상근. (2014). 도서관 브랜드 이미지 측정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15.

박상근. (2013). 대학 도서관 브랜드 이미지 구성요인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3), 295-320. http://dx.doi.org/10.4275/KSLIS.2013.47.3.295.

16.

박현영. (2008).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공공도서관과 사서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17.

박흥식. (2009). 정부기관 브랜드 이미지와 정체성 간의 갭 및 고객 만족도와의 관계. 한국거버넌스학회보, 16(3), 161-185.

18.

손현진. (2012).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적용한 북 스토어 공간계획에 대한 연구.

19.

신현경. (2001). 사회복지사의 전문직 확립방안에 관한 연구 : 전문직 제 요인을 중심으로.

20.

오경묵. (2011). 공공도서관 브랜드 강화를 위한 영어장서 독서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8(4), 221-242.

21.

오지은. (2013). 사서 자격시험 제도의 도입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4), 239-258.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3.24.4.239.

22.

유은비. (2014). 대학생의 도서관서비스 이용행태에 관한 분석 연구 : 인문계열과 공학계열 이용자를 중심으로.

23.

유홍준. (2000). 경제위기가 직업세계 및 일상생활의 사회적 관계에 미친 영향. 3, 164-205.

24.

윤희윤. (2010). 대구시 공공도서관의 공간 및 시설이용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2), 73-95.

25.

李德熙. (1995). 공공도서관 사서의 전문직성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내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26.

이영희. (2008). 공공도서관 사서직의 전문성 강화에 관한 연구.

27.

이은영. (2000). 패션마케팅:교문사.

28.

이제환. (2003). 다시 생각해보는 사서직의 전문성 (79-110). 한국문헌정보학회 학술발표논집.

29.

이제환. (2003). 전문직 이론을 통해 사서직의 전문성.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7(2), 57-87.

30.

이창환. (2010). 이용행태 분석을 통한 공공도서관의 건축계획적 연구.

31.

이홍직. (2007).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성에 대한 인식 연구. 사회과학연구, 23(3), 151-172.

32.

전병재. (1995). 한국사회의 전문직업성 연구:사회비평사.

33.

통계청. (2007). 한국표준직업분류(KSCO). https://kssc.kostat.go.kr:8443/ksscNew_web/index.jsp#.

34.

하영은. (2013). 공공 어린이도서관 브랜딩 연구 : 서울시 성북구 해오름어린이도서관을 중심으로.

35.

한용희. (2010). 병원간호사의 전문직업성, 직무몰입,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와의 관계. 임상간호연구, 16(2), 17-31.

36.

한국문헌정보학회 최신 문헌정보학의 이해 편찬위원회. (2011). 최신 문헌정보학의 이해:한국도서관협회.

37.

한복희. (2003). 지식기반사회에서 이용자연구의 최신동향.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7(4), 295-310.

38.

한종엽. (2013). 도서관 홍보와 브랜딩, SNS와 함께 날아라!. 도서관문화, 54(4), 22-27.

39.

홍성옥. (2010). '책 읽는 도시'의 브랜딩과 공공도서관 운영에 관한 연구 : 김해시 사례를 중심으로.

40.

Abdolreza, S. J.. (2014). Medical ethics course improves medical professionalism: Medical students' opinions. Journal of Social Sciences, 10(2), 74-76.

41.

Barlow, J.. (2004). Branded Customer Service:Berrett- Koehler Publishers.

42.

Barich, H.. (1991). A framework for marketing image management. Sloan Management Review, 32(2), 94-104.

43.

Basil, E. I.. (2010). Mobile phones for library services: Prospects for delta state university library, Abraka. Library Philosophy and Practice, 6(4), 1-8.

44.

Bergstrom, A.. (2002). Why internal branding matters: The case of saab. Corporate Reputation Review, 5(2), 133-142.

45.

Bill, D.. (2014). Aspects of professionalism, ethics and lifelong learning for australian ICT professionals. Journal of Business Systems, Governance and Ethics, 4(3), 27-42.

46.

Calhoun, Craig. (2002). Dictionary of the Social Sciences:Oxford University Press.

47.

Carr-Saunders. (1933). The Professions:Oxford University Press.

48.

Davies, G.. (2002). Gaps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perceptions of the corporate brand. Corporate Reputation Review, 5(2), 144-158.

49.

Friedlander, W. A.. (1980). 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Prentice-Hall, Inc.

50.

Ghodeswar, B. M.. (2008). Building brand identity in competitive markets: A conceptual model. Journal of Product and Brand Management, 17, 4-12.

51.

Greenwood, E.. (1957). Attributes of a profession. Social Work, 2, 45-55.

52.

Hiller, S.. (2002). How different are they? A comparison by academic area of library use, priorities and information needs at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www.istl.org/02-winter/article1.html.

53.

Keller, K. L.. (2003). Strategic Brand Management: Building, Measuring, and Managing Brand Equity:Pearson/Prentice-Hall, Inc.

54.

Linsay, P.. (1987). Teachers in preschools and child care centers: Overlooked and undervalued. Child and Youth Care Quarterly, 16(16), 91-100.

55.

Massey, M. E.. (1976). Market analysis and audience research for libraries. Library Trends, 24(3), 473-481.

56.

오동근. (2010). 도서관 서비스의 평가와 측정:태일사.

57.

Montagna, P. D.. (1977). Occupations and society: Towards a sociology of the labour market:John Wiley and Sons Inc.

58.

Morrill, J. H.. (2007). The Wisconsin library user (and Non-User) Ⅱ: Outcome of a second statewide survey (2003-2007 comparisons):Morrill Solutions Research.

59.

Pavalko, R. M.. (1971). The sociology of occupations and professions:F.E. Peacock.

60.

Prins. H.. (1992). Image, status and reputation of librarianship and information work. IFLA Journal, 18, 108-118.

61.

Richard, H. H.. (1975). Occupations and the social structure:Prentice-Hall, Inc.

62.

Ritzer, G.. (1972). Man and his work: Conflict and change:Appleton Century Crofts.

63.

Rosa, C. D.. (2005). Perceptions of libraries and information resources: A report to the OCLC membership:OCLC Online Computer Library Center Inc.

64.

Rose, G.. (1974). Issues in professionalism: A design for social work practice:Columbia University Press.

65.

Trull, J.. (1993). Ministry ethics: Being a good minister in a not so-good world:Broadman & Holman.

66.

Wilensky, H.. (1964). The professionalization of everyon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70(2), 137-158.

정보관리학회지